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에서 태풍과 중규모 소용돌이가 준관성주기파 에너지 생성과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yphoon and Mesoscale Eddy on Generation and Distribution of Near-Inertial Wave Energy in the East S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5 no.3, 2020년, pp.55 - 66  

송하진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대학원) ,  전찬형 (매사추세츠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  채정엽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대학원) ,  이은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대학원) ,  이강녕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대학원) ,  (큐슈대학교 응용역학연구소) ,  최영석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대학원) ,  박재훈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준관성주기파(NIW)는 주로 바람에 의해 생성되며, 해양 연직혼합에 중요한 요소이다. 태풍의 빠른 풍속과 이동경로에 따른 풍향변화는 NIW 생성에 충분한 조건을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 실시간 해황예보모형 출력자료를 이용하여 태풍의 영향으로 인한 NIW의 생성과 분포 그리고 동해 중규모 소용돌이가 NIW의 심층 전파에 주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용한 출력자료 기간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총 5개년이며, 이 기간 중 동해에 강한 NIW에너지를 만든 3개 태풍(할롱, 고니, 차바)에 초점을 맞추었다. 태풍에 의한 NIW 변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강제력으로 작용하는 태풍의 바람에너지유입(${\bar{W}}_I$)과 함께 NIW 에너지의 지표인 혼합층 및 심층 수평운동에너지(${\bar{HKE}}_{MLD}$, ${\bar{HKE}}_{DEEP}$)를 계산하였다. ${\bar{HKE}}_{MLD}$${\bar{W}}_I$와 밀접한 관련을 보였으며 태풍 경로의 오른편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bar{HKE}}_{DEEP}$는 주로 동해 남부에서 패치형태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음의 상대 소용돌이도를 가지는 난수성 소용돌이와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NIW에너지에 태풍이 주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태풍이 없는 여름철과 12월의 에너지와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태풍에 의한 ${\bar{HKE}}_{MLD}$는 태풍이 없는 여름에 비해 2.5~5.7배, NIW가 가장 큰 12월 평균대비 0.4~1.0배였고, 태풍에 의한 ${\bar{HKE}}_{DEEP}$는 태풍이 없는 여름대비 1.2~1.6배, 12월 평균대비 0.8~1.0배로 태풍에 의한 NIW가 혼합층과 심층의 해양 연직혼합 모두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ear-inertial waves (NIW) which are primarily generated by wind can contribute to vertical mixing in the ocean. The energetic NIW can be generated by typhoon due to its strong wind and preferable wind direction changes especially on the right-hand side of the typhoon. Here we investigate the genera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태풍의 강한 바람은 표층해양에 강한 모멘텀을 제공하는데, 특히 태풍 경로의 우측 해역에서는 이동하는 태풍이 고정된 해당 해역에 시계방향의 바람을 유도하게 되어 태풍의 왼편보다 강한 NIW 에너지를 야기할 수 있다(D’Asaro, 198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에 진입한 태풍에 의한 NIW의 생성과 함께 소용돌이의 효과를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자료동화 된 실시간 해황예보모형의 입력 및 출력값이며, 연구 해역은 동해 전역을 포함한다(Fig.
  • 본 연구는 2013부터 2017까지 5년간의 해황예보모형(DR_M)의 입력 및 산출값을 이용하여 동해에서 태풍에 의한 NIW 의 생성과 분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기간동안 동해에 영향을 준 6개의 태풍 중에서 강한 # 와 NIW 에너지가 나타난 3개 태풍 할롱, 고니, 차바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준관성주기파란? 준관성주기파(Near-inertial waves, NIW)는 바람이 부는 전 지구 해양 어디에서나 존재할 수 있으며, NIW의 주기는 일반적으로 해당 위도의 관성진동수(local inertial frequency, f)에 의해 결정된다. NIW는 해양의 연직 혼합을 야기하여 전지구적 성층구조와 열염분순환을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Munk and Wunsch, 1998).
동해에서 NIW에 대한 연구는 무엇에 대해 진행된 바 있는가? 동해에서 NIW에 대한 연구는 태풍에 의한 NIW의 생성(Nam and Park, 2013)과 난수성 소용돌이와의 상관성(Park and Watts, 2005; Byun et al., 2010; Kawaguchi et al., 2020)에 대하여 진행된 바 있다. 최근 Jeon et al.
본 연구에서는 동해에 진입한 태풍에 의한 NIW의 생성과 함께 소용돌이의 효과를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둔 이유는? (2019b)은 실시간 해황예보모형 출력값을 이용하여 동해 혼합층 및 심층에서 NIW의 계절변동성과 소용돌이의 영향에 대하여 밝혔으나, 태풍이 만들어내는 NIW 에너지에 대해선 면밀히 살펴보지 않았다. 태풍의 강한 바람은 표층해양에 강한 모멘텀을 제공하는데, 특히 태풍 경로의 우측 해역에서는 이동하는 태풍이 고정된 해당 해역에 시계방향의 바람을 유도하게 되어 태풍의 왼편보다 강한 NIW 에너지를 야기할 수 있다(D’Asaro, 198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에 진입한 태풍에 의한 NIW의 생성과 함께 소용돌이의 효과를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lford, M.H., 2001. Internal swell generatio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nergy flux from the wind to mixed layer near­inertial motions. J. Phys. Oceanogr., 31(8): 2359-2368. 

