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 언론매체에 실린 천문 기사 연구
A STUDY OF ARTICLES RELATED ON ASTRONOMY PUBLISHED IN NORTH KOREA MEDIA 원문보기

천문학논총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35 no.2, 2020년, pp.19 - 27  

양홍진 (한국천문연구원) ,  김시은 (한국천문연구원) ,  임인성 (한국천문연구원) ,  홍정유 (한국천문연구원) ,  최현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강호제 (베를린자유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investigated the North Korean astronomical articles published in five media such as the Rodong Sinmun (노동신문), Minju Choson (민주조선), Tongil Sinbo (통일신보), Munhak Sinmun (문학신 문), and Choson Sinbo (조선신보) for 15 years from 2005 to 2019. The astronomical articles were classified by subject to study...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복 기사의 주제별 분포는 고천문 1건(2008년), 세계천문소식 1건(2010년), 천문소식 2건(2015년)으로 측우기, 태양계 근처 무거운별 발견, 표준자오선 변경 그리고 국가학위수여에 관한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체별 기사 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중복 기사도 개별 기사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언론 매체에 실린 북한의 천문 기사를 조사하여 천문학 현황을 살펴보고 북한에서 천문학이 어떻게 인식되고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았다. 조사 기간은 2005년부터 2019년까지 15년으로 이 기간 북한의 소식을 전하는 노동신문과 민주조선, 통일신보, 조선신보 그리고 문학신문에 나타난 167건의 천문 기사를 조사하였다.
  • 신문 기사는 사회적 환경과 이슈를 빠르고 직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체 조사 기간 동안의 북한 천문 기사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집권자가 바뀐 시점을 기준으로 김정일 시기(2005.01 ~ 2011.12)와 김정은 시기(2012.01 ~ 2019.12)로 나누어 천문 기사의 주제별 개수 변화와 키워드 기사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림 2는 다섯 매체에 나타난 천문 기사의 주제별 개수 분포를 보여준다.
  • 언론 매체에 실린 북한의 천문 기사에 대한 본 연구는 북한에서 천문학이 갖는 위상과 대중들이 접하는 천문의 주제와 지식수준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특히, 북한 매체의 천문 기사를 처음으로 연구 조사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 천문 관련 기사 외에도, 통일신보는 2006년 평양에서 개최한 남북 학술대회인 민족과학기술토론회에 대해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채영복 회장을 단장으로 참석한 남한의 연구자들의 연구 주제와 발표제목 등을 보고하였다. 같은 해,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원들이 고구려 고분벽화 조사를 위해 보름동안 방문해서 현지 조사한 사실도 통일신보에 소개하였다.
  • 한편, 북한 내부의 천문학 활동이나 현황을 알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북한 매체와 일본에서 발간하는 북한 관련 매체에 수록된 천문 관련 기사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내부의 천문학 현황과 북한 사회에서 천문학의 인식과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는 조사한 천문 기사를 어떻게 분류하였는가? 천문 기사는 주제에 따라 고천문, 천문소식, 세계천문소식과 세계천문상식의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고천문 키워드로는 고조선, 발해, 신라, 고려 등의 역사시대와 역사천문 관련 유물이나 역법에 대한 기사들이 포함되어 있다.
조선노동당중앙위원회에서 발간하는 당 기관지인 대표적인 일간지는? 노동신문은 북한의 대표적인 일간지로서 조선노동당중앙위원회에서 발간하는 당 기관지이다. 현재 6면으로 발행되는 노동신문은 과학문화부와 국제부 등의 편집위원회에서 천문관련 소식과 기사를 작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대표의 천문유산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 민족은 청동기시대 이전부터 조선시대까지 오랜 시간 하늘을 관측하며 많은 천문유산을 남겼다. 사서에 기록된 천문관측 기록과 첨성대(瞻星臺) 그리고 다양한 별그림과 천문관측 의기(義器) 등은 우리 역사의 대표 천문자산이다. 분단 이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하, 남한과 북한)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오랜 시간 학문적 교류가 끊어진 채 독자적으로 천문학을 발전시켜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binet of North Korea, 2005-2019, Minju Choson (민주 조선), Supreme People's Assembly, Pyongyang, DPRK 

  2. Central Committee of the Union of Writers of Choson, 2005-2019, Munhak Sinmun (문학신문), Pyongyang, DPRK 

  3. Cheung, T. -K. E., Kang, J. U., & Li, C., 2014, Dark Matter in a Bouncing Universe, Journal of Cosmology and Astroparticle Physics, v.2014, 001 

  4. Chunchugwan (The office for Annals Compilation), 1392-1910, Sejong Sillok Geography, Sejong Sillok v.154 

  5. Choi, H. K. & Noh, K. R., 2016, Analysis of SCI Publications in North Korea: 2005-2015, Study on the North Korean Science (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6. CSpOC, 2020, Combined Space Operations Center, http://www.space-track.org 

  7.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2005-2019, Choson Sinbo (朝鮮新報, The People's Korea), Japan 

  8. Jeon, S. W., 1992, Research Status of History of Science in North Korea,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9. Jong, S., 2015, Strategic Plan of Development of Astronomy in DPRK, Highlights of Astronomy (IAU), pp.560-564, Cambridge Univ. press 

  10. Kallosh, R., Kang J. U., et al., 2008, The New Ekpyrotic Ghost, Journal of Cosmology and Astroparticle Physics, v.2008, I-23 

  11. Kang, J. U., Vanchurin, V., & Winitzki, S., 2007, Attractor Scenarios and Superluminal Signals in ${\kappa}$ -essence Cosmology, Phys. Rev. D. 76, 083511 

  12. Kim, C. -J. & Kim, J. -S., 2020, Solar Activity Cycle of - 200 yr from Mediaeval Korean Records and Reconstructions of Cosmogenic Radionuclides, MNRAS, v.492, issue 1, 384-393 

  13. Kim, K. -S., 2006, North Korea's Nationalism in the Making: Its Emphasis on inter-Korean Cooperati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v.45(1), 149-177 

  14. Liang, H. F., Sin, S. A., & Ma, L., 2008,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3}T$ and SFT/MTK Vector Magnetograms, Advances in Space Research, v.42(1), 96-102 

  15. Min, Y. G., 1993, A Study on Research and Education of Astronomy in North Korea,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p.16 

  16. Nha, I. S., 1992, Preliminary Study on North Korean Astronomy, The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17. Rodong News Agency, 2005-2019, Rodong Sinmun (로동 신문), Workers' Party of Korea, Pyongyang, DPRK 

  18. Rodong News Agency, 2015, Article for Standard meridian problem -8th Aug. of Rodong Sinmun (로동 신문), Workers' Party of Korea, Pyongyang, DPRK 

  19. Tongil Sinbosa, 2005-2019, Tongil Sinbo (통일신보), Pyongyang, DPRK 

  20. Yang, et al., 2016, Preliminary Study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ield of Astronomy I, PKAS, 31, 57 

  21. Yang, et al., 2018, A Study of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Field of Astronomy II -Astronomical Almanac, PKAS, 33, 1 

  22. Yang, et al., 2019, Comparative Analysis of Astronomical Terminology used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PKAS, 34, 41 

  23. Yim, et al., 2016, Cooperation Research Plan in the Astronomy Field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outh-North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Research Project Report, 2015K1A5A2067399,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