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낙동강 중류 지역의 Chl-a 예측 알고리즘 비교 연구(수질인자 및 수량 중심으로)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Chl-a prediction in the middle of Nakdong River (focusing on water quality and quantity factors)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4 no.4, 2020년, pp.277 - 288  

이상민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경덕 (부경대학교 마린융합디자인공학과) ,  김일규 (부경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performed algorithms to predict algae of Chlorophyll-a (Chl-a). Water quality and quantity data of the middle Nakdong River area were used. At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l-a and water quality and quantity data was studied. We extracted ten factors of high importa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는 조류 발생 여러 인자 중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낙동강 중류 지역의 2개보에 걸쳐서 보 설치 이후에 지속적으로 측정·관찰되고 있는 Chl-a와 수질측정자료, 보 운영 자료인 수량자료를 같이 활용하여 특징적인 상관관계를 우선 도출하여 낙동강 중류지역의 Chl-a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 , 2018). 마지막으로 분석기법 중 대표적인 예측기법인 회귀분석에서 ridge regression과 lasso regression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고 큰 데이터셋에서 잘 작동하는 대표적인 회귀분석 알고리즘인 elastic net 또한 활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4가지 알고리즘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 머신러닝 기반 Chl-a 예측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이용하는 수질자료와 수량자료에 대해 상관관계 분석을 우선 실시하였다. 수질과 수량요소간의 상관성이 있는 항목을 우선 찾아내고 중요도가 높은 항목에 대해 decision tree, random forest, elastic net, gradient boosting의 알고리즘을 실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낙동강 중류의 2개보 지점에서의 수질과 수량항목에 대한 Chl-a와의 상관성을 통해 10가지 중요한 인자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Chl-a를 목표변수로 하여 두 지점에서 중요인자를 통해 4가지 알고리즘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번 연구는 Python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최근 낙동강 Chl-a 농도 예측으로 조류와 연관된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조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낙동강 중류지역의 Chl-a 농도를 우수하게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최근 국내에서는 낙동강 조류에 관한 연구로 decision tree를 활용한 사례가 있으며 낙동강본류 구간의 남조류 발생특성을 파악하고자 조류경보제 기반의 발령기준을 범주형 목표변수로 하여 주요 영향인자에 따른 남조류 발생 조건을 연구한 결과가 있다(Jung et al.
  • 따라서 이번 연구는 조류 발생 여러 인자 중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낙동강 중류 지역의 2개보에 걸쳐서 보 설치 이후에 지속적으로 측정·관찰되고 있는 Chl-a와 수질측정자료, 보 운영 자료인 수량자료를 같이 활용하여 특징적인 상관관계를 우선 도출하여 낙동강 중류지역의 Chl-a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는 향후 낙동강 중류 보 구간의 수질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강이란?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시에서 발원하여 영남지역을 관통하고 남해에 이르기까지 총 유로연장 525.8 km로 한반도에서 압록강 다음으로 두 번째로 긴 강이며, 유역면적은 23,860 km² 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낙동강에서 조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지점인 낙동강 중류지역으로 상류지역에서의 축산폐수, 생활하수와 농경지 유출수 등 점오염원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상수원 지역인 강정고령보 수계와 경산, 영천, 대구를 가로질러 흐르는 금호강의 유입으로 인한 산업폐수, 생활폐수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달성보 수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Lee, 2013).
위성 영상자료 등을 이용하여 Chl-a를 예측한 사례가 가지는 한계는? 과거 낙동강의 Chl-a 연구 방향은 하천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Chl-a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수질인자에 대한 통계분석인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진행해 왔으며 최근에는 머신러닝을 통해 위성 영상자료 등을 이용하여 Chl-a를 예측한 사례가 있다. 하지만 조류발생 모니터링 방법으로 Chl-a의 위성영상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농도 값을 예측하는 방식은 위성영상 밴드를 이용한 모델식이 다양하게 존재 하지만 예측 모델을 사용하기 위한 수계 환경변화를 반영하는 농도 계산식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un and Eun, 2017). 그리고 국내에서도 수질자료를 활용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인 인공신경망을 통해 낙동강 Chl-a를 예측한 사례가 있으나(Park, 2015; Kim, 2017) 인공신경망 알고리즘과 수질자료만 활용하였으며 Chl-a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선 조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적합한 알고리즘을 찾을 필요가 있다.
낙동강이 수질을 관리하기 어려운 수계인 이유는? 이번 연구에서는 낙동강에서 조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지점인 낙동강 중류지역으로 상류지역에서의 축산폐수, 생활하수와 농경지 유출수 등 점오염원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상수원 지역인 강정고령보 수계와 경산, 영천, 대구를 가로질러 흐르는 금호강의 유입으로 인한 산업폐수, 생활폐수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달성보 수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Lee, 2013). 특히 낙동강은 비점오염원에 노출되어 있으며 중⋅하류구간은 인구밀집 지역 및 공업지역으로 인해 그 수질을 관리하기 어려운 수계이다 (Hwang, 2012).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한 재해예방, 수자원확보, 수질개선 등을 목표로 4대강 사업이 진행되어 8개의 보가 완공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Breiman. L., Friedman, J.H., Olshen, R.A., and Stone, C.J.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Wadsworth Statistics/Probability Series, Wadsworth Advanced Books and Software. 

