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업생태계 측정모형과 지표개발: 델파이분석을 통한 지역창업생태계 측정지표 개발
Developing Measurement Model and Indicators for Entrepreneurial Ecosystem: Focusing on Regional E-Ecosystem Indicator via Delphi Analysis 원문보기

벤처창업연구=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and venturing, v.15 no.4, 2020년, pp.1 - 15  

이우진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  오혜미 (세종대학교 경영학부) ,  김도현 (국민대학교 경영학부) ,  김종성 (국민대학교 글로벌창업벤처대학원) ,  김가영 (국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창업생태계가 기업가정신 향상의 선행요소로 밝혀지면서 국가에서는 창업생태계 고도화를 사업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고 관련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창업생태계는 창업자, 정부기관 및 투자자와 의 상호관계적인 작용으로 기업가정신 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성장을 위해 종요한 요소로 관심을 받고 있으나 창업생태계에 대한 정의를 비롯하여 국가별 제도적 및 정치학적 맥락의 상이함으로 인해 측정지표에 대한 비판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창업생태계 지표개발 및 각 지역의 창업생태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창업 분야별 전문가의 FGI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현존하는 지표들이 국내 실정에 얼마나 부합한지를 검증하고 면밀한 검토를 통해 국내의 지역창업생태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국내 지역 창업생태계는 정책(Policy), 투자(Finance), 문화(Culture), 시장(Market), 인적자원(Human Capital), 지원(Support), 지식(Knowledge)등 7개 지표와 지표별 각각 2~4개의 하위요소, 하위요소별 각각 1~4개로 구성되어 총 22개의 하위요인, 38개의 세부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의 창업생태계를 진단하고 지역별 강점 특화 및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차별적 정책을 제안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turns out to be a leading factor in improving nation's entrepreneurship, many studies are underway in the country to develop the start-up ecosystem. Although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is receiving attention as an essential factor for the nation's economic grow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현재 국가수준에서의 창업생태계 측정지표는 다수 존재하지만, 지역수준에서의 창업생태계 측정지표는 연구 및 조사가 국가수준 만큼 많은 연구 및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수준에서 창업생태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가수준의 창업생태계 측정지표를 분석하고, 국내의 지역수준에서의 적용 가능한 지표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역 창업생태계를 측정할 수 잇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해외 문헌연구, 전문가 FGI 및 델파이조사에 걸친 3단계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단계는 국내보다 먼저 연구가 시작된 해외 창업생태계 모델 및 지표와 관련된 문헌 연구를 실시한 후, 국내·외 창업분야의 전문가 FGI를 실시하여 측정 지표를 설계를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창업생태계의 정의를 문헌을 통해 검토하고 현존하는 창업생태계 측정도구들을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창업생태계 지표개발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세계적으로 국가별 창업생태계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이중 가장 대표적으로 미국의 경쟁력위원회(Council on Competitiveness),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과 같은 연구들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생태계 관련 문헌을 통해 현존하는 창업생태계 측정 도구들을 분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창업생태계 지표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창업 분야별 전문가의 FGI 및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현존하는 지표들이 국내 실정에 얼마나 부합한지를 검증하고 면밀한 검토를 통해 국내의 지역창업생태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했다.
