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족분 공급방식의 한강수계 저수지 시스템 용수공급능력 평가
Water Yield Evaluation of a Reservoir System Based on a Deficit Supply in the Han River Basin 원문보기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40 no.5, 2020년, pp.477 - 484  

최영제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이은경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지정원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이재응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용수공급은 대부분 저수지 운영에 의존하고 있어 저수지 운영은 안정적인 용수공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최근 강우의 시공간적 변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심도 깊은 가뭄의 발생이 잦아지고 있으며 동일 유역 내에서도 강우의 공간적 편차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기후의 변화는 하류 지점의 안정적인 유량을 유지하기 위한 저수지 시스템의 운영에도 어려움을 증가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부족분 공급방식의 저수지 운영을 적용하여 저수지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강유역에 위치한 9개 댐을 대상으로 저수지 모의운영을 실시하고, 분석결과의 평가지표로는 기간신뢰도, 양적신뢰도, 회복도 등을 활용하였다. 저수지 모의운영 모형은 일정량 공급방식 적용, 부족분 공급방식 적용, 부족분 공급 및 화천댐 실측방류량 적용 케이스 등 총 3개 케이스의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하였을 때 신뢰도와 회복도 등 모든 지표에서 저수지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기간신뢰도는 30 % 이상 증가하고 양적신뢰도는 약 4 % 증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수계 내의 모든 저수지가 각각 부여받은 용수공급량 충족이라는 목적과 동시에 하류 동일 지점의 안정적 유량유지를 목적으로 운영될 경우 수계전체의 용수공급능력 증대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부족분 공급방식의 저수지 운영이 강우의 공간적 변동성 증가와 같은 기후변화에 대응 가능한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방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rvoir operation affects the sustainability of a water supply. However, the increase in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rainfall, attributed to climate change, has led to severe droughts and increased difficulty in maintaining a sustainable discharge at certain locations in a reservoir sy...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러한 저수지 운영방식은 2개 이상의 저수지가 병렬로 연결되어 하류 동일 지점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운영되는 경우 각 댐의 공급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 지점의 유량을 기준으로 충주댐, 소양강댐, 횡성댐, 화천댐에 부족분 공급 방식의 운영을 적용한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해 팔당댐의 용수공급 능력을 평가하였다.
  • 하지만 이 경우 화천댐의 기본 운영목적인 발전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의 용수부족 저감 및 화천댐의 발전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케이스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화천댐 모의방류량을 실적방류량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족분 공급방식의 저수지 모의운영을 적용하여 한강수계 저수지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3개 케이스의 저수지 모의운영을 실시하고 일 기간신뢰도, 양적신뢰도, 회복도 등의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 하였다.
  • 화천댐은 기본적인 댐의 운영목적이 발전인 발전용댐이다. 발전용댐의 발전량은 방류량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 케이스에서 모의된 화천댐의 월 평균 방류량과 화천댐의 실적 월 평균 방류량을 비교하여 어떤 케이스가 실제운영에 가장 적합한지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Case 1, 2, 3에서의 연평균 방류량은 각각 23.
  •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저수지 시스템의 물 공급 안정성 분석을 위해 부족분 공급방식을 적용한 저수지 시스템의 용수공급능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한강유역에 위치한 3개의 다목적댐과 6개의 발전용댐을 대상으로 저수지 모의운영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는 연 강우량의 특징은? 우리나라는 연 강우량의 60~70 %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어 대부분의 유역에서 저수지를 활용한 수자원 관리를 하고 있다. 국내 저수지의 기본 운영 방향은 홍수기에 발생한 많은 양의 물을 저수지에 저장한 후 이를 연중 활용하는 것이다.
국내 저수지의 기본 운영 방향에 있어 어려운 점은? 국내 저수지의 기본 운영 방향은 홍수기에 발생한 많은 양의 물을 저수지에 저장한 후 이를 연중 활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의 강우부족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저수지 운영에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된 중북부지역의 강우 부족은 한강권역 및 금강권역 수자원 관리에 큰 피해를 발생시켰다.
국내 저수지의 기본 운영 방향은? 우리나라는 연 강우량의 60~70 %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있어 대부분의 유역에서 저수지를 활용한 수자원 관리를 하고 있다. 국내 저수지의 기본 운영 방향은 홍수기에 발생한 많은 양의 물을 저수지에 저장한 후 이를 연중 활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의 강우부족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저수지 운영에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Fayaed, S. S., El-Shafie, A. and Jaafar, O. (2013). "Reservoir-system simulation and optimization techniques."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27, No. 7. pp. 1751-1772. DOI: 10.1007/s00477-013-0711-4. 

  2. Hashimoto, T., Stedinger, J. R. and Loucks, D. P.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1, pp. 14-20. 

  3. Jang, C. H. and Kim. Y. O. (2016). "Improvement of water supply capability of the Nakdong river basin dams with wei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Vol. 36, No. 4, pp. 637-644 (in Korean). 

  4. Jowitt, P. W. and Hay-Smith, D. (2002). "Reservoir yield assessment in a changing Scottish environment."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 294, No. 1-3, pp. 185-199. DOI: 10.1016/S0048-9697(02)00067-0. 

  5. Ki, C. S. (2018). Deficit-supply operation for increasing conservation capability of water supply dam, Masters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Republic of Korea (in Korean). 

  6. Lee, D. H., Choi, C. W., Yu, M. S. and Yi, J. E. (2012). "Reevaluation of multi-purpose reservoir yiel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4, pp. 361-371 (in Korean). 

  7. Lee, D . R., Mo o n, J . W. a nd Cho i, S . J. ( 2014).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y deficitsupply oper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7, No. 2, pp. 195-206. DOI: http://dx.doi.org/10.3741/JKWRA.2014.47.2.195 (in Korean). 

  8. Moy, W. S., Cohon, J. L. and ReVelle, C. S. (1986). "A programming model for analysis of the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of a water supply reservoi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2, No. 4, pp. 489-498. DOI: 10.1029/WR022i004p00489. 

  9. Rani, D. and Moreira, M. M. (2010). "Simulation-optimization modeling: A survey and potential application in reservoir systems operation."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4, No. 6, pp. 1107-1138. DOI: 10.1007/s11269-009-9488-0. 

  10. Ranjithan, S. R. (2005). "Role of evolutionary computation in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systems analysi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1, No. 1, pp. 1-2. DOI: 10.1061/(asce)0733-9496(2005)131:1(1). 

  11. Simonovic, S. P. (2000). "One view of the future." Water International, Vol. 25, No. 1, pp. 76-88. DOI: 10.1080/02508060008686799. 

  12. Wurbs, R. A. (1993). "Reservoir system simulation and optimization model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19, No. 4, pp. 455-472. DOI: 10.1061/(ASCE)0733-9496(1993)119:4(455). 

  13. Yeh, W. W. G. (1985). "Reservoir management and operations models: a state-of-the-art review."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1, No. 12, pp. 1797-1818. DOI: 10.1029/WR021i012p0179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