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운증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이 자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 가족역량강화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f Down's Syndrome Family on Children's Independent Living: Focused on Mediating Effect : Mediating effect of strengthening family capac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8, 2020년, pp.213 - 222  

김정선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행정학과) ,  신경안 (동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운중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다운증후군 자녀들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가족역량강화가 매개역할이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운증후군 부모회 가족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WIN 25.0을 활용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바론과 케니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운증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자립생활수준이 높게 나타나 가족응집성은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족응집성과 자녀의 자립생활 사이에서 가족역량강화가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다운증후군 자녀의 자립지원 실현에 대한 정책적 접근 및 지원방안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to verify whether family competency reinforcement had a mediating role on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f the Down syndrome family upon the independent life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For the research, 146 families belonged to Down Syndrome Parent Assembly were surveyed an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교육을 통해 습득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교육체계가 아닌 가족체계가 자립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역량강화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다운증후군 146가족을 대상으로 다운증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을 가족역량강화를 매개로하여 다운증후군 자녀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다운증후군 가족응집성이 다운증후군 자녀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목적을 도출하기 위하여 양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양적조사는 2019년 3월부터 5월까지 진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운중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이 다운증후군 자녀들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가족역량강화가 매개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셋째, 다운증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과 자녀의 자립생활에서 가족역량강화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 따라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에는 선행연구 고찰의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다운증후군 가족구성원 응집성 등 자녀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다운증후군 자녀 자립생활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둘째, 다운증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가족역량강화에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 018)로 나타났다. 주요변수의 왜도는 3 미만, 첨도는 7미만으로 정규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가정 할 수 있었다.
  • 첫째, 다운증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자립생활이 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의 경우 자립생활이란 무엇으로 정의할 수 있는가? 발달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의 경우 자립생활이란 ‘장애가 있는 당사자가 자신의 삶에 대해 기본적인 결정을 자신 스스로 조절하고 본인이 살고 싶은 곳에서 살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강조하고 있는 것은 보호가 아니라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을 강조하는 것이다[11]. 즉, 장애인의 자립생활은 제도적 차원의 공식적 지원 외에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가족 등의 비공식 체계의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다운증후군의 증상발현 중 신체 운동역역에서는 무엇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가? 다운증후군 역시 발달장애의 한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산모의 연령대와 관계없이 800명에서 1,000명 중 1명의 출산빈도를 나타내고 있다[1]. 다운증후군의 증상발현은 21번 염색체 이상으로 심장, 호흡기계의 이상 등[1]이 나타나며, 신체 운동영역에서도 비정상적인 보행과 자세조절, 환경변화에 대한 느린 반응, 부족한 협응 능력 등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다운증후군 가족의 가족 응집성이 다운증후군 자녀들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가족역량 강화가 매개 역할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바론과 케니가 제안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운증후군 가족의 가족응집성이 높을수록 자녀의 자립생활수준이 높게 나타나 가족응집성은 자립생활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족응집성과 자녀의 자립생활 사이에서 가족역량강화가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다운증후군 자녀의 자립지원 실현에 대한 정책적 접근 및 지원방안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 Cohen. (2005). Medical care of the child with Down syndrome. In M. Butler, F. Meaney, (Eds.) Genetic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pp. 223-246), New York: Taylor and Francis Group. 

  2. F. M. Lai, B. H. Woo, K. H. Tan, J. Huang, S. T. Lee, T. B. Yan, B. H. Tan, S. K. Chew & G. S. Yeo. (2002). Birth prevalence of Down syndrome in Singapore from 1993 to 1998. Singapore Medical Journal, 43(2), 70-76. 

  3. R. M. Hodapp. (2007). Families of persons with Down syndrome: New perspective, findings, and research and service needs.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13, 279-287. DOI : 10.1002/mrdd.20160. 

  4. R. F. Schilling, M. A. Kirkham, W. H. Snow & S. Schinke. (1986). Single mothers with handicapped children: Different from their married counterparts?, Family Relations, 35, 69-77. 

  5. H. Y. Sari, G. Baser & J. M. Turan. (2006). Experience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Pediatric Nursing, 18(4), 29-32. DOI : 10.7748/paed2006.05.18.4.29.c1024. 