  • 즉,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기초로 창업생태계 지표들을 분석하고 국내의 실정에 부합하는 문항으로 재검토하여 측정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국내 창업생태계 현황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현장전문가들의 FGI 와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국내의 지역 창업생태계를 측정할 수 있는 지역 창업생태계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창업생태계의 측정지표를 통해 창업 생태계의 수준을 정확히 측정하고 각 지역단위의 생태계에 적용하여 각각의 창업생태계가 가지고 있는 장단점을 살펴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사분점간 범위는 제 1사분위수(25% 지점)와 제 3사분위수(75% 지점) 사이의 범위로 항상 전체 데이터의 50%가 포함되는 범위이다. 이 정보를 제공한 이유는 전문가패널들의 1차의 반응을 피드백을 주어, 질문에 대한 자신의 응답을 제고하게 하고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는 내용타당도 비율이 0.
  • 세계적으로 국가별 창업생태계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는데, 이중 가장 대표적으로 미국의 경쟁력위원회(Council on Competitiveness),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세계은행(World Bank), 세계경제포럼(World Economic Forum),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과 같은 연구들이 있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들을 기초로 창업생태계 지표들을 분석하고 국내의 실정에 부합하는 문항으로 재검토하여 측정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국내 창업생태계 현황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현장전문가들의 FGI 와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국내의 지역 창업생태계를 측정할 수 있는 지역 창업생태계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제학자 슘페터가 설명한 창업가의 역할은? 여기서 ‘진보’의 의미는 산업의 역동성, 창업활동, 기업 활성화, 경쟁우위창출, 그리고 기술개발과 경제성장을 의미한다(Bjørnskov & Foss, 2016). 경제학자 슘페터는 이러한 창업가의 진보적 활동을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와 혁신의 개념으로 제시하며 경제구조 내 창업가의 역할을 설명했다(Schumpeter, 1912). 우리는 이제 한 국가의 경제성장에서 창업가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하고 있다(Wong et al.
창업생태계에 대한 개념을 명확하게 이론화하기 어려운 이유는? 창업생태계는 창업지원기관과 공공정책 수립 및 지원 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Feld, 2012; Isenberg, 2010). 창업생태계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경계를 잇는 상호 유동적 작용을 통해 복합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학문적으로 이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이론화하기 어려우며 창업생태계를 측정하는 방법 또한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존재한다(Stam, 2015). 경제학에서는 창업생태계를 차별적 산출물 및 결과물 로만 설명하여 시스템 안에서의 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기업가정신을 간과하고 있으며, 기업가정신 분야의 연구에서는 기업가정신의 확산과 성과를 설명하는 데 있어 시스템의 역할을 대체로 간과해왔기 때문이다.
Kirzner가 언급한 창업가가 원동력이 되는 진보란 무엇은 의미하는가? 창업가(entrepreneur)는 진보의 원동력이다(Kirzner, 1980). 여기서 ‘진보’의 의미는 산업의 역동성, 창업활동, 기업 활성화, 경쟁우위창출, 그리고 기술개발과 경제성장을 의미한다(Bjørnskov & Foss, 2016). 경제학자 슘페터는 이러한 창업가의 진보적 활동을 창조적 파괴(creative destruction)와 혁신의 개념으로 제시하며 경제구조 내 창업가의 역할을 설명했다(Schumpeter, 19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Acs, Z. J., Stam, E., Audretsch, D. B., & O'Connor, A.(2017). The lineage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approach. Small Business Economics, 49(1), 1-10. 

