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진취적 기업가행동과 시장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Innov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n Management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active Entrepreneurial Behaviour and Market Orientation -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8, 2020년, pp.119 - 131  

주철근 (숭실사이버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타트업이 전통적 거대기업을 물리치는 역전현상의 원인으로, 기업가정신과 시장지향이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Hayes(2013년)가 제안한 부트스트래핑의 연구방법을 통해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사이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지만, 조직문화와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행동과 시장지향성을 모두 매개함으로써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시장지향성 등 기존 이론과 연계하고 기업성과에 필요한 역량목표의 범위를 조직문화로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업은 경영성과와 가치창출을 위한 혁신지향적 조직문화를 창출하고 기업가적 행동과 시장지향성을 가지고 조직의 관성으로부터 문화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market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performance as the cause of the reversal phenomenon of startups defeating traditional giants. Through the research method of bootstrapping proposed by Hay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빅데이터, AI, 클라우드, IoT와 같은 방대하고 복잡한 기술 융합이 보편화 되는 플랫폼 비즈니스시대와 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열린 사고 및 공유와 협업의 조직문화는 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일구는데 중요한 요인이며, 혁신적 아이디어를 이용하여 기업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업가정신을 가진 내부기업가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 혁신적인 기업풍토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혁신지향 문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려면 최고경영진의 가치 전파 노력이 선행되어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에서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간 관계에서 그동안 많이 다루지 않았던 기업가적 진취성과 시장지향성의 병렬-직렬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가지며, 글로벌기업 구글과 3M과 같은 조직문화에서 실패를 용인하는 혁신지향 조직문화가 과거 전통적 거대기업을 물리치는 이유의 타당성을 본 연구가 잘 설명하고 있다 할 수 있다.
  • & Quinn(2011)은 경쟁가치모형을 기반으로 조직문화를 기업 문화적 방향의 속성에 따라 내부지향적인 관계지향 조직문화, 위계지향적인 조직문화와 외부지향적인 혁신지향 조직문화, 과업지향 조직문화로 4가지로 구분하였다[17]. 본 연구에서는 분류된 경쟁가치체계의 이론 중 변화추구와 성장과 자극에 유연하며 다양성과 자율성이 요구되는 혁신지향 조직문화를 기반으로, 조직구성원들의 혁신적인 조직역량이 진취적 기업가행동과 시장지향성을 통해 기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업이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는 잠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무형의 자산은 회사의 명성, 제품의 명성, 직원의 노하우와 조직문화이며 미래 잠재수익을 결정하는 무형자원의 중요영역이다[15].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혁신지향 조직문화에서 출발하여 경영성과에 이르는 과정에서 진취적 기업가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결과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사이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다.
  •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과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이 많았으나, 기업 내 기업가정신과 시장지향성의 형성과정에서 선행변수로서의 조직문화 역량의 총체적 역할에 대한 규명이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진취적 기업가행동과 시장지향성에 의해 경영성과가 긍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입증하려고 한다. 하버드경영대학원의 경영학 교수인 보리스 그로이스버그의 리더를 위한 기업문화 가이드를 통해 조직문화를 바꿔서 충분히 성과를 개선할 수 있으며, 고객니즈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려면 “실제 해결해야 할 문제와 가치 창출을 위한 솔루션의 관점에서 문화적 목표를 바라봐야 한다.
  • ”고 주장하였고, 조직의 자원 가용성과 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조직 문화를 통해 기업가 지향성을 이끄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기업가행동과 시장지향성의 선행변수로서 중소기업의 조직문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Tang, G.
  • 이를 통해 기업 내 기업가적 행동 역할과 소비자의 이해를 도모하는 시장지향적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업에 대하여 경영성과 영향 관계를 잘 규명할 수 있다 평가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조직문화가 장기적으로 경쟁력 있는 무형자산에 유의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매개효과를 통해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모방이 어려운 무형적 자원이 경쟁우위 향상과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가설 설정

