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원소재로서의 미얀마 유용 및 관상식물 수집·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Myanmar Plants as Garden Plan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4, 2020년, pp.404 - 416  

안태현 (산림청 국립수목원 수목원과) ,  고여빈 (산림청 국립수목원 수목원과) ,  진혜영 (산림청 국립수목원 수목원과) ,  배준규 (산림청 국립수목원 수목원과) ,  이기철 (산림청 국립수목원 수목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고 기후 변화를 조절하는 데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열대림에는 식품 또는 의약품 개발 등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자원 식물이 풍부하다. 이들을 활용하기 위하여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보존 및 증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데,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가 2013년부터 미얀마 천연자원 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와 미얀마 산림과학원(Forest Research Institute)과 함께 미얀마 보호지역 및 Sagging 지역 내 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동 현장조사, 연구 및 출판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립수목원과 미얀마 산림과학원 공동연구의 성과로 2018년 12월 미얀마 산림과학원으로부터 미얀마 유용 및 관상식물 65과 326종의 식물 생체 및 표본 등을 기증받아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보존과 교육 목적으로 전시 중이다. 이 기증은 미얀마에서 식물 생체를 국외로 반출한 첫번째 사례이며, 국립수목원은 2008년 독일에서 열대식물을 기증받은 사례 다음으로 두번째로 외국 정부의 공식적인 대량 식물 도입 사례다. 도입한 식물 중 Santalum album L.은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UCN, 2017)에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인공 환경을 구명하고 국내의 실내 정원소재 및 미세먼지, 공기정화 능력을 가진 열대식물의 발굴하고 추후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보존 및 증식 방법과 더 나아가 생물 다양성 보존 및 산업적 이용을 위한 연구에 박차를 가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ies on the preservation and propagation of tropical and subtropical plants are required, but the studies are insufficient in Korea. Since 2013, the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has been collaborating on field research and publication to preserve plant diversity in Myanmar protected a...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얀마 열대 자생식물의 보전과 활용을 목적으로 도입하였고, 관상용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한다.
  • 이들을 활용하기 위하여 열대 및 아열대 식물의 보존 및 증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데,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 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가 2013년부터 미얀마 천연자원 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와 미얀마 산림과학원(Forest Research Institute)과 함께 미얀마 보호지역 및 Sagging 지역 내 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동 현장 조사, 연구 및 출판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국립수목원과 미얀마 산림과학원 공동연구의 성과로 2018년 12월 미얀마 산림과학원으로부터 미얀마 유용 및 관상식물 65과 326종의 식물 생체 및 표본 등을 기증받아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보존과 교육 목적으로 전시 중이다.
  • 본 연구는 미얀마의 자원 가치가 높은 식물의 생체 수집을 통한 열대지역 유용・관상식물의 산업화 기반 구축과 국내에 정원식물로써 활용 가치 연구를 위해 진행되었다. FAO (2015)에 따르면 미얀마는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매년 546,397 ㏊의 산림면적이 훼손되었으며, 이는 전체산림면적의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얀마의 지역은 어떻게 나뉘는가? 미얀마는 지형상 북부 산악지방, 서부 산악지방, 중부 저지대, 동부의 샨 고원 등 4개 주요 지역으로 나뉜다. 동부 고원지대는 중국, 라오스, 태국 및 말레이반도에 이르는 2,000 ㎞에 달하는 지역으로 국경무역이 가능한 구릉과 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중부 평야 지대는 친드윈, 에야워디, 싯따웅 강 유역의 비옥한 평야 지대며 여카잉 산맥 서쪽 지역의 서부 산악지대, 동남아시아 최고봉인 카카보야지산이 있는 북부 산악지역 등으로 구분 된다.
미얀마 Indo-Burma 지역은 몇 종의 식물 종이 분포하고 있는가? 미얀마 Indo-Burma 지역은 13,500종의 식물 종이 분포하고 있는 생물 다양성 Hot spot이다. 북부 산악지역에서 남부의 맹그로브 지역에 이르는 다양한 특성의 생태계로 구성되어있다.
미얀마의 동부 고원지대는 어떤 특징이 있는가? 미얀마는 지형상 북부 산악지방, 서부 산악지방, 중부 저지대, 동부의 샨 고원 등 4개 주요 지역으로 나뉜다. 동부 고원지대는 중국, 라오스, 태국 및 말레이반도에 이르는 2,000 ㎞에 달하는 지역으로 국경무역이 가능한 구릉과 강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중부 평야 지대는 친드윈, 에야워디, 싯따웅 강 유역의 비옥한 평야 지대며 여카잉 산맥 서쪽 지역의 서부 산악지대, 동남아시아 최고봉인 카카보야지산이 있는 북부 산악지역 등으로 구분 된다. 국토 대부분이 북회귀선 이남에 위치하고, 여름에 계절풍이 발달하는 벵골만에 면하여 계절풍 기후로 열대에 속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Aziz, A., N.A. and A.M. Mhd Jalil. 2019. Bioactive compounds, nutritional value,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indigenous durian (Durio Zibethinus Murr.): A r eview. Foods. 8(3):pii:E96. 

