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BFRAME 적용성 향상을 위한 기술 수준 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paration of Descriptive Levels for Enhancing the Applicability of BIBFRAM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4 no.3, 2020년, pp.165 - 186  

임수인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승민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BFRAME은 기존의 MARC 구조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서지 표준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기술항목의 방대함으로 인해 도서관계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BIBFRAME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BIBFRAME의 기술 수준 구분을 제안하였다. BIBFRAME의 기술 수준은 ISBD 2011 통합판의 서지영역을 기준으로 핵심, 표준, 상세 수준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RDF/RDFS 구문을 적용하여 구분한 기술 수준을 의미적으로 구현하였다. BIBFRAME의 3단계 기술 수준은 Class Granularity 및 Class Element로 정의하였으며, Property Relation을 정의하여 각각의 기술 수준으로 구분된 Class와 BIBFRAME 기술항목을 연계할 수 있는 구문적 환경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BIBFRAME을 이용한 서지데이터의 생성과 공유에 있어서의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BIBFRAME is recognized as a new bibliographic standard that can replace the existing MARC structure, the vastness of the descriptive items shows many limitations to be applied in library communities. Thus this study proposed separating the descriptive levels of BIBFRAME as a way to enhance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에서는 총 186개의 클래스와 195개의 속성이 선언되었는데, 이를 모두 사용하면 매우 상세한 접근점 및 기술 사항을 제공하며, RDA와 BIBFRAME의 근본적인 구조를 반영하여 하나의 개체가 다른 개체와 연결되어 있는 구조까지도 표현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상세 수준은 대규모 도서관 또는 전문적인 정보기관에서의 이용을 주된 목적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인 규모의 도서관에서는 개별적인 적용이 어려울 수 있으나, 상세한 기술 및 다른 자원과의 연결 측면에서는 효율성이 큰 기술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 <표 6>에서 제안한 연계 속성들이 BIBFRAME의 구조에 실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Property Relation을 정의하였다. Property Relation은 상호 연계의 대상이 되는 BIBFRAME Class와 Property 사이의 관계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구분된 각각의 기술 수준에 포함된 항목들 가운데 서로 연계되어야 하는 항목들을 구문적으로 구현하는 것이다.
  • 의미적 연계를 위해서는 여러 접근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BIBFRAME의 내부 속성을 설정하고 RDF/RDFS 구문을 이용하여 연계하고자 한다. 즉, 세 가지 수준으로 구분된 각각의 서지데이터 기술 수준을 RDF 구문 기반의 Class로 정의하고, 이들을 상호 연계시킬 수 있는 Property를 정의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BIBFRAME의 전체 요소들은 서지적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핵심, 표준, 상세 수준으로 생성된 서지데이터들의 상호 연계를 효율적이고 실제적으로 이룰 수 있는 서지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BIBFRAME의 기술요소들을 범주 화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표준, 상세 수준으로 구성한 기술항목들 사이의 의미적 연계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 수준의 구분이 BIBFRAME의 구조에 실제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분된 기술 수준이 상호 연계될 수 있는 구문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BIBFRAME의 서지적 구조를 실효성 있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유연성 있는 기술 방식의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BIBFRAME의 기술 수준을 일관성 있게 구분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BFRAME 의 도입에 앞서 BIBFRAME의 서지적 구조와 요소를 분석하고, BIBFRAME을 이용한 서지 데이터의 기술 수준을 구분하여 BIBFRAME을 도서관 현장에 실효성 있게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서지데이터의 기술 수준은 모든 관종별, 유형별 도서관의 서지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핵심 수준, 표준 수준, 그리고 다른 분야와의 연결을 위해 추가적인 요소를 삽입한 상세 수준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BFRAME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한계 가운데 하나인 기술 수준의 차이에 주목하여, BIBFRAME의 클래스와 속성을 기술 수준에 따라 구분하고 이를 RDF/RDFS 구문으로 구현함으로써 BIBFRAME의 현장 적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러한 기술 수준의 구분은 각급 도서관의 고유한 서지데이터 생성의 목적을 충족시켜 주는 방안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는 BIBFRAME 기술 항목을 ISBD의 기술영역과 매핑한 것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BFRAME의 기술 수준 구분이 BIBFRAME의 전체적인 구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수준으로 생성된 서지데이터가 관련된 서지데이터와 상호 연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RDF/RDFS 구문을 적용하여 기술 수준의 구분을 의미적으로 구현하였다. 의미적 연계를 위해 BIBFRAME의 내부 속성을 이용하여 BIBFRAME의 서지데이터 기술 수준을 RDF 구문 기반의 Class로 정의하고 이들을 상호 연계시킬 수 있는 Property를 정의하였다.
  • 이는 결국 생성되는 서지데이터의 비일관성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서지데이터 사이의 교환이나 재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BIBFRAME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BIBFRAME의 기술 수준을 분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서지데이터 구조인 BIBFRAME의 한계를 극복하고, BIBFRAME의 현장 적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나의 서지 기술 단위로 구성된 BIBFRAME의 기술 수준을 구분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분된 기술 수준을 기반으로 BIBFRAME의 구성요소들을 핵심, 표준, 상세의 서지적 카테고리로 구성하고, 이들 각각의 카테고리들이 다른 카테고리와 연계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하고자 한다.
  • 하지만 여러 도서관에서 핵심, 표준, 상세 수준을 각각 적용해서 서지데이터를 생성할 경우, 동일한 정보개체에 대한 서지데이터라 하더라도 상이한 수준으로 생성된 서지데이터를 연계시키는데 있어서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핵심, 표준, 상세 수준으로 구분한 기술항목들을 대상으로 서지적 카테고리를 구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술항목들을 의미적으로 연결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BIBFRAME의 전체 요소들은 서지적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핵심, 표준, 상세 수준으로 생성된 서지데이터들의 상호 연계를 효율적이고 실제적으로 이룰 수 있는 서지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이와 같이 정의된 Class Granularity와 Class Element가 BIBFRAME의 클래스 및 속성들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계 속성 카테고리를 구성하였으며, 이에 포함된 요소들은 구분된 서지기술 수준의 Class 또는 Property 사이의 관계를 구성한다. 이들 각각을 구문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Property Relation을 정의하였다.
  • 구분된 기술 수준을 기반으로 BIBFRAME의 구성요소들을 핵심, 표준, 상세의 서지적 카테고리로 구성하고, 이들 각각의 카테고리들이 다른 카테고리와 연계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구분된 각 카테고리들을 연계시킬 수 있는 관계 속성을 제안하여 BIBFRAME의 현장 적용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BFRAME은 무엇으로 인식되고 있는가? BIBFRAME은 기존의 MARC 구조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서지 표준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기술항목의 방대함으로 인해 도서관계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BIBFRAME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BIBFRAME의 기술 수준 구분을 제안하였다.
BIBFRAME이 한계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BIBFRAME은 기존의 MARC 구조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서지 표준으로 인식되고 있으나, 기술항목의 방대함으로 인해 도서관계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하는데 있어서는 여러 가지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BIBFRAME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BIBFRAME의 기술 수준 구분을 제안하였다.
BIBFRAME의 기술 수준 구분을 어떻게 제안하였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현장에서의 BIBFRAME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BIBFRAME의 기술 수준 구분을 제안하였다. BIBFRAME의 기술 수준은 ISBD 2011 통합판의 서지영역을 기준으로 핵심, 표준, 상세 수준의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RDF/RDFS 구문을 적용하여 구분한 기술 수준을 의미적으로 구현하였다. BIBFRAME의 3단계 기술 수준은 Class Granularity 및 Class Element로 정의하였으며, Property Relation을 정의하여 각각의 기술 수준으로 구분된 Class와 BIBFRAME 기술항목을 연계할 수 있는 구문적 환경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BIBFRAME을 이용한 서지데이터의 생성과 공유에 있어서의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Rho, Jee-Hyun. 2007. "Meanings of FRBR model in Korean library circumstanc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2): 223-244. 