  2. Caissie, D., Satish, M.G., and El-Jabi, N. (2007). Predicting water temperatures using a deterministic model: Application on Miramichi River catchment(New Brunswick, Canada), J. Hydrol., 336, 303-315. 

  3. Chun, D.J. and Eun, J. (2017). Application method of remote sensing method for monitoring the water quality of big River, KEI Environmental Forum, 214, 21. 

  4. Cho, J. Y. (2019). Odor compounds forecasting in Daecheong water intake station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Docto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5. Clercq, D.D., Wen, Z., and Fei, F. (2019). Determinants of efficiency in anaerobic bio-waste co-digestion facilities: A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gradient boosting approach, Appl. Energy, 253, 113570. 

  6. Dhaliwal, S.S., Nahid, A.A., and Abbas, R. (2018). Effective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XGboost, Information, 9(7), 149. 

  7. Do, D.T. and Le, N.Q.K. (2020). Using extreme gradient boosting to identify origin of replication in Saccharomyces cerevisiae via hybrid features, Genomics. 112(3), 2445-2451. 

  8. Falconer, I.R. and Humpage, A.R. (2005). Health risk assessment of cyanobacterial (blue-green algal) toxins in drinking water,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1), 43-50. 

  9. Fan, J., Ma, X., Wu, L., Zang, F., Yu, X., and Zeng, W. (2019). Light gradient boosting machine: An efficient soft computing model for estimating daily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with local and external meteorological date, Agric. Water Manag., 225, 105758. 

  10. Friedman, J.H. (2002). Stochastic gradient boosting, Comput. Stat. Data Anal., 38(4), 367-378. 

  11. Hastie, T., Tibshirani, R., and Friedman, J. (2009).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date mining, inference and prediction, Springer Series in Statistics, New York, 745. 

  12. Heo, J.S., Kwon, D,h., Kim, J,B., Han, Y.H., and An, C.H. (2018). Prediction of cryptocurrency price trend using gradient boosting, KIPS Trans, Softw. Data Eng., 7(10), 387-396. 

  13. Hoerl, A.E. and Kennard, R.W. (1970). Ridge regression: Biased estimation for nonorthogonal problems, Technometrics, 12(1), 55-67. 

  14. Hwang, S.J. (2012). Forecasting system for water qualit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The Kangjung-Koryung weir on the Nakdong River, Docto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15. Hyndman, R.J. and Koehler, A.B. (2006). Another look at measure of forecast accuracy, Int. J. Forecast., 22(4), 679-688. 

  16. Johnson, N.E., Bonczak, B., and Kontokosta, C.E. (2018). Using a gradient boosting mode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low-cost aerosol monitors in a dense, heterogeneous urban environment, Atmos. Environ., 184, 9-16. 

  17. Johnson, N.E., Ianiuk, O., Cazap, D., Liu, L., Starobin, D., Dobler, G., and Ghandehari, M. (2017). Patterns of waste generation: A gradient boosting model for short-term waste prediction in New York City, J. Waste Manag., 62, 3-11. 

  18. Jung, S.Y. and Kim, I.G. (2017). Analysis of water quality factor and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Chl-a in middle and downstream weir section of Nakdong River, J. Korean Soc. Environ. Eng., 39(2), 89-96. 

  19. Jung, W.S., Kim, B,G., Kim, Y.D., and Kim, S.E. (2019).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yanobacteria in the mainstream of Nakdong river using decision trees, J. Wetl. Res., 21(4), 312-320. 

  20. Kim, C.W. and Seo, Y.G. (2020). Design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ultra-low flow hydrocyclone using the random forest method, J. Korean Soc. Manuf. Technol. Eng., 29(2), 83-88. 

  21. Kim, D.H. and Yom, J.H. (2018). Machine Learning Based Estimation of Chlorophyll-a Concentrations in the Nakdong River Using Satellite Imagery, J. Korean Soc, Geom. atics., 4, 231-236. 

