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분석
Structural Analysis of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3, 2020년, pp.223 - 233  

이혜경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model that describes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and to verify the goodness of fitness of the model.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483 working w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 양육 스트레스, 통합력, 우울은 건강관련 삶의 질을 78% 설명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양육 스트레스와 통합력,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정한 것과 통합력의 중요성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통합력 향상과 우울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관련 변인 간의 경로와 직 · 간접적인 효과를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을 기반으로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의 영향력과 각 변인들의 직 · 간접적인 효과를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가설들을 검정하는 횡단적 설계의 구조모형 연구이다.
  • 본 연구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에서 확인된 변인 간의 관계와 경로 등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전략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은 양육 스트레스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생성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과 각 변인들의 직 · 간접적인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건강생성이론[5]을 토대로 미취학 자녀를 둔 취업여성의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 양육 스트레스, 통합력, 우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직 · 간접적인 영향과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대한 구조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SIS. Employment by region in the first half of 2018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9 Mar 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3/3/index.board?bmoderead&aSeq371928 

  2. Kim DS, Kim YT, Jeong JJ. Work-family conflict and health impact among Korean women in dual-earner families: focused on working hours.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13. 190 p. 

  3. Song DY, Jang SJ, Kim EJ.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workfamily conflict of Korean working people: Focusing the effect of workplace support and familial support. Social Welfare Policy. 2010;37(3):27-52. https://doi.org/10.15855/swp.2010.37.3.27 

  4. Roxburgh S. Parental time pressures and depression among married dual-earner parents. Journal of Family Issues. 2012;33 (8):1027-1053. https://doi.org/10.1177/0192513X11425324 

  5. Antonovsky A. Unraveling the mystery of health: How people manage stress and stay well. 1st ed. San Francisco: Jossey-Bass. 1987. 218 p. 

  6. Hwang WS, Lee SH, Lee NY. Variables influencing on daily parenting stress of employed mothers with nonstandard work schedules. Journal of Family Relations. 2012;17(1):87-112. 

  7. Greenglass E, Fiksenbaum L, Eaton J.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ocial support, functional disabili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Anxiety, Stress & Coping: An International Journal. 2006;19(1):15-31. https://doi.org/10.1080/14659890500436430 

  8. Cha BK. A path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ale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4):399-409.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4.399 

  9. Jung EY, Kang MJ. The effects of parenting knowledge, job satisfaction and spousal suppor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of dual-income families. Korean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Policy. 2015;9(1):201-226. 

  10. Son YJ.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married working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7;19(3):422-435. 

  11. Derbis R, Jasi?ski AM. Work satisfaction, psychological resiliency and sense of coherence as correlates of work engagement. Cogent Psychology. 2018;5(1):1451610. https://doi.org/10.1080/23311908.2018.1451610 

  12. Danielle NS, Abigail JS. Parenting stress, perceived child regard,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stepmothers and biological mothers. Family Relations. 2011;60(5):533-544. https://doi.org/10.1111/j.1741-3729.2011.00665.x 

  13. Park MJ. The effect of sense of coherence on the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7;27(1):39-52. 

  14. Lee EC, Lee SK, Lee WK. Salutogenic comparative study on SOC,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life-health satisfaction of manufacturing workers in Korea and Japan.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5;41(3):37-49. 

  15. Mitchell RJ. Path analysis: Pollination. In: Scheiner SM, Gurevitch J, editors. Design and analysis of ecological experiments. 2nd ed. New York, NY:Chapman and Hall; 1993. p. 211-231. 

  16. Park JW. Social support for development scale research work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127 p. 

  17. Korea Labor Institut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Internet]. Sejong: Korea Labor Institute. 2000 [cited 2017 February 9]. Available from: https://www.kli.re.kr/kli/index.do 

  18. Landis RS, Beal DJ, Tesluk PE. A comparison of approaches to forming composite measur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2000;3(2):186-207. https://doi.org/10.1177/109442810032003 

  19. Choi YJ. Determinants of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among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focusing on mothers' job related characteristic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14. 42 p. 

  20. Kim KH, Kang HK. Research: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1997;33(5):141-150. 

  21. Kim SH. A study about parenting stress and relative factors among married working woman; Focused on child support [master's thesis].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1. 90 p. 

  22. Kim KS, Choi SM, Han K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 status in hospital nurses: Based on the theory of salutogenesis with bio behavior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5;17(1):50-59. https://doi.org/10.7586/jkbns.2015.17.1.50 

  23.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977;1(3):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24. Chon KK, Choi SC, Yang BC.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1;6(1):59-76. 

  25. Dowrick C, Gask L, Perry R, Dixon C, Usherwood T.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icine. 1998;28(3):551-558. https://doi.org/10.1017/s0033291798006667 

  26.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3):571-579. 

  27. Moon SB.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9.0. Seoul: Hakjisa; 2015. 725 p. 

  28. Woo JP.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5. 567 p. 

  29. Hong SH.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0;19(1):161-177. 

  30. Ford MT, Heinen BA, Langkamer KL. Work and family satisfaction and conflict: A meta-analysis of cross-domain rel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7;92(1):57-80. https://doi.org/10.1037/0021-9010.92.1.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