  2. Basera, P., M. Lavania, A. Agnihotri and B. Lal. 2019. Analytical investigation of Cymbopogon citratus and exploiting the potential of developed silver nanoparticle against the dominating species of pathogenic bacteria. Front Microbiol. 10:282. 

  3. Bhowmick, R., M.S. Sarwar, S.M. Dewan, A. Das, B. Das, M.M. Uddin, M.S. Islam and M.S. Islam. 2014. In vivo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 in Swiss albino mice and in vitro thrombolytic activity of hydroalcoholic extract from Litsea glutinosa leaves. Biology Research 47:56. 

  4. Chandra, J. and S. Keshavkant. 2018. Desiccation-induced ROS accumulation and lipid catabolism in recalcitrant Madhuca latifolia seeds. Physiol. Mol. Biol. Pla. 24(1):75-87. 

  5. Chao, P.Y., T.I. Chiang, I.C. Chang, F.L. Tsai, H.H. Lee, K. Hsieh, Y.W. Chiu, T.J. Lai, J.Y. Liu, L.S. Hsu and Y.C. Shih. 2017. Amelioration of estrogen-deficiency-induced obesity by Ocimum gratissimum. Int. J. Med. Sci. 14(9):896-901. 

  6. Choudhary, G.P. 2009. Diuretic activity of the leaves of Coleus aromaticus Benth. Ancient Science of Life 29(1):20-21. 

  7. DeFilipps, R.A. and G.A. Krupnick. 2018. The medicinal plants of Myanmar. Phytokeys 102(102):1-341. 

  8. IUCN. 2017.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s://www.iucnredlist.org/. 

  9. Kim, C.Y., Y.H. Kim, S.H. Han and H.C. Ko. 2019. Current situations and prospects on the cultivation program of tropical and subtropical crops in Korea. Korean J. Plant Res. 32(1):45-52. 

  10. Mohanta, Y.K., S.K. Panda, R. Jayabalan, N. Sharma, A.K. Bastia and T.K. Mohanta. 2017.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y of silver nanoparticles synthesized by leaf extract of Erythrina suberosa (Roxb.). Frontiers in Molecular Biosciences 17(4):14. 

  11. NBSAPs. 2015.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NBSAPs). https://www.cbd.int/nbsap/ 

  12. Nedunchezhiyan, M., S.K. Jata, R.C. Ray and R.S. Misra. 2011. Management of mealybug (Rhizoecus amorphophalli) in elephant foot yam (Amorphophallus paeoniifolius). Exp. Agr. 47(4):717-728. 

  13. Patel, J.J., S.R. Acharya and N.S. Acharya. 2014. Clerodendrum serratum (L.) Moon.-a review on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J. Ethnopharmacol. 154(2):268-85. 

  14. Raksat, A., W. Maneerat, R.J. Andersen, S.G. Pyne and S. Laphookhieo. 2018. Antibacterial prenylated isoflavonoids from the stems of Millettia extensa. J. Nat. Prod. 81(8):1835-1840. 

  15. Tanaka, T., T. Koyano, T. Kowithayakorn, H. Fujimoto, E. Okuyama, M. Hayashi, K. Komiyama and M. Ishibashi. 2001. New multiflorane-type triterpenoid acids from Sandoricum indicum. J. Nat. Prod. 64(9):1243-1245. 

  16. Tun, N.L., D.B. Hu, M.Y. Xia, D.D. Zhang, J. Yang, T.N. Oo, Y.H. Wang and X.F. Yang. 2019. Chemical constituents from ethanoic extracts of the aerial parts of Leea aequata L. a traditional folk medicine of Myanmar. Natural Products and Bioprospecting 9(3):243-249. 

  17. Wangthong, S., T. Palaga, S. Rengpipat, S.P. Wanichwecharungruang, P. Chanchaisak and M. Heinrich. 2010. Biological activities and safety of Thanaka (Hesperethusa crenulata) stem bark. J. Ethnopharmacol. 132(2):466-4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