  6. M. Van Riper. (2000). Family Variables Associated With Well-Being in Sibling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Journal of Family Nursing, 6(3), 267-286. DOI : 10.1177/107484070000600305. 

  7. D. J. Fidler, R. M. Hodapp & E. M. Dykens. (2000). Stress in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own syndrome, Williams syndrome, and Smith-Magenis syndrome.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 395-406. DOI : 10.1207/s15566935eed1104_2. 

  8. J. E. Dumas, L. C. Wolf, S. N. Fisman & A. Culligan. (1991). Parenting stress, child behavior problems, and dysphoria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Down syndrome, begavior disorders, and normal development. Exceptionality, 2, 97-110. DOI : 10.1080/09362839109524770. 

  9. H. J. Shin & E. S. Jang. (2019). Therapeutic Strategies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y, Family and Family Therapy, 27(2), 275-301. 

  10. E. S. Hong & S. C. Oh(2019). A Development, Implement and Evaluation of Family Camp for Family with a Child with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21(3), 1-28. 

  11. L. A. King, C. K. Scollon, C. Ramsey & T. Williams. (2006). Stories of life transi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ego developmen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4, 509-536. DOI : 10.1006/jrpe.2000.2285. 

  12. Y. D. Kim. & S. K. Park. (2008). Differences on Self-determination Experiences of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according to Livings in the Different Types of Residential Hom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0(4), 79-103. 

  13. N. M. Crewe. and I. K. Zola. (2001). Independent living for physically disabled people. Lincoln:iUniverse.com. 

  14. Y. D. Kim. (2018). Community Care, What to do?, Participatory Solidarity Social Welfare Committee, Monthly Welfare Trend, 238, 5-10. 

  15. Y. D. Kim. (2013). The Effect of Disability Attitude on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Severe Disabled at Hom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16. S. T. Park. (2010). The Study ab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Group Home, Disability & Employment, 20(4), 323-354. 

  17. S. H. Shin, Y. H. Kim & S. T. Park. (2006). Effects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on the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of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2(2), 113-119. 

  18. S. Y. Kim. (1997). Family burden and social support to care for stroke patients.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9. H. K. Oh, E. Y. Baek & M. S. Um. (2001). Basic research for development of a self-reliant living practice model for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Rehabilitation Foundation Thesis Collection, 9, 3-78. 

  20. Y. J. Kim. (2017). The Effect of Children's Family forgiveness and Family cohesion on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Peer Relationship,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1. J. H. Hong. (2018). The Efects of Transiton Suport Program for Students and Familes on Self-determination, Carer Decision-Making Self-Eficacy and Family Empowerment in High Sch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ties and Their Famile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S. W. Hwang & S. T. Park. (2012). Factors Influencing Independent Life of Independent Life Education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14(4), 311-340. DOI : 10.1111/jir.12305. 

  23. H. K. Choi. (2015). Adaptation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 Mixed-methods Design, J Korean Acad Nurs, 45(4), 501-512. DOI : 10.4040/jkan.2015.45.4.501. 

  24. E. K. Choi. (2009). Resilience of Families with Children with Down Syndrome.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Seoul. 

  25. K. R. Jung. (2009). A Qualitative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Parents with Down Syndrome Children. Master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26. J. Y. Lee. (2015). A Case Study of Dance Performance by Students with Down Syndrome and Teachers-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Aesthetic Experience, Philosophy of Movement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 Society for Sport and Dance 2015, 23(1), 155-174. 

  27. C. H. Lee & H. S. Jo. (2012). Family Cohesion with and without Sibling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Effect of Family Adaptation on the Involuntary Vocational Values of Adolescent Siblings, Korean Family Management Association Conference, 393-393. 

  28. Y. H. Nam & I. S. Chae. (200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dependence of severely disabled people using meta-analysis, Welfare Administration, 18(2), 179-198. 

  29. S. K. Park. (2016). The present condition and tasks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18(1), 205-234. 

  30. S. K. Park, N. R. Lim & S. W. Lee. (2019). Developing a "Supported housing program for individuals" for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evelopmental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applying Living lab mod, Korean Society for the Disabled, 46(46), 59-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