  • ” 는 주장에 기초하여 가설 H1을 설정하였고,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시장지향성의 관계는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며 “조직문화가 혁신지향적일수록 시장지향적일 것이라는 결과를 제시해 준다[34].
  • ”에 기초하여 H10, H11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의 주장에 기초하여 H6, H7, H8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의 주장에 기초해 H3, H5 가설을 설정하였다.
  • K&J 모델은 시장지향성의 결과는 수익이라는 점을 주장하는 것으로, 개념모델에서 경영진, 부문 간 요인 및 조직 시스템에 관한 3 가지 전제가 시장지향성과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였고, 시장지향성은 종업원 투입, 기업 조직 및 사업 성과와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였는데 연구결과 경영자는 비즈니스 성과를 높이려는 노력에서 기업의 시장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직원들 역시 시장개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과, 경영자가 시장지향성에 중요도를 두는 정도에 따라 반응도는 높아질 것이라는 점을 K&J 모델에서 주장하고 있다.
  • 가설 H10 : 혁신지향 조직문화는 진취적 기업가행동과 시장정보생성을 매개하여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11 : 혁신지향 조직문화는 진취적 기업가행동과 시장정보대응을 매개하여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1: 혁신지향 조직문화는 진취적 기업가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2: 혁신지향 조직문화는 시장정보생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3 : 진취적 기업가행동은 시장정보생성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4: 혁신지향 조직문화는 시장정보대응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5 : 진취적 기업가행동은 시장정보대응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6 : 진취적 기업가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7 : 시장정보생성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8 : 시장정보대응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H9 : 혁신지향 조직문화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000). 이에 가설 H1은 지지되었다. 혁신지향 조직문화(ADC)와 시장정보생성(ING)의 직접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ADC는 ING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B=.
  • 조직문화는 기업의 미래 잠재수익을 결정하는 무형자원의 중요영역에서 조직 전체에 적용된다[11]. 이와 같은 조직문화와 기업성과 관계에 기초해 가설 H9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형자원이 유형자원에 비해 더욱 중요한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는 위기관리능력 같은 무형자산과 관련이 있고, 조직기능 및 문화적 역량과 관련이 있다[1]. 무형자원은 유형자원이 제한적임에 비해, 무한하고 경쟁자가 쉽게 모방할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다[2]. 게임의 룰과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뀌는 창조적 사고를 하는 감성적 성향을 지닌 인재가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는 시대에 경영환경의 변화를 극복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키우는 역량으로 기업의 무형자산과 문화적 역량이 중요시 되고 있다.
기업의 핵심적인 두 가지 성공요인은 무엇인가? 조직문화는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와 생존능력을 확보하여 긍정적인 조직성과를 얻을 수 있어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혁신을 도모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방법으로, 강력한 조직문화가 전략 및 리더십과 합치하면 긍정적인 조직성과를 얻을 수 있으며, 조직문화를 통해 원하는 변화를 이뤄내고, 험난한 시기에도 번창하는 조직을 만들 수 있다[3]. 또한 기업의 핵심적인 두 가지 성공요인으로 진취적 기업가행동과 시장지향성을 주장할 수 있다[4]. 기업의 혁신활동 능력은 조직에서 일부 새로운 프로세스, 제품 또는 아이디어를 도입할 수 있는 조직의 구성원이 기술혁신의 채택을 고려할 의향이 있는지 또는 그 채택에 대한 여부를 포함하는 행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지와 관련이 있다[5].
기업가정신과 시장지향이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Hayes(2013년)가 제안한 부트스트래핑의 연구방법을 통해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조직문화와 경영성과 사이에는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없었지만, 조직문화와 경영성과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행동과 시장지향성을 모두 매개함으로써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시장지향성 등 기존 이론과 연계하고 기업성과에 필요한 역량목표의 범위를 조직문화로 확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Hall, R. (1993). A framework linking intangible resources and capabiliites to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4(8), 607-618. 

  2. J. Y. Park, S. S, Choi, & S. K. Hong (2011). The effects of market orientation, marketing capability on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in SME. Korean J. Bus. Adm, 24, 1115-1137. 

  3. Groysberg, B., Lee, J., Price, J., & Cheng, J. (2018). The leader’s guide to corporate culture. Harvard Business Review, 96(1), 44-52. 

  4. Atuahene-Gima, K., & Ko, A. (2001).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lignment on product innovation. Organization science, 12(1), 54-74. 

  5. Van de Ven, Andrew H. (1986).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Management science 32.5 590-607. 

  6. Hult, G. T. M., Hurley, R. F., & Knight, G. A. (2004). Innovativeness: Its antecedents and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3(5), 429-438. 

  7. Groysberg, Boris, et al. (2018), The leader's guide to corporate culture. Harvard Business Review 96.1, 44-52 

  8. Y. M. Nam, & H. S. Kim. (2016). Influences of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istics on job attitude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semiconductor industry. Procedia Computer Science, 91, 1106-1115. 

  9. Y. W. PARK & Paul, HONG. (2019). Innovator Companies in the USA. In Creative Innovative Firms from Japan (pp. 91-106). Springer, Singapore. 

  10. Y. S. Noh, & S. K. Lee. (2018).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Personnel System and Organizational Culture-Focused on domestic ICT enterpri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211-224. 

