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문제와 해결책에 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Marine Plastic Waste Problem and Solution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9 no.3, 2020년, pp.399 - 411  

문공주 (서울대학교) ,  서경운 (서울대학교) ,  강은희 (서울대학교) ,  황요한 (이화여자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lementary students perceive and approach the issue of plastic debris in marine habitats by examining students' perspectives on the ecosystem and environmental solu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to 143 Grade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fter implementing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초등학생이 인식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문제 인식에 나타나는 생태계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가?
  • 본 연구는 2차시 블록 수업 시간에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를 주제로 한 수업을 진행하였고, 참여 학생들에게 활동지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응답을 받았다. 수업은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한 해양 환경 오염 문제를 이해하도록 하는 SSI 수업으로, 학생들이 플라스틱 쓰레기의 문제점을 인식할 수 있는 동영상을 시청하고, 보드게임 방식의 unplugged activity를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술형 문항의 답변에 나타난 학생들의 인식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분석기준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분석기준은 4인의 과학교육학 박사학위를 가진 전문 연구자들이 학생들의 답변에 나타난 응답 내용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 및 해결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드러나는 학생들의 생태계에 대한 관점과 해결책의 맥락 수준을 살펴보았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결론과 제언을 정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와 관련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서술형 답안을 토대로 키워드를 추출하고, 문제와 해결책 각각에 대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문제에 대한 응답 143개 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와 관련이 없는 16개 답안을 제외하여 127개의 응답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생태계 구성요소로 생물권(인간 제외), 비생물권 그리고 인간을 구분하여 어떤 구성 요소들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즉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생태계 구성요소 영역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127개의 응답 중 생물권(인간 제외)을 포함한 응답은 116개, 비생물권을 포함한 응답은 88개, 인간을 포함한 응답은 65개였으며, 세 가지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한 응답은 45개로 나타났다.
  • 현재 우리나라 학생들의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효과적인 환경 프로젝트 개발이나 미래세대의 해양환경교육 구성 단계에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해결책의 맥락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에 개방형 문항을 통해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 인간이 생태계 일부라는 인식은 생태 교육의 중요한 목표로 학생들이 환경문제를 책임감 있게 인식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므로(Ha & Lee, 2013) 학생들의 답변에서 인간을 포함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플라스틱이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 2004)의 증가로 인한 해양 생태계 위기가 중요한 환경문제로 주목받고 있다(Hong, 2015). 미세플라스틱은 의도적으로 작게 제작되거나, 풍화를 거침으로 인해 5mm 미만으로 작아진 플라스틱 알갱이를 의미한다.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문제가 주목받는 이유는 이런 미세플라스틱을 플랑크톤과 바다생물이 섭취하게 되고, 이후 먹이사슬 단계를 따라 상위 포식자로 이동하여 결국 인간도 이를 섭취하여 생태계 안의 모든 생물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일환으로 어떤 운동이 일어나고 있나요?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일환으로 일회용품 줄이기 운동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일회용품으로 플라스틱은 싸고 쉽게 원하는 모양을 만들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다.
풍화를 거침으로 인해 5mm 미만으로 작아진 플라스틱 알갱이를 의미하는 미세 플라스틱에 대한 문제가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미세플라스틱은 의도적으로 작게 제작되거나, 풍화를 거침으로 인해 5mm 미만으로 작아진 플라스틱 알갱이를 의미한다.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문제가 주목받는 이유는 이런 미세플라스틱을 플랑크톤과 바다생물이 섭취하게 되고, 이후 먹이사슬 단계를 따라 상위 포식자로 이동하여 결국 인간도 이를 섭취하여 생태계 안의 모든 생물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처럼 플라스틱 쓰레기는 생물체의 삶의 터전을 빼앗고, 생태계에 커다란 위협이 되고 있어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 D. & Kim, J. (2018). Proposing policy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from microplastic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26(3), 77-102. 

  2. Choi, B. & So, K. (2019). The effects of marine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 using discussion and debate method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Biology Education, 47(3), 290-301, 

  3. Choi, K., Lee, H., Shin, N., Kim, S.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4. Chow, C., So, W. M. W. & Cheung, T.-Y. (2016).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new waste collection bin to facilitate education in plastic recycling. Applied Environmental Education & Communication, 15(1), 45-57. 

  5. Chow, C., So, W. M. W., Cheung, T. Y. & Yeung, S. K. D. (2017). Plastic waste problem and education for plastic waste management. In Emerging practices in scholarship of learning and teaching in a digital era (pp. 125-140). Springer, Singapore. 

  6. Chung, D. H., Cho, K. S. & Yoo, D. Y. (2013). Communication status in group and semantic network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mall group activit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2), 148-161. 

  7. Doerfel, M. L. & Marsh, P. S. (2003). Candidate-issue positioning in the context of presidential debates. Journal of Applied Communication Research, 31(3), 212-237. 

  8. Ha, M. & Lee, J.-K. (2013). Examining two causal models regarding high school students’ ecological perspective: The role of familiarity and ecologistic-naturalistic path.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5), 981-994. 

