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반의 하부에 설치되는 지하매설물은 중요한 토목구조물로서 상·하수도관, 지중전력선, 각종 통신선로, 도시가스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런 지중매설물들은 시공 시 집중강우, 차량하중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뒤채움재의 선정과 시공이 중요하다. 현재 주로 사용하는 공법으로는 지하매설물 주변을 흙으로 메우고 다짐을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매설관 하부의 다짐이 어렵고 다짐효율이 떨어져서 지하매설물의 안정성을 저감시키고 이로 인해 각종 파손이 발생한다. 또한 개착 시 원지반 교란에 따라 지반의 강도가 저하되고 시공 과정이 복잡하며 공기가 길어져 공사비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가 유동성 채움재를 활용하는 것이다. 유동성 채움재는 자기 수평능력, 자기다짐, 유동성, 인위적인 강도조절, 유지보수를 위한 재굴착이 가능한 저강도 발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매설물을 설치한 후 되메움을 하는 재료로서 해양점토와 고화재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과 유동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동결에 의한 강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였고 채움재가 지중배관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시험과 pH시험을 수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nderground utilities installed under the ground is an important civil engineering structure, such as water supply and sewerage pipes, underground power lines, various communication lines, and city gas pipes. Such underground utilities can be exposed to risk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conce...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결융해 시험은 고화재와 적정량의 흙을 혼합한 후 동결융해 반복시험을 하여 고화재 첨가량과 동결융해 반복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를 검토하고 건설재료로서의 활용성과 기초지반의 성토 및 매립재, 되메움재로서의 활용성을 검토하는 시험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동성 채움재에 동결융해 반복작용을 부과하여 동결융해 반복 작용이 채움재의 일축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을 위한 공시체는 해양점토에 현장토 20%, 고화재를 4%, 8%, 12% 혼합하여 제작하였으며 28일 상온에서 양생시킨 후 KS F 2332 규정에 의하여 동결융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매설물을 설치한 후 되메움에 사용되는 유동성 채움재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 동결융해시험, 유동성 시험, 전기비저항시험과 pH시험 등을 수행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매설물을 설치한 후 되메움을 하는 재료로서 해양점토와 고화재 및 현장에서 발생하는 현장토를 활용한 유동성 채움재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과 유동성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동결에 의한 강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유동성 채움재가 지중배관의 부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시험과 pH시험을 수행하였고 ACI comitee 229(1994)에서 규정한 강도 기준에 적합한 배합비를 제안하였다.
  • 시험을 위한 공시체는 해양점토에 현장토 20%, 고화재를 4%, 8%, 12% 혼합하여 제작하였으며 28일 상온에서 양생시킨 후 KS F 2332 규정에 의하여 동결융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이 종료되면 각 사이클별로 일축압축강도시험 및 전기비저항시험을 수행하여 동결융해 반복 작용이 채움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주로 사용하는 되메움 공법은 무엇인가? 이런 지중 관로는 시공 시 집중강우, 차량하중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뒤채움재의 선정과 시공이 중요하다(Oh & Kim, 2010). 현재 주로 사용하는 되메움 공법으로는 지하매설물 주변을 흙으로 메우고 다짐을 한 후, 도로 및 상부구조물을 재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개착 시 원지반이 교란됨에 따라 지반의 강도가 저하되고 시공 과정이 복잡하며 공기가 길어져 공사비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뒤채움 공간에 지하수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 주재료인 토사의 유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Go, 2017).
유동성 채움재는 유동성 및 속경성을 갖고 있어 뒤채움 시공 시 다짐이 필요 없는데 이로 인한 장점은? 유동성 채움재는 가소성 뒤채움재라고도 하며, 유동성 및 속경성을 갖고 있어 구조물의 배면 및 하부 뒤채움 시공 시 다짐이 필요 없는 재료를 말한다. 따라서 시공 시 장소의 제약이 적으며 다짐이 필요 없기 때문에 비용 절감, 작업자의 안정성 증진, 시공의 단순화로 인한 인력감소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유동성 채움재는 빨리 굳는 속경성을 띄고 있어 긴급한 공사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지중 관로 시공 시 적절한 뒤채움재가 중요한 이유는? 최근 대규모 주거단지 및 공업단지가 많이 생기면서 도시미관 향상, 선로의 인덕턴스 감소 및 정전용량 증가, 풍수해 등 기상에 의한 영향 감소 등의 이유로 전력, 통신, 상하 수도 등 다양한 선로들이 지중에 매설되고 있다. 이런 지중 관로는 시공 시 집중강우, 차량하중 등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적절한 뒤채움재의 선정과 시공이 중요하다(Oh & Kim, 2010). 현재 주로 사용하는 되메움 공법으로는 지하매설물 주변을 흙으로 메우고 다짐을 한 후, 도로 및 상부구조물을 재시공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개착 시 원지반이 교란됨에 따라 지반의 강도가 저하되고 시공 과정이 복잡하며 공기가 길어져 공사비가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STM D 6103 (2004), Standard test method for flow consistency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 (CLSM), West conshohocken, PA. 

  2. Bae, Y. S., Kim, K. T. and Lee, S. U. (2017), The road subsidence status and safety improvement plans,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 pp. 545-552. 

  3. Go, D. G. (2017), Study on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filler for emergency repair of ground sink,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pp. 1-17. 

  4. Hook, W. and Clem, D.A. (1998), Innovative uses of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CLSM) in colorado,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 (Flowable Fill), ASTM SPT 1331, A. K. Howard and J. L. Hitch, Ed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pp. 137-150. 

  5. Lee, H. J. and Yim, H. J. (2017), Setting time evaluation of concrete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9, No. 4, pp. 361-369. 

  6. Oh, G. D. and Kim, D. H. (2010), A experimental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onstruction method of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 accelerated flow ability using surplus soil for underground power line,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11, pp. 84-93. 

  7. Report by ACI Committee 229 (1994), Controlled low strength materials, Concrete International, July, pp. 55-64. 

  8. Ryu, Y. D., Kwak, C. S., Ryu, Y. J. and Lee, S. K. (200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s of backfill materials for underground pipelines carrying natural ga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2, No. 3, pp. 75-80. 

  9. Ryu, Y. S., Han, J. G., Chae, W. R., Koo, J. S. and Lee, D. Y. (2015), Development of rapid hardening backfill material for reducing ground subsidence,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14, No. 3, pp. 13-20. 

  10. Seo, C. B. (2009), A study on stiffness evaluation technique for controlled low-strength materials as backfill, Master's thesis, Paichai University, pp. 4-20. 

  11. Brewer, W. E. (1994), Durability factors affecting CLSM, SP 150-3, American Concrete Institute, Detroit, pp. 39-51. 

  12. Wenner, F. (1915), A method of measuring earth resistivity, Journal of the Franklin Institute, Vol. 180, No. 3, pp. 373-375. 

  13. Yoo, C. S. and Shin, B. N. (2011), Effect of cyclic freezingthawing on compressive strength of decomposed granite soils, Journal of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 10, No. 1, pp. 19-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