  11. Ozkaya, H. E., Droge, C., Hult, G. T. M., Calantone, R., & Ozkaya, E. (2015). Market orientation, knowledge competence, and inno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32(3), 309-318. 

  12. A. K. Kohli & B. J. Jaworski. (1990). Market orientation: the construct, research proposi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keting, 54(2), 1-18. 

  13. B. J. Jaworski & A. K. Kohli. (1993). Market orientat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marketing, 57(3), 53-70. 

  14. Hagen, B., Zucchella, A., Larimo, J., & Dimitratos, P. (2017). A taxonomy of strategic postures of international SMEs. European Management Review, 14(3), 265-285. 

  15. Hall, R. (1992). The strategic analysis of intangible resource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3(2), 135-144. 

  16. Bharadwaj, S. G., Varadarajan, P. R., & Fahy, J. (1993).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in service industries: a conceptual model and research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57(4), 83-99. 

  17. Cameron, K. S., & Quinn, R. E. (2011).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John Wiley & Sons. 

  18. J. S. Kwon, (2011). The influence of innovative organization culture to human resource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6(1), 153-182. 

  19. Wood, Matthew, et al. (2014). Discerning Opportunity Types: Implications for Entrepreneurial Action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novative Pathways for University Entrepreneurship in the 21st Century. (Advances in the Study of Entrepreneurship,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24). 119-144 

  20. Drucker, P. (2014).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Routledge. 

  21. D. F. Kuratko, R. D. Ireland, J. G. Covin & J. S. Hornsby. (2005). A model of middle-level managers' entrepreneurial behavior.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9(6), 699-716. 

  22. Kuratko, D. F., Hornsby, J. S., & Covin, J. G. (2014). Diagnosing a firm's internal environment for corporate entrepreneurship. Business Horizons, 57(1), 37-47. 

  23. Bruns, T., & Stalker, G. M. (1961).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Tavistock, London, 120-122. 

  24. E. S. Ryu, (2015). The Effects of Market Orientation and Entrepreneur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5. Lumpkin, G. T., & Dess, G. G. (2001). Linking two dimension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o firm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 of environment and industry life cycl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16(5), 429-451. 

  26. Lambin, J. J., Chumpitaz, R., & Schuiling, I. (2007). Market-driven management: Strategic and operational marketing.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27. Kohli, A. K., & Jaworski, B. J. (1990). Market orientation: the construct, research proposi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keting, 54(2), 1-18. 

  28. Schein, E. H. (1985). Organizational culture and leadership San Francisco. San Francisco: Jossey-Basss. 

  29. Quinn, R. E., & Rohrbaugh, J. (1983). A spatial model of effectiveness criteria: Towards a competing values approach to organizational analysis. Management science, 29(3), 363-377. 

  30. Engelen, A., Flatten, T. C., Thalmann, J., & Brettel, M. (2014).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 comparison between Germany and Thailand. Journal of small business management, 52(4), 732-752. 

  31. Jambulingam, T., Kathuria, R., & Doucette, W. R. (2005).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s a basis for classification within a service industry: the case of retail pharmacy industry.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3(1), 23-42. 

  32. Kohli, A. K., & Jaworski, B. J. (1990). Market orientation: the construct, research proposi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keting, 54(2), 1-18. 

  33. Vorhies, D. W., & Morgan, N. A. (2005). Benchmarking marketing capabilities for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marketing, 69(1), 80-94. 

  34. D. S. Chung, & K. J. Lee (2007).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Market Orient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14(4) 295-311. 

  35. E. S. Lee, & B. K.Kim (2018).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xternal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Korean Manufacturing SME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Open Innovatio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26(2), 37-68. 

  36. H. S.Han, & S. M.Yoon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rporate culture on financial performance: Focusing on hotel corporate culture and perceived performance.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20(1), 2, 267-284 

  37. Felgueira, T., & Rodrigues, R. G. (2012).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performance of teachers and researchers in public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11(4), 703-718. 

  38. Lafferty, B. A., & Hult, G. T. M. (2001). A synthesis of contemporary market orientation perspective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9. H. E. Lee. (2014). Review of methods for testing mediating effects in recent HRD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6(2), 225-249. 

  40. J. W. Hwang & K. M. Park. (2014). Competency, Self-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Job Performance : Focused on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2(1), 193-207. 

  41. H. S. Lee & S. H. Lee. (2017). Diagnosis of Organizational Culture: Focused on Public Institutions.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5(3), 9-16. 

  42. Y. H. Ju & M. J. Sun. (2018).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6(7), 153-16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