  2. Alford, M.H., 2003. Redistribution of energy available for ocean mixing by long­range propagation of internal waves. Nature, 423: 159-162. 

  3. Byun, S.-S., J.J. Park, K.-I. Chang and R.W. Schmitt, 2010. Observation of near­inertial wave reflections within the thermostad layer of an anticyclonic mesoscale eddy. Geophys. Res. Lett., 37: L01606. 

  4. Chang, K.-I., C.I. Zhang, C. Park, D.J. Kang, S.J. Ju, S.H. Lee and M. Wimbush, 2016. Oceanography of the East Sea (Japan Sea). Springer, 460 pp. 

  5. Chang, K.-I., W.J. Teague, S.J. Lyu, H.T. Perkins, D.-K. Lee, D.R. Watts, Y.-B. Kim, D.A. Mitchell, C.M. Lee and K. Kim, 2004. Circulation and curr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Overview and review. Prog. Oceanogr., 61(2-4): 105-156. 

  6. Crawford, G.B. and W.G. Large, 1996. A numerical investigation of resonant inertial response of the ocean to wind forcing. J. Phys. Oceanogr., 26(6): 873-891. 

  7. D'Asaro, E.A., 1985. The energy flux from the wind to near­inertial motions in the surface mixed layer. J. Phys. Oceanogr., 15(8): 1043-1059. 

  8. Furuichi, N., T. Hibiya and Y. Niwa, 2008. Model-predicted distribution of wind-induced internal wave energy in the world's oceans. J. Geophys. Res. Oceans., 113: C09034. 

  9. Gent, P.R. and J.C. Mcwilliams, 1990. Isopycnal mixing in ocean circulation models. J. Phys. Oceanogr., 20(1): 150-155. 

  10. Hirose, N., 2011. Inverse estimation of empirical parameters used in a regional ocean circulation model. J. Oceanogr., 67: 323-336. 

  11. Hirose, N., C.H. Kim and J.H. Yoon, 1996. Heat budget in the Japan sea. J. Oceanogr., 52: 553-574. 

  12. Hirose, N., K. Takayama, J.-H. Moon, T. Watanabe and Y. Nishida, 2013. Regional data assimilation system extended to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Umi to Sora (Sea and Sky), 89(2): 1-9. 

  13. Isoda, Y., 1994. Warm eddy movements in the eastern Japan Sea. J. Oceanogr., 50(1): 1-15. 

  14. Jeon, C., J.-H. Park, H. Nakamura, A. Nishina, X.H. Zhu and D.G. Kim, 2019a. Poleward-propagating near-inertial waves enabled by the western boundary current. Sci. Rep., 9(1): 9955. 

  15. Jeon, C., J.-H. Park and Y.-G. Park, 2019b.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near-inertial waves in the East/Japan Sea from a high-resolution wind-forced ocean model. J. Geophys. Res. Oceans., 124: 6015-6029. 

  16. Jeon, C., J.-H. Park, S.M. Varlamov, J.-H. Yoon, Y.H. Kim, S. Seo, Y.-G. Park, H.S. Min, J.H. Lee and C.-H. Kim, 2014. Seasonal variation of semidiurnal internal tides in the East/Japan Sea. J. Geophys. Res. Ocean., 119, 2843-2859. 

  17. Kawaguchi, Y., T. Wagawa and Y. Igeta, 2020. Near-inertial internal waves and multiple-inertial oscillations trapped by negative vorticity anomaly in the central Sea of Japan. Prog. Oceanogr., 181: 102240. 

  18. Kim, E., D. Jeon, C.J. Jang and J.-H. Park, 2013. Typhoon Rammasun-induced near-inertial oscillations observed in the tropical Northwestern Pacific Ocean. Terr. Atmos. Ocean. Sci., 24(4): 761-772. 

  19. Kondo, J., 1975. Air-sea bulk transfer coefficients in diabatic conditions. Boundary-Layer Meteorol., 9: 91-112. 

  20. Kunze, E., 1985. Near­inertial wave propagation in geostrophic shear. J. Phys. Oceanogr., 15: 544-565. 

  21. Large, W.G. and G.B. Crawford, 1995. Observations and simuluations of upper-ocean response to wind events during the ocean storms experiment. J. Phys. Oceanogr., 25: 2831-2852. 