  2. Adner, R.(2017). Ecosystem as structure: an actionable construct for strategy.ㅤJournal of Management,ㅤ43(1), 39-58. 

  3. Adner, R., & Kapoor, R.(2010). Value creation in innovation ecosystems: how the structure of technological interdependence affects firm performance in new technology generation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1(3), 306-333. 

  4. Alvedalen, J., & Boschma, R.(2017). A critical review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research: Towards a future research agenda. European Planning Studies, 25(6), 887-903. 

  5. Autio, E., & Thomas, L.(2013). Innovation ecosystems: implications for innovation man-agement. In: Dodgson, M., Phillips, N., Gann, D.M. (Eds.), The oxford Handbook of Innovation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6. Baumol, W. J.(1993). Formal entrepreneurship theory in economics: Existence and bound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8(3), 197-210. 

  7. Berger, E. S., & Kuckertz, A.(2016). Female entrepreneurship in startup ecosystems worldwid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9(11), 5163-5168. 

  8. Bjornskov, C., & Foss, N. J.(2016). Institutions, entrepreneurship, and economic growth: what do we know and what do we still need to know?.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30(3), 292-315. 

  9. Bosma, N., & Kelley, D.(2019).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2018/2019 Global Report. Global Entrepreneurship Research Association (GERA). 

  10. Cho, Y. S., & Kim, M. K.(201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for PR Organizations in Public Institutions: Focusing on Expert Delphi Survey.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23(4), 95-120. 

  11. Cohen, B.(2006). Sustainable valley entrepreneurial ecosystems.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15(1), 1-14. 

  12. Feld, B.(2012). Startup Communities: Building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Your City. New York: Wiley. 

  13. Genome, S.(2017). Global startup ecosystem report 2017. San Francisco: Startup Genome. 

  14. Hechavarria, D. M., & Ingram, A.(2014). A review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and the entrepreneurial society in the United States: An exploration with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dataset. Journal of Business and Entrepreneurship, 26(1), 1-35. 

  15. Herrmann, B. L., Gauthier, J. F., Holtschke, D., Berman, R., & Marmer, M.(2015). The global startup ecosystem ranking 2015. Retrieved from https://startup-ecosystem.compass. co/ser2015/. 

  16. Iansiti, M., & Levien, R.(2004). The keystone advantage: what the new dynamics of business ecosystems mean for strategy, innovation, and sustainability. Cambridge: Harvard Business Press. 

  17. InBev, A. B., Worldwide, A. P. C. O., Auto, B., Chance, C., DHL, D. P., Embraer, S. A., & Mutual, O.(2013). World Economic Forum. 

  18. Isenberg, D.(2010). How to Start an Entrepreneurial Revolution. Harvard Business Review, 88(6), 41-50. 

  19. Isenberg, D.(2011).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strategy as a new paradigm for economic policy: Principles for cultivating entrepreneurship.ㅤPresentation at the Institute of International and European Affairs. 

  20. Isenberg, D.(2013). Worthless, Impossible and Stupid: How Contrarian Entrepreneurs Create and Capture Extraordinary Value. Boston: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1. Jang, C. K., Lee, J. Y., & Jang, J. Y.(2012). The Delphi-method Study for construction of a Career & Guidance Counseling Model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9(2), 251-273. 

  22. Jeong, D. Y., & Yoo, H. S.(1998). The Improvement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 Activities for Korean Software oriented Venture Companies. Journal of Social Science. 1, 161-199. 

  23. Kim, T. Y., & Park, J. S.(2006). A Study on the Situation Structure of Korean Entrepreneurs in Japan. Journal of Japanese Culture, 1-371. 

  24. Kirzner, I. M.(1997). Entrepreneurial discovery and the competitive market process: An Austrian approach.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35(1), 60-85. 

  25. Kirzner, I. M.(1980). The prime mover of progress. In I. Kirzner & A. Seldon (Eds.), The entrepreneur in capitalism and socialism. London: Institute of Economic Affairs. 

  26. Knight, F. H.(1921). Risk, uncertainty, and profit. New York: Augustus M. Lelley. 

  27. KoEF(2016).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28.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29. Lee, C. S.(2014). A Study on Improvement of Special Approved Textbook Adoption Systemwith Delphi Metho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7(2), 229-243. 

  30. Lee, D. G.(2014). Discussion of the Week: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s of Korea's Startup Ecosystem. Weekly Financial Brief, 23(23), 2-9. 

  31. Lee, J. A., & Ahn, Y. S.(2018). Developing Measurement Tool of Entrepreneurship for Young Entrepreneur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3(4), 197-209. 

  32. Lee, J. W., Kim, S. W., Kim, Y. H., Kim, H. J., & Son, H. N.(2016). Comparative Study on Regional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cosystem.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1-190. 

  33. Lee, W. J., & Oh, H. M.(2019). Design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A Study Using Delphi Techniqu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 135-158. 

  34. Malecki, E. J.(2011). Connecting local entrepreneurial ecosystems to global innovation networks: Open innovation, double networks and knowledge integ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Management, 14(1), 36-59. 