  2. Park, Ok Nam and Oh, Jung Sun. 2014. "Deployment of BIBFRAME as a new bibliographic framework in linked data."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4): 235-263. 

  3. Lee, Mihwa. 2017.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constructing BIBFRAME by analyzing BIBFRAME 2.0."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8(4): 107-127. 

  4. Andresen, Lief. 2018. New format: BIBFRAME in an European perspective - What would be the impact and perspective of BIBFRAME. Presentation in DET KGL. BIBLIOTEK. May 23, 2018. [online] [cited 2020. 7. 2.] 

  5. Bianchini, Carlo and Guerrini, mauro. 2009. "From bibliographic models to cataloging rules: Remarks on FRBR, ICP, ISBD, and RDA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7(2): 105-124. 

  6. Balster, Kevin. 2018. "BIBFRAMEing for Non-BIBFRAMErs: An introduction to current and future cataloging practices." The Serials Librarian, 74(1/4): 151-155. 

  7. Coyle, K. and Hillmann, D. 2007.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RDA). D-Lib Magazine, 13(1/2). [online] [cited 2020. 7. 1.] 

  8.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2011.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 Consolidated Edition. 

  9.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the Revision of Anglo-American Cataloguing Rules. 2008. RDA: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Prospectus. 

  10. Library of Congress, Working Group on the Future of Bibliographic Control. 2008. On the record: Report of the Library of Congress Working Group on the future of bibliographic control. 

  11. Library of Congress. 2016. BIBFRAME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line] [cited 2020. 6. 15.] 

  12. LIBRIS. 2017. BIBFRAME in Libris XL. [online] [cited 2020. 7. 5.] 

  13. Park, Jung-Ran, Brenza, Andrew and Richards, Lori. 2020. BIBFRAME linked data: A conceptual study on the prevailing content standards and data model. In Linked Open Data: Applications, trends and future developments. [online] [cited 2020. 7. 6.] 

  14. Picco, Paola and Repiso, Virginia Ortiz. 2012. "The contribution of FRBR to the identification of bibliographic relationships: The new RDA-based ways of representing relationships in catalog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0(5/7): 622-640. 

  15. Sprochi, Amanda. 2016. "Where are we headed?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Bibliographic Framework, an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Library Reference Model." International Information & Library Review, 48(2): 129-136. 

  16. Tharani, K. 2015. "Linked data in libraries: A case study of harvesting and sharing bibliographic metadata with BIBFRAM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34(1): 5-19. 

  17. Yang, Sharon Q. and Lee, Yan Yi. 2016. Six years after RDA: Projects, initiatives, trends and directions. Presentation in New Jersey Library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May 17, 2016. 

  18. Zou, Xiaozhu et al. 2018. "Constructing metadata schema of scientific and technical report based on FRBR." Computer and Information Science, 11: 34-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