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양열 계간 축열조 내부 열성층화에 대한 탱크 종횡비 영향 연구
Effect of an aspect ratio on thermal stratification in a solar seasonal thermal storage tank 원문보기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visualization, v.18 no.2, 2020년, pp.28 - 34  

김성근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정성용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thermal stratification in solar seasonal thermal storage tanks. The vertical in/out flows were unsuitable for the thermal stratification in a large scale. The effect of an aspect ratio (AR) on the thermal stratification was investigated. When AR was le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종횡비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태양열 계간 축열조 내 열성층화에 대하여 수치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형 축열조와 달리 대형 축열조가 사용되는 계간 축열조에서는 수직방향 유/출입 유동은 성층화 형성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계간 축열용 탱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축열조 종횡비에 따른 열 성층화를 비교하였다. 축열조 내부 열 성층화 분석을 위하여 유동 해석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열 성층화도를 종횡비에 따라서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연구들이 열 저장탱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열 성층화는 탱크의 종횡비, 주변으로의 열 손실, 입구와 출구 유동에 의한 혼합 등과 같은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 (6) Sagh와 Lakzian는 엔트로피 생성 축소를 통해 슬로싱 현상에 사용되는 직사각형 저장 탱크를 최적화하였으며,(7) 최근 Ali el al.은 태양 에너지 응용 분야에서 열 유체의 효과와 열 에너지 저장 탱크 설계를 연구했다.(8)
  • , USA)를 사용하였다. 형상변화에 의한 열 성층화 경향성 분석에는 2차원 유동 해석으로도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어,(9) 본 연구에서는 계산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2차원 해석을 수행하였다. 축열조 내부 유동 해석의 지배방정식은 아래의 연속방정식, 운동량 방정식 및 에너지 방정식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탱크 내부 열 성층화의 기본원리는 무엇인가? 특히, 에너지 생산과 수요 사이의 불균형 및 불규칙한 가용 에너지원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열 성층화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열저장 장치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다. 탱크 내부 열 성층화의 기본원리는 고온으로 들어오는 물과 저온의 저장된 물의 혼합을 열적 부력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감소시켜 온도의 성층화를 유지하도록 한다.
태양열 축열조 내부 열성층화를 개선하여 장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2) 태양열 축열조 내부 열성층화를 개선하여 열 저장 장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수치해석 연구가 수행되었다. Bonanos와 Votyakov는 열 저장 탱크 높이와 주입구의 재료 특성이 열 성층화에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3) Erdemir와 Altuntop은 저장 탱크 내부에 장애물을 수직으로 설치하면 열 성층화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4) Gandhi et al.은 중앙 가열식 원통형 탱크의 유동 패턴과 온도를 평가하고 드래프트 튜브 핀의 크기 및 종횡비에 내부 유동의 혼합과 성층화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하였다.(5) 또한, García-Marí et al.은 온수 유입구에 원추형 디퓨저를 사용하면 열 성층화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6) Sagh와 Lakzian는 엔트로피 생성 축소를 통해 슬로싱 현상에 사용되는 직사각형 저장 탱크를 최적화하였으며,(7) 최근 Ali el al.은 태양 에너지 응용 분야에서 열 유체의 효과와 열 에너지 저장 탱크 설계를 연구했다.(8)
열 성층화는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연구들이 열 저장탱크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열 성층화는 탱크의 종횡비, 주변으로의 열 손실, 입구와 출구 유동에 의한 혼합 등과 같은 많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소형의 축열조를 대상으로 성층화를 연구한 결과로 대한민국과 같이 계절에 따라 에너지 생산과 수요 사이의 격차가 큰 지역에서 사용되는 계간 축열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Loehrke, R.I., Holzer, J.C., Gari, H.N., Sharp, M.K., 1979, Stratification enhancement in liquid thermal storage tanks. J. of Energy, 3, 129-130. 

  2. Pak, E.T., Hwang, S.I., Choi, Y.I., 1989, Experimental study on the thermal storage efficiency through variable porous mainfolds in a test storage tank. Solar energy, 9, 37-43. 

  3. Bonanos, A., Votyakov, E., 2016. Sensitivity analysis for thermocline thermal storage tank design. Renew. Energy 99, 764-771. 

  4. Erdemir, D., Altuntop, N., 2016. Improved thermal stratification with obstacles placed inside the vertical mantled hot water tanks. Appl. Therm. Eng. 100, 20-29. 

  5. Gandhi, M.S., Joshi, J.B., Nayak, A.K., Vijayan, P.K., 2013. Reduction in thermal stratification in two phase natural convection in rectangular tanks: {CFD} simulations and {PIV} measurements. Chem. Eng. Sci. 100, 300-325. 

  6. Garcia-Mari, E., Gasque, M., Gutierrez-Colomer, R.P., Ibanez, F., Gonzalez-Altozano, P., 2013. A new inlet device that enhances thermal stratification during charging in a hot water storage tank. Appl. Therm. Eng. 61, 663-669. 

  7. Saghi, H., Lakzian, E., 2017. Optimization of the rectangular storage tanks for the sloshing phenomena based on the entropy generation minimization. Energy 128, 564-574. 

  8. Ali, T., Bakar, R.A., Sup, B.A., Zainudin, M.F., Ming, G.L., 2015. Study on thermal-fluid effect of thermal energy storage tank design in solar energy applications. Energy Proc. 68, 3-11. 

  9. Bouhal, T., Fertahi, S., Agrouaz, Y., El Rhafiki, T., Kousksou, T., Jamil, A. 2017. Numerical modeling and optimization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solar hot water storage tanks for domestic applications: CFD study. Solar Energy 157, 441-455. 

  10. Pak, E.T., Seong, S.W., Jung, W.C., 1990,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hot water storage by thermal stratification enhancement, Proceeding of the KSES 1990 Autumn Annual Conference, 32-3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