  35. Mack, E. & Heike, M.(2015). The Evolutionary Dynamic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Urban Studies, 53(10), 2118-2133. 

  36. Mason, C., & Brown, R.(2014). Entrepreneurial ecosystems and growth oriented entrepreneurship. Final Report to OECD, Paris, 30(1), 77-102. 

  37. Von Mises, L.(1949). Human action: A treatise on economics. London, UK: William Hodge. 

  38. Moore, J. F.(1993). Predators and prey: a new ecology of competition. Harvard business review, 71(3), 75-86. 

  39. Motoyama, Y., & Knowlton, K.(2016). From resource munificence to ecosystem integration: the case of government sponsorship in St. Louis.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 28(5-6), 448-470. 

  40. Nam, J. M., & Lee, H. S.(2017).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Major Countries: Comparison of the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Index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12(6), 111-122. 

  41. OECD(2018). Entrepreneurship at a Glance 2018. OECD Publishing. 

  42. Schumpeter, J. A.(1912). Theorie Der Wirtschaftlichen Entwicklung: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Leipzig: Duncker & Humblot 

  43. Spigel, B.(2015). The relational organization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41(1), 49-72. 

  44. Spigel, B., & Harrison, R.(2018). Toward a process theory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Strategic Entrepreneurship Journal, 12(1), 151-168. 

  45. Stam, E., Hartog, C., Van Stel, A., & Thurik, R.(2011). Ambitious entrepreneurship, high-growth firms and macroeconomic growth. The dynamics of entrepreneurship: Evidence from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data, 231-249. 

  46. Stam, E., Bosma, N., Van Witteloostuijn, A., De Jong, J., Bogaert, S., Edwards, N., & Jaspers, F.(2012). Ambitious entrepreneurship. A Review of the Academic Literature and New Directions for Public Policy, Report for the Advisory Council for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WT) and the Flemish Council for Science and Innovation (VRWI). 

  47. Stam, E.(2015). Entrepreneurial ecosystems and regional policy: a sympathetic critique. European Planning Studies, 23(9), 1759-1769. 

  48. Stam, E., & Spigel, B.(2015). Entrepreneurship Ecosystem. Handbook for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 1-18. 

  49. Stam, E.(2018). Measuring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Entrepreneurial ecosystems. Springer, Cham, 173-197. 

  50. Stam, E., & Spigel, B.(2017). Entrepreneurial Ecosystems, forthcoming in: Blackburn. R., De Clercq, D., Heinonen, J. and Wang, Z.(Eds) Handbook for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 SAGE: London, UK. 

  51. Szerb, L., Acs, Z., Autio, E., Ortega-Argiles, R., & Komlosi, E.(2013). The regional entrepreneurship and development index-Measuring regional entrepreneurship. 

  52. Tansley, A. G.(1993). An introduction to plant ecology. Discovery Publishing House. 

  53. Terjesen, S., Acs, Z. J., Audretsch, D. B., Hechavarria, D., Stam, E., & White, R.(2017). Entrepreneurial ecosystems: the search for performance. University of Tampa, unpublished. 

  54. Um, J., & Lee, G. N.(2014). Development of Career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the Delphi Metho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1), 29-54. 

  55. Van de Ven, H.(1993). The development of an infrastructure for entrepreneurship.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8(3), 211-230. 

  56. Williamson, P., & De Meyer, A.(2012). Ecosystem advantag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55(1), 24-46. 

  57. Wong, P., Ho, Y., & Autio, E.(2005). Entrepreneurship,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Evidence from GEM data. Small Business Economics, 24(3), 335-350. 

  58. 이우진.김도현.김종성.오혜미.김가영(2019). 지역 창업생태계 활성화 관련 분석 모델.지표 개발 및 지역 창업인프라 구축.운영사업의 성과지표 구축. 중소벤처기업부.창업진흥원.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