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광공정 방식에 의해 출력된 치과용 보철물의 품질 분석
Analysis of the quality of dental prostheses printed by digital light-processing technology 원문보기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JTD, v.42 no.3, 2020년, pp.197 - 201  

김재홍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치기공학과) ,  김기백 (대전보건대학교 치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quality of dental prostheses printed by digital light-processing (DLP) technology. Methods: Ten experimental models were prepared. The ten specimens that were printed by DLP technology constituted the DLP group. The ten specimens that were produced in the sam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변연간격이 큰 보철물의 경우 그렇지 않은 보철물보다 2차 우식 발병 시기가 빨라지며 이에 따라 보철물의 철거 시점이 빠르다고 선행연구를 통해 보고되었다[6]. 때문에 해당 연구에서는 출력된 보철물의 변연간격을 기존의 표준 방식인 주조 방식을 통해 제작된 보철물의 변연간격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최근 치과기공환경에서 사용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DLP 방식으로 출력된 고정성 치과보철물의 품질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고정성 치과보철물의 품질을 결정짓는 요인은 많은 것들이 있겠으나 특히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해당 보철물의 변연간격이라고 생각한다.
  • 최근 첨가방식의 많은 장점들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보고되고 있는 만큼 여러 기술을 적용한 치과용 3D 프린터가 시판되고는 있으나 해당되는 기술과 연관되어 제작된 치과보철물의 품질을 평가하는 연구와 관련한 정보는 부족한 실정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DLP 기반의 치과용 첨가방식 기기를 활용하여 고정성 치과보철물을 제작하고 해당 시편들의 품질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품질 평가는 고정성 치과보철물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연간격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 종사자들(치과기공사, 치과의사 등)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시편 제작을 위한 실험 모형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모형은 상악 우측 중절치, 상악 좌측 측절치가 지대치이고, 상악 좌측 중절치가 결손부위인 교의치 모형을 제작했다.
  • 본 연구를 통해 치과용 3D 프린팅 방식 중에 하나인 DLP 방식으로 출력된 치과용 고정성 보철물의 품질을 변연간격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출력물의 변연간격을 측정하고 기존의 주조 방식의 것들과 비교 평가를 통해 임상 종사자들(치과기공사,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등)에게 참고 자료로써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에서는 DLP 방식에 의해 출력된 고정성 보철물의 변연간격이 주조 방식으로 제작된 것들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주조 방식으로 제작된 고정성 보철물의 품질이 더 우수한 것으로 풀이된다.
  • 본 연구에서는 DLP 기반의 치과용 첨가방식 기기를 활용하여 고정성 치과보철물을 제작하고 해당 시편들의 품질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품질 평가는 고정성 치과보철물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연간격을 기준으로 평가하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 종사자들(치과기공사, 치과의사 등)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Figure 2. The definition of marginal ga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첨가방식 기술이란? 이들 중에서도 첨가방식 기반의 제조기술은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기술 중 하나이다. 첨가방식 기술은 쾌속조형(rapid prototyping), 첨가제작(additive manufacturing) 등의 용어로 일컬어져왔으며 1980년대 이전부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왔고 최근에는 제조기술의 혁명으로 의미되고 있다. 한편 해당 기술에 대한 대중적인 용어로 3차원 출력기술(three-dimensional printing, 3DP)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3D 프린팅 기술로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2].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 분야는? 이 기술은 제조기술과 연관된 분야뿐만 아니라 의료분야에서도 활용되기 시작했으며 그 활용범위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치과기공 분야에서도 주목받는 기술로 여겨지고 있고, 아날로그 방식 기반의 보철물 제조기술이 디지털 방식 기반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치과기공 분야에서의 활용은 기본적으로 컴퓨터 기반의 제작 방식을 따르게 된다.
3차원 출력기술은 대중들에게 어떤 기술로 잘 알려져 있는가? 첨가방식 기술은 쾌속조형(rapid prototyping), 첨가제작(additive manufacturing) 등의 용어로 일컬어져왔으며 1980년대 이전부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왔고 최근에는 제조기술의 혁명으로 의미되고 있다. 한편 해당 기술에 대한 대중적인 용어로 3차원 출력기술(three-dimensional printing, 3DP)의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3D 프린팅 기술로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Miyazaki T, Hotta Y, Kunii J, Kuriyama S, Tamaki Y. A review of dental CAD/CAM: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rom 20 years of experience. Dent Mater J. 2009;28:44-56. 

  2. Kim KB. Evaluation of clinical adaptation of dental prostheses printed by 3-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J Kor Aca Den Tec. 2019;41:1-7. 

  3. Kim JH, Kim KB. Internal evaluation of provisional restorations according to the dental CAD/CAM manufacturing method: three-dimensional superimpositional analysis. J Kor Aca Den Tec. 2019;41:81-86. 

  4. Kim KB, Kim JH, Kim WC, Kim JH.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gaps associated with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with new technologies. J Prosthet Dent. 2014;112:1432-1436. 

  5. Kokubo Y, Nagayama Y, Tsumita M, Ohkubo C, Fukushima S, Vult von Steyern P. Clinical marginal and internal gaps of In-Ceram crowns fabricated using the GN-I system. J Oral Rehabil. 2005;32:753-758. 

  6. Foster LV. Failed conventional bridge work from general dental practice: clinical aspects and treatment needs of 142 cases. Br Dent J. 1990;168:199-201. 

  7. Ostlund LE. Cavity design and mathematics: their effect on gaps at the margins of cast restorations. Oper Dent. 1985;10:122-137. 

  8. Moldovan O, Rudolph H, Quaas S, Bornemann G, Luthardt RG. Internal and external fit of CAM-made zirconia bridge frameworks- a pilot study. Dtsch Zahnarztl Z.2006;61:38-42. 

  9. McLean JW, von Fraunhofer JA. The estimation of cement film thickness by an in vivo technique. Br Dent J. 1971;131:107-111. 

  10. Kim JH, Kim KB. An evaluation validity of the silicone replica technique at measurement on fit of fixed dental prostheses. J Dent Hyg Sci. 2012;12:566-5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