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항승무원의 생활습관과 건강검진 결과가 병가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Lifestyle and Health Examination Results on Sick Leave in Commercial Airline Pilot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9 no.3, 2020년, pp.184 - 191  

김지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이남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health examination results, and sick leave days by airmen medical examination decision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sick leave days. Methods: We obtained data from 2,361 Korean pilots who worked for a commercial ai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사전에 대상자의 요구도나 필요도를 확인하여(Kim & Lee, 2016), 집중적으로 관리가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항승무원의 검진결과를 통해 건강위험요인을 확인하고 병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병가를 예방하고 건강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일개 대형 항공사(Full Service Carrier, FSC) 내국인 운항승무원의 건강문제 분석을 위한 서술적 상관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운항승무원의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검진결과와 병가 일수를 항공신체검사 판정 별로 비교 분석하고 병가 일수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관련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운항승무원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그 결과 조건부적합 대상에서 46세 이상으로 연령이 높은 경우, 혈압, 비만도, 공복혈당이 정상이 아닌 경우, 금연자인 경우 적합 대상보다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병가 일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도 13일 이상 장기 병가를 사용하는 비율이 조건부적합 대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운항승무원의 항공신체검사 판정 별 일반적 특성, 생활습관, 검진결과와 병가 일수를 비교하고 병가 일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운항승무원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운항승무원의 건강관리와 관련한 연구가 드물고 근로자의 병가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위험요인이 불명확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항공신체검사 판정별 생활습관, 검진결과, 병가 현황을 비교하고 기타 요인이 통제된 상태에서 건강위험요인 중 병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운항승무원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병가율을 감소시키고 근로자의 건강증진과 질병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항승무원에게 건강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민간항공사에서 비행기 조종을 담당하고 있는 운항승무원은 안전 운항을 책임지고 있으므로 건강문제로 인한 운항 중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평소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고 안전하게 비행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기본 적으로 항공안전법 제 40조에 의거 항공신체검사를 통해 항공기 조종에 적합한 신체 상태를 갖추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하고, 항공신체검사를 통과하였더라도 국토교통부 고시 항공신체검사증명 등에 관한 규정 제 24조에 의거, 신체 상태의 저하로 항공업무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을 때는 항공업무에 종사하여서는 안 되기 때문에, 비행 안전을 저해하는 정신적 또는 신체적인 건강상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항공사에서는 그에 맞는 병가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운항승무원의 건강관리를 위해 실시되는 규정은 무엇인가? 민간항공사에서 비행기 조종을 담당하고 있는 운항승무원은 안전 운항을 책임지고 있으므로 건강문제로 인한 운항 중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평소 건강관리를 철저히 하고 안전하게 비행 업무에 종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기본 적으로 항공안전법 제 40조에 의거 항공신체검사를 통해 항공기 조종에 적합한 신체 상태를 갖추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하고, 항공신체검사를 통과하였더라도 국토교통부 고시 항공신체검사증명 등에 관한 규정 제 24조에 의거, 신체 상태의 저하로 항공업무를 안전하게 수행할 수 없을 때는 항공업무에 종사하여서는 안 되기 때문에, 비행 안전을 저해하는 정신적 또는 신체적인 건강상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항공사에서는 그에 맞는 병가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운항승무원의 병가 사유는 어떤 것이 있는가? 운항승무원의 병가 사유는 매우 다양하다. 항공신체검사기준에 미달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중증 질환뿐 아니라 감기나 장염, 중이염과 같은 가벼운 질환이라도 비행 중 기압이나 습도 변화 등의 항공생리학적 변화로 인해 회복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고, 빠른 회복을 위해 항히스타민제나 진경제 등 운항승무원이 비행 중 복용 불가한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병가가 필요할 수 있으며, 병가 일수를 분석한 결과 7일 이하의 단기 병가가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었다(Yun, 2017). 또한, 2004년 영국의 민간항공사에서 근무하는 운항승무원이 일시적으로 건강이 나빠지거나 항공신체검사증명서를 유지하지 못하여 비행 근무를 할 수 없게 된 의학적 사유를 조사한 결과 근골격계 질환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심혈관 질환으로 뒤를 이었으며, 영구적으로 비행을 할 수 없게 된 사유로는 뇌심혈관 질환이 전체 사례의 절반 정도 차지하였다(Evans & Radcliffe,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ams, T. B., & Cowen, V. S. (2004). Health risk factors and absenteeism among university employees. American Journal of Health Studies, 19(3), 129. 