  22. Lee, D.-K. and P.P. Niiler, 1998. The inertial chimney: The near­inertial energy drainage from the ocean surface to the deep layer. J. Geophys. Res., 103(C4), 7579-7591. 

  23. Lee, H.J., J.-H. Yoon, H. Kawamura and H.-W. Kang, 2003. Comparison of RIAMOM and MOM in modeling the East Sea/Japan Sea circulation. Ocean Polar Res., 25(3):287-302. 

  24. MacKinnon, J.A., Z. Zhao, C.B. Whalen, A.F. Waterhouse, D.S. Trossman, O.M. Sun, L.C. St Laurent, H.L. Simmons, K. Polzin, R. Pinkel, A. Pickering, N.J. Norton, J.D. Nash, R. Musgrave, L.M. Merchant, A.V. Melet, B. Mater, S. Legg, W.G. Large, E. Kunze, J.M. Klymak, M. Jochum, S.R. Jayne, R.W. Hallberg, S.M. Griffies, S. Diggs, G. Danabasoglu, E.P. Chassignet, M.C. Buijsman, F.O. Bryan, B.P. Briegleb, A. Barna, B.K. Arbic, J.K. Ansong and M.H. Alford, 2017. Climate process team on internal wave driven ocean mixing. Bull. Amer. Meteor. Soc., 98(11): 2429-2454. 

  25. Moon, J.-H., N. Hirose and A. Morimoto, 2012. Green's function approach for calibrating tides in a circulation model for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J. Oceanogr., 68: 345-354. 

  26. Morimoto, A., T. Yanagi and A. Kaneko, 2000. Eddy field in the Japan Sea derived from satellite altimetric data. J. Oceanogr., 56(4): 449-462. 

  27. Munk, W. and C. Wunsch, 1998. Abyssal recipes II: Energetics of tidal and wind mixing. Deep. Res. Part I Oceanogr. Res. Pap., 45(12): 1977-2010. 

  28. Nam, S. and Y.-G. Park, 2013. Simulation of wind-induced near-inertial oscillations in a mixed layer near the east coast of Korea in the East/Japan Sea. Acta. Oceanol. Sin., 32: 11-20. 

  29. Niwa, Y. and T. Hibiya, 1999. Response of the deep ocean internal wave field to traveling midlatitude storms as observed in long­term current measurements. J. Geophys. Res., 104(C9): 20857. 

  30. Noh, Y. and H.J. Kim, 1999. Simulations of temperature and turbulence structure of the oceanic boundary layer with the improved near­surface process. J. Geophys. Res., 104(C7): 15,621-15,634. 

  31. Park, J.-H., M. Andres, P.J. Martin, M. Wimbush and D.R. Watts, 2006. Second-mode internal tides in the East China Sea deduced from historical hydrocasts and a model. Geophys. Res. Lett., 33: L05602. 

  32. Park, J.-H. and D.R. Watts, 2005. Near-inertial oscillations interacting with mesoscale circulation in the southwestern Japan/East Sea. Geophys. Res. Lett., 32: L10611. 

  33. Park, J.J. and K. Kim, 2013. Deep currents obtained from Argo float trajectories in the Japan/East Sea. Deep-Res. II, 85: 169-181. 

  34. Park, Y.-G., J.-H. Park, H.J. Lee, H.S. Min and S.-D. Kim, 2013. The effects of geothermal heating on the East/Japan Sea circulation. J. Geophys. Res. Ocean., 118: 1893-1905. 

  35. Talley, L.D., P. Tishchenko, V. Luchin, A. Nedashkovskiy, S. Sagalaev, D.-J. Kang, M. Warner and D.-H. Min, 2004. Atlas of Japan (East) Sea hydrographic properties in summer, 1999. Prog. Oceanogr., 61(2-4): 277-348. 

  36. Thomson, R.E. and I.V. Fine, 2003. Estimating mixed layer depth from oceanic profile data. J. Atmos. Oceani. Technol., 20(2): 319-329. 

  37. Trusenkova, O.O., S.V. Stanichnyi and Y.B. Ratner, 2007. Major variability modes and wind patterns over the Sea of Japan and adjacent areas. Izv. Atmos. Ocean. Phys., 43(5): 634-648. 

  38. Varlamov, S.M., X. Guo, T. Miyama, K. Ichikawa, T. Waseda and Y. Miyazawa, 2015. M2 baroclinic tide variability modulated by the ocean circulation south of Japan. J. of Geophys. Res. Ocean., 120, 3681-3710. 

  39. Whalen, C.B., J.A. MacKinnon and L.D. Talley, 2018. Large-scale impacts of the mesoscale environment on mixing from wind-driven internal waves. Nat. Geosci. 11: 842-8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