$\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둥근대이끼(산주목이끼과)의 신분포지 및 형태적 특징
A Short Record for the New Distribution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s of Plagiothecium platyphyllum Mönk. (Plagiotheciaceae)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4, 2020년, pp.398 - 403  

황규진 (자연환경복원연구원) ,  박선주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둥근대이끼(P. platyphyllum)는 산주목이끼과 산주목이끼 속에 속하는 선류 식물이다. 중국, 일본, 유럽, 북한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북한 지역에는 관모봉, 금강산, 묘향산, 차일봉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남한 지역에는 2017년 전라북도 완주군 운주면 산북리 대둔산 수락계곡에 자생하고 있음이 처음 확인되었다. 식물체의 색깔은 녹색에서 암녹색이고 윤기가 난다. 줄기에는 중심속이 발달해 있다. 가지는 불규칙하고, 가지잎은 편평하게 붙는다. 잎은 난상 피침형으로 2.0~2.5 × 1.0~1.4 mm이며, 비대칭하는 것이 특징이다. 잎 중앙세포는 80~127 × 10~16 ㎛로서 형태는 장사방형이다. 본 연구에서 둥근대이끼의 형태학적 기재와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의 사진,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agiothecium platyphyllum Mönk (Plagiotheciaceae), a species unrecorded previously in the moss flora of the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was collected in the Surak stream of Mt. Daedun in Jeollabuk-do Wanju-gun Sanbuk-ri. This species was known to be distributed around China, Japan, Nor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잎 중앙세포는 80∼127 × 10∼16 ㎛로서 형태는 장사방형이다. 본 연구에서 둥근대이끼의 형태학적 기재와 동정을 위한 주요 형태 형질의 사진, 도해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 이러한 형태적 특징을 고려하여 둥근대이끼를 남한 지역의 산주목이끼속 내 다른 분류군 비교하고, 고찰하여 그 특징을 보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잎이 비대칭이다.
  • 1. 잎이 비대칭이다.
  • 3. 잎의 중앙세포가 선형이다. 중심속이 없다       가는잎산주목이끼 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ang, G.J. 2009. Ground Cover Plant (Revised edition). Jokyung, Paju, Korea. (in Korean). 

  2. Cho, J.S. and C.H. Lee. 2013. Effect of several cultivation condition on growth of Brachythecium rivulare and Myuroclada maximoviczii. Korean J. Plant Res. 26(1):52-59. 

  3. Choe, D.M. 1980.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Vol. 24. Musci - Hepatica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pp. 17-790 (in Korean). 

  4. Choi, H., S.Y. Lee, Y.H. Rhie, J.H. Lee, S.Y. Kim and K.C. Lee. 2018. Seed dormancy type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in Tiarella polyphylla D. Don native to Korea. Korean J. Plant Res. 31(4):363-371 (in Korean). 

  5. Crosby, M.R., R.E. Magill, B. Allen and S. He. 1999. A Checklist of the Mosses.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issouri (USA). pp. 1-313. 

  6. Hu, R.L., Y.F. Wang, M.R. Crosby and S. He. 2008. Amblystegiaceae - Plagiotheciaceae Moss Fl. China. Science Press, Beijing, China &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St. Louis, MO (USA). 7: viii+ pp. 1-258. 

  7. Hwang, H.J. 1991. Sporic Plant of Joseon 9 (Bryophytes 2). Science Encyclopedia Synthetic Press, Pyeongyang,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pp. 1-391 (in Korean). 

  8. Kim, H.G., K.C. Cho, I.T. Hwang, J.B. Seo, G.Y. Gi and J.G. Kim. 2009. Study on available substrate for early planting Hypnum plumaeforme. Kor. J. Hort. Sci. Technol. 27(1):141 (in Korean). 

  9. Koppe, F. 1931. Abhandlungen und Berichte der Naturwissenschaftlichen Abteilung der Grenzmarkischen Gesellschaft zur Erforschung und Pflege der Heimat, Schneidemuhl, Germany. p. 80. 

  10. Noguchi, A. 1994. Illustrated Moss Flora of Japan 5. Daigaku Printing Co., Ltd., Hirisima, Japan. pp. 1036-1049. 

  11. Park, K.W. and K. Choi. 2008. New List of Bryophyte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pp. 1-17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