  2. Aldana, S. G., & Pronk, N. P. (2001). Health promotion programs, modifiable health risks, and employee absenteeism.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3(1), 36-46. 

  3. Allebeck, P., & Mastekaasa, A. (2004). Chapter 5. Risk factors for sick leave-general studi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2(63_suppl), 49-108. 

  4. Amiri, S., & Behnezhad, S. (2019). Body mass index and risk of sick leav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Clinical Obesity, 9(6), e12334. 

  5. Breton, M.-C., Guenette, L., Amiche, M. A., Kayibanda, J.-F., Gregoire, J. -P., & Moisan, J. (2013). Burden of diabetes on the ability to work: a systematic review. Diabetes Care, 36(3), 740-749. 

  6. Cohen, S., Tyrrell, D., Russell, M. A., Jarvis, M. J., & Smith, A. P. (1993).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susceptibility to the common cold.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3(9), 1277-1283. 

  7. Dille, J., & Linder, M. (1981). The effects of tobacco on aviation safety.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8. Evans, S., & Radcliffe, S.-A. (2012). The annual incapacitation rate of commercial pilots.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83(1), 42-49. 

  9.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2018). Annex 1, Personnel Licensing (12th ed.). Quebec: ICAO. 

  10. Kim, H. R. (2007). Socioeconomic inequality and its trends in cigarette smoking in South Korea, 1998-2005.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7(2), 25-43. 

  11. Kopelman, P. G. (2000).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404(6778), 635-643. 

  12. Korean National Health Statistics. (2018). Smking and Drinking (19 years old and over). Retrieved Jan 20th, 2020,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1 

  13. Kramer, M., Molenaar, D., Arena, V., Venditti, E., Meehan, R., Miller, R., et al. (2015). Improving employee health: Evaluation of a worksite lifestyle change program to decrease risk factors for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American College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7(3), 284. 

  14. Lee, B. I., & Kim, Y. I. (2016). Comparison of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perception on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by business types: Focusing on need, necessity, performance, barrier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1), 29-40. 

  15. Lee, Y. J., & Kim, H. L. (2016). Influences of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status on absence due to sickness in health and medical related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3), 216-226. 

  16. Lim, M. H. (2001). Risk factors for the medical permanent grouding of a commercial airline aircrew.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Mitchell, R. J., Ozminkowski, R. J., & Serxner, S. (2013). Improving employee productivity through improved health.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5(10), 1142-1148. 

  18. MOLIT Statistics System. (2019, Mar 31). Status of aviation employees by year. Retrieved Jan 20th, 2020, from http://stat.molit.go.kr/portal/cate/statView.do?hRsId464&hFormId4630&hDivEng&month_ynN 

  19. Prince, S. A., Adamo, K. B., Hamel, M. E., Hardt, J., Gorber, S. C., & Tremblay, M. (2008). A comparison of direct versus self-report measures for assessing physical activity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5(1), 56. 

  20. Rabacow, F. M., Levy, R. B., Menezes, P. R., do Carmo Luiz, O., Malik, A. M., & Burdorf, A. (2014). The influence of lifestyle and gender on sickness absence in Brazilian workers. BMC Public Health, 14(1), 317. 

  21. Robroek, S. J., van den Berg, T. I., Plat, J. F., & Burdorf, A. (2011). The role of obesity and lifestyle behaviours in a productive workforce.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8(2), 134-139. 

  22. Schou, L., & Moan, I. S. (2016). Alcohol use-sickness absence association and the moderating role of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A literature review. Drug and Alcohol Review, 35(2), 158-169. 

  23. Serxner, S. A., Gold, D. B., & Bultman, K. K. (2001). The impact of behavioral health risks on worker absenteeism.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3(4), 347-354. 

  24. Van Duijvenbode, D., Hoozemans, M., Van Poppel, M., & Proper, K.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weight and obesity, and sick leave: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3(8), 807-816. 

  25. VanWormer, J. J., Boucher, J. L., & Sidebottom, A. C. (2015). Twoyear impact of lifestyle changes on workplace productivity loss in the Heart of New Ulm Project.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72(6), 460-462. 

  26. Virtanen, M., Ervasti, J., Head, J., Oksanen, T., Salo, P., Pentti, J., et al. (2018). Lifestyle factors and risk of sickness absence from work: A multicohort study. The Lancet Public Health, 3(11), e545-e554.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 Research for International Tobacco Control. (2008).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08: The MPOWER package. World Health Organization. 

  28. Yun, Y. J. (2017). The Statistics about Sick Leaves among Pilots in a Civil Airline (2016). The Korean Journal of Aero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27(3), 72-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