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 남한국대지 퇴적물의 생물기원 성분 입도 분포의 특성과 고해양학적 의미
Characteristics and Paleoceanographic Implications of Grain-size Distributions of Biogenic Components in Sediments from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42 no.3, 2020년, pp.249 - 261  

장준호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환경과학과) ,  박장준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환경과학과) ,  김은정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환경과학과) ,  엄인권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tails grain-size distributions (GSDs) of carbonate and biogenic opal fractions of the sediments retrieved from the South Korea Plateau in the East Sea and draws paleocanographic implications from them. The opal-fraction GSDs show fine modes of 10.3 ㎛ and coarse modes of 102.5 &#x...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동해 퇴적물의 오팔 및 탄산염 성분 입도 변화의 고해양학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오팔 및 탄산염 성분 함량 값을 가지는 퇴적물 시료를 대상으로 성분별 입도 분포의 특성을 파악한 후 각 성분별 입도 분포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MIS 시기 및 퇴적상 변화에 따른 각 성분별 입도 분포의 변화를 통하여 동해의 표층 생산성 및 탄산염 용해도 등의 고해양학적 변화가 생물기원 성분의 입도 분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규명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동해 퇴적물의 오팔 및 탄산염 성분 입도 변화의 고해양학적 의미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오팔 및 탄산염 성분 함량 값을 가지는 퇴적물 시료를 대상으로 성분별 입도 분포의 특성을 파악한 후 각 성분별 입도 분포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원인을 파악하였다. 또한 MIS 시기 및 퇴적상 변화에 따른 각 성분별 입도 분포의 변화를 통하여 동해의 표층 생산성 및 탄산염 용해도 등의 고해양학적 변화가 생물기원 성분의 입도 분포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5) Study on Earth's environmental change using quaternary sedimentary records: Phase I. GOVP 1200505523, 221 p 

  2. Bahk JJ, Chough SK, Han SJ (2000) Origins and paleoceanographic significance of laminated muds from the Ulleung Basin, East Sea (Sea of Japan). Mar Geol 162: 459-477 

  3. Blott SJ, Pye K (2001) GRADISTAT: A grain size distribution and statistics package for the analysis of unconsolidated sediments. Earth Surf Proc Land 26:1237-1248 

  4. Cha HJ, Choi MS, Lee CB, Shin DH (2007) Geochemistry of surface sediment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J Asian Earth Sci 29:685-697 

  5. Chang KI, Zhang CI, Park C, Kang DJ, Ju SJ, Lee SH, Wimbush M (2016) Oceanography of the East Sea (Japan Sea). Springer, Cham, 460 p 

  6. Chough SK, Lee HJ, Yoon SH (2000)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Elsevier, Amsterdam, 328 p 

  7. Frenz M, Baumann KH, Boeckel B, Hoppner R, Henrich R (2005) Quantification of foraminifer and coccolith carbonate in South Atlantic surface sediments by means of carbonate grain-size distributions. J Sediment Res 75:464-475 

  8. Frenz M, Henrich R (2007) Carbonate dissolution revealed by silt grain­size distribution: Comparison of holocene and last glacial maximum sediments from the pelagic South Atlantic. Sedimentology 54:391-404 

  9. Hyun S, Bahk JJ, Suk BC, Park BK (2007) Alternative modes of quaternary pelagic biosiliceous and carbonate sedimentation: A perspective from the East Sea (Japan Sea). Palaeogeogr Palaeocl 247:88-99 

  10. Irino T, Tada R (2003) High-resolution reconstruction of variation in aeolian dust (Kosa) deposition at ODP site 797, the Japan Sea, during the last 200 ka. Global Planet Change 35:143-156 

  11. Itaki T, Komatsu N, Motoyama I (2007) Orbital-and millennialscale changes of radiolarian assemblages during the last 220 kyrs in the Japan Sea. Palaeogeogr Palaeocl 247:115-130 