  9. Hartley, B. L., Thompson, R. C. & Pahl, S. (2015). Marine litter education boosts children’s understanding and self-reported actions. Marine Pollution Bulletin, 90(1-2), 209-217. 

  10. Han, M. H. & Kim, H. B. (2012b). The role of teachers’ question prompt in elementary students’ “Food Web” modeling. Biology Education, 41(2), 296-309. 

  11. Hong, S. (2015). International trends in microplastic marine pollution. Retrieved from http://kiost.ac.kr/synap/skin/doc.html?fnBBS_201608170256362891.pdf&rs/viewer/result/BBSMSTR_000000000331/ 

  12. Hong, J. (2020). Awareness of ecosystem damage and restoration in 6th graders’ ‘Ecosystem Restoration Plan’ activity. School Science Journal, 14(1), 127-136. 

  13. Jang, M., Lim, S., Cehong, C., Kong, S. & Lee, J (2018). Development of educational activity books for children and teenagers based on marine environment literacy and competency of marine environmental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1(2), 153-166. 

  14. Jose, S., Patrick, P. G. & Moseley, C. (2017).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The importance of outdoor classroom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Part B, 7(3), 269-284. 

  15. Kamada, T. & Kawai, S. (1989). An algorithm for drawing general undirected graphs. Information Processing Letters, 31, 7-15. 

  16. Kim A.-S. & Yoo, B.-S. (1996). A study on the conceptions about ecosystem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Biology Education, 24(2), 127-138. 

  17. Kim, H.-J., Jang, M.-D. & Joung, Y. J. (2014).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Plastics’: Focusing on non-polar propert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2), 401-414. 

  18. Kim, H.-J., Jang, M.-D. & Joung, Y. J. (2016).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plastics’: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separate collection with plastic wastes. Jounral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6(1), 13-23. 

  19. Kim, H.-T. & Hwang, S. (2019). Analyzing the levels of understanding about the concept of ecosystem and food web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Biology Education, 47(3), 403-410. 

  20. Kim, J. E. & Song, J. S. (2019).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improvement of plastic waste problems using contextual interviews: Focus on a regulation of disposable plastic cup in stor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3), 79-85. 

  21. Kim, Y., Sim, W., Choi, J., Lee, I., Moon, Y., Kim, D. & Shin H. (2019).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on plastics that threaten marine ecosystems. Conference Procc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pp. 257-260. 

  22. Lee, H. & R. W. Fortner (2007).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issue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7), 705-714. 

  23. Lee, J. & Jung, H. (2019).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plastic waste management policy. Issue & Analysis, 1-25. 

  24. Lee, S. & Kim, S. (2018).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about glob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11(3), 212-223. 

  25. Lee, H., Lee, D. & Lee, J. (2010). Development of franchise education program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Korea Business Review, 14(2), 105-128. 

  26. Mun, K., Hwang, Y. & Kim, M. (2019). Research trend analysis on invention education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2), 657-671. 

  27. Nam, M., Ryu, M. & Ju, E. (2019). Children’s ecological identity formation in urban ecological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artificial bird nest monitoring.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2(4), 498-513. 

  28. Park, J. H. & Cheong, C. (2017).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and future state of elementary students represented by drawing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0(2), 223-236. 

  29. Prokop, P., Tuncer, G. & Kvasnicak, R. (2007). Short-term effects of field programme on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biology: A Slovak experienc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6(3), 247-255. 

  30. Ryu, M. & Kim J. G. (2020). A study on the direction of outreach ocean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ocean environmental education objectiv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3(1), 1-16. 

  31.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112-138. 

  32. Shepardson, D. P. (2005). Student ideas: What is an environment?.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6(4), 49-58. 

  33. Shepardson, D. P., Wee, B., Priddy, M. & Harbor, J. (2007) Students’ metal models of the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327-348. 

  34. So, W.-M. W. & Chow, C. (2018). Environment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A case study with plastic resources and recycling. Education 3-13, 47(6), 652-663. 

  35. So, W.-M. W., Cheng, N-Y. I., Chow, C. F. & Zhan, Y. (2016). Learning about the types of plastic wastes: Effectiveness of inquiry learning strategies. Education 3-13, 44(3), 311-324. 

  36. Susan, F. (2011). Plastic: A toxic love story. MA: Houghton Mifflin Harcourt. 

  37. Thompson, R. C., Olsen, Y., Mitchell, R. P., Davis, A., Rowland, S. J., John, A. W. G., McGonigle, D. & Russell, A. E. (2004). Lost at sea: Where is all the plastic? Science, 304, 838. 

  38. Veiga, J. M., Vlachogianni, T., Pahl, S., Thompson, R. C., Kopke, K., Doyle, T. K., ... & Alampei, I. (2016). Enhancing public awareness and promoting co-responsibility for marine litter in Europe: The challenge of MARLISCO. Marine Pollution Bulletin, 102(2), 309-315. 

  39.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