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해기사의 흡연 및 간접흡연 실태와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금연의도
A Study on the Smoke and Secondhand Smoke status, Knowledge about Smoking, Attitude for Smoking behavior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of Seafar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9, 2020년, pp.413 - 421  

김민경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재희 (혜전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육지와 떨어진 제약적 환경 때문에 선박에서 근무하는 해기사는 사무직근로자보다 보건소와 같은 금연지원체계에 대한 접근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해기사의 흡연 및 간접흡연 실태를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총 155명의 대상자에게 홉연 및 간접흡연 경험,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금연의도와 선박 내 흡연시설에 대해 설문하였다. 조사 결과, 대상자의 흡연율은 32.3%였고, 간접흡연율은 86.5%로 높은 수준이었다. 선박 내 금연구역이 있는 경우에도 대부분의 흡연행위가 휴게실과 같은 해기사들의 생활 공간에서 주로 발생한다고 답하였다. 또한 선박 내 지정흡연실이 없거나 환풍시설이 미비한 경우도 40%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대상자 중 금연교육을 받은 사람은 21.9%에 불과하였다. 흡연행위에 대한 태도는 34.58점(총 60점)으로 부정적이었고, 흡연에 대한 지식은 16.12점(총 20점)으로 중간보다 높았다. 흡연자 10명 중 9명은 금연을 시도한 경험이 있었으나 금연 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한된 공간에서 근무와 생활을 병행하는 장기간 체류하는 해기사들의 흡연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해기사가 활용 가능한 방법으로 주기적인 금연교육을 통해 동기를 부여하고 금연의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흡연 실태조사를 조사하여 간접흡연의 피해를 주기적으로 파악하는 한편, 선박 내 흡연관련시설 등 환경적 요인에 대한 법규를 재정비하는 등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cause of space constraints of the ship, accessibility to supporting system for nonsmoking is poor in seafarers' group.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the smoking status, second-hand smoking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smoking habit of Korean seafarers. So, we examined the rate of smoking and 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흡연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해기사의 흡연 및 간접흡연 실태와 흡연과 관련된 선박근로환경,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그리고 금연의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해기사에게 적합하고 효과적인 금연교육과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해기사의 흡연 및 간접흡연실태, 흡연 관련 선박근로환경,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금연의도를 한국 해기사 중 일부에게 조사한 단면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흡연 관련 연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해기사에게 효과적인 금연 중재를 마련하고 실질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총 155명 해기사의 흡연율과 간접흡연률, 선박의 흡연시설, 흡연에 대한 지식, 흡연 행위에 대한 태도, 흡연 특성과 금연 의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해기사의 흡연관련 건강행위 증진을 위한 기초조사연구로서, 해기사의 흡연과 간접흡연실태, 흡연과 관련된 선박근로환경,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 금연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 흡연 해기사 50명의 흡연특성에 따라 금연의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하루 흡연량이나 승선 후 흡연량의 증가여부, 기상 후 첫 흡연시기, 흡연의 목적과 금연이 어려운 시기, 금연구역 내에서 금연을 실천여부에 따른 금연의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스트레스를 높이는 선박생활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해기사는 고립된 바다에서 장기간 집단 생활을 하는데, 업무와 생활의 경계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선박은 폐쇄적인 작업장인 동시에 단조로운 생활공간의 근로환경이 되는 것이다[4]. 바쁜 운항스케줄, 선내 식생활, 각종 규정에 의한 업무, 제한된 근로환경에 따른 개인생활과 작업이 분리되지 않는 선박생활의 특성은 개인의 스트레스를 높이고 건강행위를 지속하기 어렵게 한다[5]. 이러한 대상자들에게 건강증진을 위한 예방적 조치는 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질병예방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6].
흡연자들의 흡연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특히 흡연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스트레스 해소로 지적되고 있기 때문에[7] 제한적 근로환경에 놓인 해기사들의 흡연율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실제 국내 한 연구에서는 해기사의 흡연율이 56.
흡연 해기사가 선박 위에서 흡연하는 곳은 어디인가? 68)로 가장 시작 시기가어린 사람은 13세였다. 응답자 다수가 선박 내의 금연 구역에서는 금연을 실천하고 있다고 답하였지만(37명, 74%), 선박 내 흡연 장소에 대한 질문에는 휴게실, 브릿지, 카고 등 대다수의 장소에서 흡연을 하는 것으로 답하여 이전 대답과 불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해기사 중 절반 이상은 승선 전보다 승선 이후의 흡연량이 증가한다고 답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 S. Kim (2005). A Stud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In Male Smokers. Journal of Korean Acad. of Nurs. 3(2), 344-352. 

  2. N. J. Kim & H. S. Hong (2016). Influence of Knowledge about Lung Cancer, Attitude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about Cancer on Nicotine Dependency in Smoking 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8(4), 213-220.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http://www.mohw.go.kr/m/noticeView.jsp?MENU_ID0403&cont_seq322607&page211/, (accessed 2018. August. 28). 

  4. J. H. Jang & W. H. Ha & H. Kim (2011). A study of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or seafarers. Maritme & Ocean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KORDI, Daejeon, 305-343. 

  5. S. B. Moon & U. S. Jung & H. D. Ha & S. H. Jun & J. H. kim. (2006). A Study on Health Status and Occupational Stress of Seafarer, Journal of Korean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0(1), 39-45. 

  6. Y. W. Jeon & J-H. Kim & W-Y. Seo & Y-H. Choi & S-H. Choi & I-S. Park & S-H. Kang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ystem for the Promotion of Seafarers' Health in Seafarers' Act, Maritime Law Research, 25(3), 161-198. 

  7. C. S. Shin & C. H. Kim (2010). The Smoking Related Factors of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esearch on Nicotine and Tobacco. 1, 26-32. 

  8. Y. S. Cheong (2002). Smoking Smoking Status and Related Factor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2002. J Korean Acad Fam Med. 24: 894-903. 

  9. Choi, K. W. (2008). The knowledge, attitude on smoking and experience of smoking cessation in male smoker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4(1), 24-35. 

  10.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11. H. K. Choo (2009). A Study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regarding Smoking. Depart of Health Education, PhD diss., The John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2. K. W. Choi (2008). The Knowledge, Attitude on Smoking and Experience of Smoking Cessation in Male Smoker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4(1). 24-35. 

  13. H. S. Whang (2000). Predictive factors for intention of smoking Cessation among youth smoke rs, PhD diss., The Johns Kosin University, Seoul, Korea. 

  14. C. S. Shin & C. H. Kim (2010). The Smoking Related Factors of Korea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esearch on Nicotine and Tobacco. 1(1) 26-31. 

  15. M. K. Kim & J. H. Kim (2018). A Study on the Smoking state and Secondhand Smoke, Smoking Knowledge,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Cessation Intention of Seafarers. Proceedings of the 10th Convergent Among Humanities, Sociology, Science, and Technology Conference. October 27; Kyeong-Ju, Korea 

  16. H. R. Cho & K. Y. Lee (2011). Tobacco Smoke Exposure at Bus Stops on Outdoor in Seoul. Proceedings of the Congress of The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October 95; Seoul, Korea 

  17. J. H. Kim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of seafares.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37(1), 29-34. 

  18. S. H. Kang & J. H. Kim & Y. W. Jeon & W. Y. Seo (2014).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Plan regarding Marine Telemedicine System based on Fusion of Medical-I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1-5. 

  19. O. G. Je & Y. J. Shin & D. G. Hwang (2009). A Study on Necessity and Economic Efficiency of Training and Educating North Korean Crews, The Korean Association of Shipping and Logistics 62, 741-7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