  22. Kim, G.H., Jung, K.Y., Yoon, J.S., and Cheon, S.U. (2013).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observed in lower watershed of Nam River Dam, J. Korean Soc. Hazard Mitig., 13(6), 429-437. 

  23. Kim, H.G. (2017). Prediction of chlorophyll-a in the middle reach of the Nakdong River at Maegok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Department of Integrated Biological Science,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B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4. Krishna, T.H., Rajabhushanam, C., Michael, G., and Kavitha, R. (2019). Liver disorderprognosis with Apache spark random forest and gradient booster Algorithms, IJITEE, 8, 2278-3075. 

  25. Landry, M., Erlinger, T.P., Patschke, D., and Varrichio, O. (2016). Probabilistic gradient boosting machines for Gefcom 2014 wind forecasting, Int. J. Forecast, 32(3), 1061-1066. 

  26. Lawrence, R., Bunn, A., Powell, S., and Zambon, M. (2004). Classification of remotely sensed imagery using stochastic gradient boosting as a refinement of classification tree analysis, Remote Sens. Environ., 90(3), 331-336. 

  27. Lee, H.W. (2013). A study on nutrient mass balance of the weir sections in the middle of Nakdong River basin,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Environment Engineering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Gyeongbuk, Korea. 

  28. Lee, J.A. and Yoo, J.E. (2019). Exploration of predictors to teacher efficacy via elastic net, Asian J. Education, 20(1), 149-172. 

  29. Lee, S.H., Kim, B.R., and Lee, H.W. (2014). A study on water quality after construction of the weirs in the middle area in Nakdong River, J. Korean Soc. Environ. Eng., 36(4), 258-264. 

  30. Lim, J.S., Kim, Y.W., Lee, J.H., Park, T.J., and Byun, I.G. (2015). Evaluation of Correlation between Chlorophyll-a and Multiple Parameters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J. Korean Soc. Environ. Eng., 37(5), 253-261. 

  31. McLaughlin, D.B. (2012). Assessing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risk-based water quality criteria using decision error estimate from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ROC) analysis, Integr. Environ. Asses., 8(4), 674-684. 

  32. Metz, C.E. (1978). Basic principles of ROC analysis, Seminars in the Nuclear Medicine, 8(4), 283-298. 

  33. Morrison, A.M., Coughlin, K., Shin, J.P., Coull, B.A., and Rex, A.C. (2003).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of beach water quality indicator variables, Appl. Environ. Microb., 69(11), 6405-6411. 

  34. Nieto, P.J.G., Gonzalo, E.G., Lasheras, F.S., Fernandez, J.J.R., Muniz, C.D., and Cos Jues, F.J. (2018). Cyanotoxin level prediction in a resevoir using gradient boosted regression trees: A case study, Environ. Sci. Pollut. R., 25, 22658-22671. 

  35. Muller, A.C., and Guido, S. (2016).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with Python: A Guide for Data Scientists, O'Reilly Media, Inc. 

  36. Park, B.G. (2015). A study for estimation of chlorophyll-a in a mid-lower reach of the Nakdong River using a neural network, Master's Thesis,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al University, Busan, Korea. 

  37. Park, K.Y., and Ko. J.W. (2019). A short guide to machine learning for economists, Korean J. Econ., 26(2), 367-408. 

  38. Persson, C., Bacher, P., Shiga, T., and Madsen, H. (2017). Multi-site solar power forecasting using gradient boosted regression trees, J. Sol. Energy, 150, 423-436. 

  39. Rokach, L., and Maimon, O. (2005). Decision Trees In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Handbook, Springer, Boston, MA. 

  40. Song, S.S., Park, J.J., Kang, T.T., Kim, Y.S., Kim, J.Y., and Kang, T.K. (2017). Accuracy evaluation and alert level setting for real-time cyanobacteria measurement using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J. Korean Soc. Water Environ., 33(2), 130-139. 

  41. Tibshirani, R. (1996). Regression shrinkage and selection via the lasso,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Methodological), 58(1), 267-288. 

  42. Twisti, H., Edeards. A.C., and Codd, G.A. (1988). Algae growth respones to waters of contrasting tributaries of the river Dee, North-East Scotland, Water Res., 32(8), 2471-2479. 

  43. Vapnik, V. (1998). Statistical learning theory, Wiley-Interscience, New York. 

  44. Wei, L., Huang, C., Wang, Z., Wang, Z., Zhou, X., and Cao, L. (2019). Monitoring of urban black-odor water based on Nemerow index and gradient boosting decision tree regression using UAV-borne hyperspectral imagery, Remote Sens., 11(20), 2402. 

  45. Zou, H. and Hastie, T. (2005). Regularization and variable selection via the elastic net,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Statistical Methodology), 67(2), 301-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