  12. Khim BK, Bahk JJ, Hyun S, Lee GH (2007) Late pleistocene dark laminated mud layers from the Korea Plateau, western East Sea/Japan Sea, and their paleoceanographic implications. Palaeogeogr Palaeocl 247:74-87 

  13. Khim BK, Park YH, Bahk JJ, Jin JH, Lee GH (200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geochemical properties and paleoceanographic implications in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during the late Quaternary. Quaternary Int 176:46-61 

  14. Khim BK, Ikehara K, Irino T (2012) Orbital­and millennial­ scale paleoceanographic changes in the north­eastern Japan Basin, East Sea/Japan Sea during the late Quaternary. J Quaternary Sci 27:328-335 

  15. Khim BK, Bahk JJ (2014) Chronostratigraphy and paleoceanography of a piston core (EBP-3) from the South Korea Plateau in the East Sea (Japan Sea). Quaternary Int 344:192-199 

  16. Kido Y, Minami I, Tada R, Fujine K, Irino T, Ikehara K, Chun JH (2007) Orbital-scale stratigraphy and highresolution analysis of biogenic components and deep-water oxygenation conditions in the Japan Sea during the last 640 kyr. Palaeogeogr Palaeocl 247:32-49 

  17. Lee KE, Bahk JJ, Narita H (2003) Temporal variations in productivity and planktonic ecological structure in the East Sea (Japan Sea) since the last glaciation. Geo-Mar Lett 23:125-129 

  18. Lee SH, Chough SK, Back GG, Kim YB (2002) Chirp (2- 7-kHz) echo characters of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Styles of mass movement and sediment gravity flow. Mar Geol 184:227-247 

  19. McCave IN, Manighetti B, Robinson SG (1995) Sortable silt and fine sediment size/composition slicing: Parameters for palaeocurrent speed and palaeoceanography. Paleoceanography 10:593-610 

  20. Nagashima K, Tada R, Matsui H, Irino T, Tani A, Toyoda S (2007) Orbital-and millennial-scale variations in Asian dust transport path to the Japan Sea. Palaeogeogr Palaeocl 247:144-161 

  21. Nagashima K, Tada R, Tani A, Sun Y, Isozaki Y, Toyoda S, Hasegawa H (2011) Millennial-scale oscillations of the westerly jet path during the last glacial period. J Asian Earth Sci 40:1214-1220 

  22. Oba T, Kato M, Kitazato H, Koizumi I, Omura A, Sakai T, Takayama T (1991) Paleo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apan Sea during the last 85,000 years. Paleoceanography 6:499-518 

  23. Rea DK (1994) The paleoclimatic record provided by eolian deposition in the deep sea: The geologic history of wind. Rev Geophys 32:159-195 

  24. Saavedra-Pellitero M, Baumann KH, Gallagher SJ, Sagawa T, Tada R (2019) Paleoceanographic evolution of the Japan Sea over the last 460 kyr-A coccolithophore perspective. Mar Micropaleontol 152:101720 

  25. Sun D, Bloemendal J, Rea DK, Vandenberghe J , Jiang F, An Z, Su R (2002) Grain-size distribution function of polymodal sediments in hydraulic and aeolian environments, and numerical partitioning of the sedimentary components. Sediment Geol 152:263-277 

  26. Suzuki T, Tsunogai S (1988) Origin of calcium in aerosols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J Atmos Chem 6:363-374 

  27. Tada R, Irino T, Koizumi I (1999) Land­ocean linkages over orbital and millennial timescales recorded in late quaternary sediments of the Japan Sea. Paleoceanography 14:236-247 

  28. Ujiie H, Ichikura M (1973) Holocene to uppermost pleistocene planktonic foraminifers in a piston core from off San-in district, San of japan. Trans Proc Paleontol Soc Jpn 93:137-150 

  29. Wu L, Krijgsman W, Liu J , Li C, Wang R, Xiao W (2020) CFLab: A MATLAB GUI program for decomposing sediment grain size distribution using Weibull functions. Sediment Geol 398:1055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