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공성 금속 샤워헤드가 적용된 상압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한 저온 다결정 실리콘 증착 공정
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Deposition b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Enhanced CVD Using Metal Foam Showerhead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3 no.5, 2020년, pp.344 - 349  

박형규 (한경대학교 IT 융합연구소) ,  송창훈 (연세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오훈정 (연세대학교 BIT 마이크로팹 연구센터) ,  백승재 (한경대학교 IT 융합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rn thin film deposition processes require high deposition rates, low costs, and high-quality films. Atmospheric pressure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AP-PECVD) meets these requirements. AP-PECVD causes little damage on thin film deposition surfaces compared to conventional PECVD. M...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AP-PECVD를 이용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 저온 증착 공정을 플라즈마 파워와 수소 혼합 비율에 따라 실험 연구하였고 가스 흐름을 균일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다공성 금속 샤워헤드를 적용하였다.

대상 데이터

  • 그림 2(a)에는 실험에 사용된 반응실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고, 그림 2(b)에 다공성 금속이 적용된 샤워헤드의 모습이 기존 통상의 가공에 의한 샤워헤드의 모양과 비교되어 있다. 실험에 사용된 다공성 금속의 재질은 니켈(nickel, Ni)이며,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취성 재료인 크롬(chromium, Cr)에 비교해 내구성이 우수 하다. 그리고 공정 진행 시 가스 흐름을 나타낸 개념 도가 그림 3에 나타나 있다.
  • 실험에 사용된 증착장치는 로드락 챔버와 반응실로 구성되어 있다. 4인치 웨이퍼 규격으로 제작된 연구용 증착장치이고, 반응실은 상시 진공으로 유지된다.

이론/모형

  • 그리고 공정 진행 시 가스 흐름을 나타낸 개념 도가 그림 3에 나타나 있다. 박막 분석을 위해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X 선회절분석, 원자탐침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y, AFM)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압플라즈마 CVD 공정 기술개발의 난제는 무엇인가? 상압플라즈마 CVD 공정의 기술개발 난제 중 하나는 균일 공정을 위한 유속의 균일화 구현이다. 선행 연구개발에 따르면 증착 공정이 원료 공급량에 의존하고 (mass transfer limited) 고압에서의 유체 흐름 균일도 구현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5].
상압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은 무엇이 가능한가? 이 기술의 진보된 형태의 공법 중 하나로 개발 중인 방식이 상압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atmospheric pressure plasma enhanced CVD, AP-PECVD)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기존 PECVD보다 더 빠른 속도의 증착 공정이 가능하고, 이온손상 특성을 억제할 수 있음이 공지된 바 있다 [1,2].
플라즈마 에너지에 의해 가열된 중성입자에는 무엇이 있는가? 실험에 사용한 플라즈마 전원 주파수인 60 MHz의 약 100배가량의 열 충돌이 발생하는 조건이고 플라즈마 에너지에 의한 중성입자 및 이온의 가열이 균질하게 일어나는 조건으로 해석할 수 있다. 플라즈마 에너지에 의해 가열된 중성입자의 종류는 헬륨, 원자수소, 수소 분자 및 미량의 사일렌(silane, SiH4) 및 그 반응기들 (SiH3, SiH2 등)이다. 이 중 헬륨의 밀도가 가장 높지만, 헬륨의 표면 반응 기여는 단순 운동에너지 전달에 한정되기 때문에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S. E. Alexandrov and M. L. Hitchman, Chem. Vap. Deposition, 11, 457 (2005). [DOI: https://doi.org/10.1002/cvde.200500026] 

  2. F. Massines, C. Sarra-Bournet, F. Fanelli, N. Naude, and N. Gherardi, Plasma Processes Polym., 9, 1041 (2012). [DOI: https://doi.org/10.1002/ppap.201200029] 

  3. K. Yasutake, H. Kakiuchi, H. Ohmi, K. Inagaki, Y. Oshikane, and M. Nakano, J. Phys.: Condens. Matter, 23, 394205 (2011). [DOI: https://doi.org/10.1088/0953-8984/23/39/394205] 

  4. H. Ohmi, H. Kakiuchi, K. Yasutake, Y. Nakahama, Y. Ebata, K. Yoshii, and Y. Mori, Jpn. J. Appl. Phys., 45, 3581 (2006). [DOI: https://doi.org/10.1143/JJAP.45.3581] 

  5. G. Kim, S. Park, H. Shin, S. Song, H. J. Oh, D. H. Ko, J. I. Choi, and S. J. Baik, AIP Adv., 7, 125310 (2017). [DOI: https://doi.org/10.1063/1.4996797] 

  6. H. Kakiuchi, H. Ohmi, and K. Yasutake, J. Vac. Sci. Technol., A32, 030801 (2014). [DOI: https://doi.org/10.1116/1.4828369] 

  7. H. Kakiuchi, H. Ohmi, T. Yamada, A. Hirano, T. Tsushima, and K. Yasutake, Journal of Physics: ConferenceSeries, 417, 012052 (2013). [DOI: https://doi.org/10.1088/1742-6596/417/1/012052] 

  8. H. Ohmi, H. Kakiuchi, Y. Hamaoka, and K. Yasutake, J. Appl. Phys., 102, 023302 (2007). [DOI: https://doi.org/10.1063/1.2753675] 

  9. G. Ambrosone, U. Coscia, S. Lettieri, P. Maddalena, M. Ambrico, G. Perna, and C. Minarini, Thin Solid Films, 511, 280 (2006). [DOI: https://doi.org/10.1016/j.tsf.2005.12.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