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저유동성 몰탈 개량체의 응력분담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tress Concentration Ratio of Low Slump Mortar Grouting Mixtures for Improving the Soft Ground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1 no.9, 2020년, pp.15 - 24  

박언상 (Department of Construction System Engineering, Soongsil Cyber University) ,  김병일 (Institute of Technology, Expert Group for Earth & Environment) ,  박승도 (HanYoung Construction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저유동성 몰탈 주입공법의 개량체에 관한 응력분담비를 복합지반법, 지반아칭이론, 소성각법 및 2차원과 3차원 수치해석, 3차원 모형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복합지반법으로 계산된 응력분담비는 89.3, 3차원 지반아칭이론을 적용할 경우 3.75~59.0, 3차원 소성각법의 경우 82.8로 이론별 응력분담비의 차이가 나타났다. 2차원 수치해석 결과 응력분담비는 63.0~77.0으로 개량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차원 수치해석 결과 50.0~56.0으로 2차원 해석 결과 대비 작게 예측되었다. 대형 삼축압축셀을 이용한 특수 모형 실험의 경우 하중단계별 응력분담비는 53.0~60.0으로 나타났고, 실험으로 평가한 응력분담비는 2차원과 3차원 수치해석적 예측치 내에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저유동성 몰탈 주입 공법의 개량체에 대하여 해석 및 실험값을 바탕으로 개량율에 따른 응력분담비에 대한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tress concentration ratio for the improved material of the low slump mortar grouting was evaluated through the composite ground method, the ground arching theory, the plastic angle method, the 2D and 3D numerical analysis and the 3D model experiment. The stress concentration rati...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실스케일 조건을 구현한 수치해석 침하량을 상사법칙에 의해 모사된 대형 3차원 모형실험에서 발생시켜 연약지반과 개량체간에 발생하는 응력분담비를 산정하였다. 또한, 그 결과를 기존 이론 및 연구 문헌에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상호 비교 검증하므로써 신뢰성 높은 설계 응력분담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설계 사례를 바탕으로 대상 대표 단면에 대하여 설계 개량율을 고려한 응력분담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대상 단면과 개량율은 Fig.
  • 본 연구에서는 저유동성 몰탈 주입공법으로 개량된 복합지반의 응력분담비를 평가하기 위하여 2차원 및 3차원 수치해석과 3차원 복합지반을 모사하는 지반모형을 제작하여 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실스케일 조건을 구현한 수치해석 침하량을 상사법칙에 의해 모사된 대형 3차원 모형실험에서 발생시켜 연약지반과 개량체간에 발생하는 응력분담비를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이때의 지반아칭 형상은 Hewlett & Randolph(1998)가 가정한 폭이 말뚝캡 폭의 1/2인 지반아치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유동성 몰탈 주입공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저유동성 몰탈 주입공법(Low Slump Mortar Grouting, LSMG)은 슬럼프가 작은 저유동성 재료(5cm 이내)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입재가 계획된 장소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균질한 고결체를 형성한다. 또한 주입된 재료는 주변지반을 압축 강화시켜서 지반을 개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강도를 임의로 조절(3MPa∼20MPa)할 수 있으며, 강도가 균질한 고결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말뚝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기설 구조물의 주변 혹은 지하실 등 좁은 작업 장소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 특히, 일반적인 심층혼합처리공법 대비 저소음, 저진동으로 공해가 적고, 단시간에 큰 강도와 큰 강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기존에 사용하던 연약지반개량공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연약지반개량공법은 연직배수공법, 모래다짐말뚝공법, 쇄석말뚝공법, 치환공법 등이 있다. 이러한 공법들은 지반의 강도를 개선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두꺼운 연약지반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지반개량 공사에 심층혼합처리공법, 고압분사공법 및 저유동성 몰탈 주입공법 등의 시멘트계 지반보강공법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연약지반개량공법엔 무엇이 있는가? 연약지반개량공법은 연직배수공법, 모래다짐말뚝공법, 쇄석말뚝공법, 치환공법 등이 있다. 이러한 공법들은 지반의 강도를 개선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두꺼운 연약지반에는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SI (1995), Code of practice for strengthened/reinforced soils and other fills, BS 8006. 

  2. Building Center of Japan (2002), Design And Quality Control Guide For Improved Ground For Building, pp. 19-26. 

  3. Carlsson, B. (1987), Reinforced soil, principles for calculation, terratema AB, Linkoping, pp. 15-33. 

  4. Guido, V. A., Kneuppel, J. D. and Sweeney, M. A. (1987), Plate loading tests on geogrid reinforced earth slabs (New Orleans), Proc. Geosynthetics, pp. 216-225. 

  5. Hewlett, W. J. and Randolph, M. F. (1988), Analysis of piled embankments, Ground Engineering, Vol. 21, No. 3, pp. 12-18. 

  6. Hong, W. P. and Lee, K. W. (2002), A study on the effect of carrying vertical loads over embankment pile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8, No. 4, pp. 285-294. 

  7. Japan Civil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2007), ALiCC method manual for ground improvement, Kashima publication, pp. 224-229. 

  8. Jones, C. J. F. P., Lawson, C. R. and Ayres, D. J. (1990), Geotextile reinforced piled embankments. in: geotextiles, geomembranes and related products, Den Hoedt(ed.), Balkema, Rotterdam, pp. 155-160. 

  9. Low, B. K., Tang, S. K. and Chao, V. (1994), Arching in piled embankments, J. of Geo. Eng., ASCE, Vol. 120, No. 11, pp. 1917-1938. 

  10. Shin, H. Y., Kim, B. I., Kim, K. O. and Han, S. J. (2014), A comparative study of structural analysis on DCM improved by pile and block type,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0, No. 4, pp. 5-19. 

  11. Spangler, M. G. and Handy, R. L. (1973), Soil engineering (Third Edition), International Textbook Co., pp. 658-696. 

  12. Yoo, N. J., Kim, D. G. and Yoon, D. H. (2011), Centrifuge modeling and numerical analysis on breakwater construction,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Kangwon Natrional Univ., Korea, No. 31B, pp. 81-9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