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고 고등학생의 행복감 구조모형: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ppiness: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and Resilience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1 no.3, 2020년, pp.395 - 404  

박선향 (인동고등학교) ,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edictive model for happiness of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s. The study was based on the theory of happiness integration and the literature review.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231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의 부모는 자녀에게 관심을 가지고 자녀 의사를 존중하는 경향이 높아[5] 긍정적 자아존중감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발달을 위해서는 애정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관심과 보호를 제공하는 일관된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감사와 낙관성을 성격특성으로, 부모 양육태도, 학업 스트레스, 친구지지를 삶의 여건으로,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을 심리적 과정인 매개변수로 고등학생 행복감의 구조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행복감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행복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고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과 대책 수립을 위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반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고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일반고 고등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구조모형 연구이다.
  • 학생의 낙천적 성격,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친구의 지원은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을 증진시켜 궁극적으로 고등학생의 행복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행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미흡했던 일반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행복감에 대한 영향요인을 제시하고 구조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보건교사를 중심으로 한 정기적인 고등학생 행복감 측정, 행복감 향상 관련 교과과정 혹은 교과 외 과정을 개발하여 건강관리를 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감사와 낙관성을 성격특성으로, 부모 양육태도, 학업 스트레스, 친구지지를 삶의 여건으로,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을 심리적 과정인 매개변수로 고등학생 행복감의 구조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행복감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이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을 매개하여 행복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고등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과 대책 수립을 위한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DH. A study on happiness of adolescents in Korea and China.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012;50(1):227-255. 

  2. Han M, Choi IC, Kim BJ, Lee HJ, Kim KM, Ryu SA. Happiness of Korean adolescence: Age-based comparis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2;19(5):217-235. 

  3. Shin SB.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happiness in Korean adolescents.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2016;17(3):135-184. 

  4. Heo SY. An analysis of ec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dolescent happiness [dissertation].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09. 145 p. 

  5. Yoo HK. The path model analysis of variables influencing subjective well-being of youth[dissertation]. [Asan]: Soonchunhyang University; 2014. 170 p. 

  6. Huebner ES.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04;66(1-2): 3-33. https://doi.org/10.1023/B:SOCI.0000007497.57754.e3 

  7. Kwon SM. Positive Psychology: Scientific inquiry of happiness. Seoul: Hakjisa Co.; 2008. 622 p. 

  8.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984; 95(3):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9.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321 p. 

  10. Kwon SW, Lee AH, Song IH. A study on adolescent happiness: Application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Studies on Korean Youth. 2012;23(2):39-72. 

  11. Kang MH, Lee SY.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3;20(6):265-293. 

  12. Suh KH. Academic stresses, subjective well-being, and feeling of happiness in adolescence: Focused on roles of resilienc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6;23(11):137-157. https://doi.org/10.21509/KJYS.2016.11.23.11.137 

  13. McCullough ME, Emmons RA, Tsang J. The grateful disposition: A conceptual and empirical topograph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02;82(1):112-127. https://doi.org/10.1037/0022-3514.82.1.112 

  14. Scheier MF, Carver CS, Bridges MW.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4;67(6):1063-1078. https://doi.org/10.1037/0022-3514.67.6.1063 

  15. Cheon SM, Choi YM, Kim MO. Effect of optimism enhancement programs on self-esteem and stress coping sty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victimized by school violence.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15;22(2):341-356. 

  16. Roh YC, Yoo SH. Effect of the optimism enhancement program on optimism and ego-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Open Education. 2008;16(3):139-157. 

  17. Kim SA. The relationship of social relations and happiness i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Youth and Environment. 2012;10(4):15-26. 

  18. Ra JM, Park SJ, Rhee KJ.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school satisfaction on happiness via adolescents' self-esteem.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17;55:5-25. https://doi.org/10.17939/hushss.2017..55.001 

  19. Shin HS.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coping in the relation of optimism and pessimism to psychological adjustment in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5;12(3):165-192. 

  20. Noh HS, Shin H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06;15(2):147-168. 

  21. Oh SS, Lee JS. Relationships of children's perceived positive characteristics of parenting styles.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 1982 Mar. Report No.: RN 82-11-01. 

  22. Min HY, Yoo AJ.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coping scale for behavior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998;36(7):83-96. 

  23. Park JY. The relationships of adolescent academic stress, school violence and subjective happi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pathway of friend, family and teacher's support.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7;43(2):263-289. https://doi.org/10.15820/khjss.2017.43.2.011 

  24. Moon ES. A structural analysis of soci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ehaviors [dissertation].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1. 127 p. 

  25. Myeong SJ, Kang SH.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cademic achievement, and optimism on middle school students' happines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011;24(3):619-643. 

  26. Jon BJ.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Consulate. 1974;11(1):107-130. 

  27. Hills P, Argyle M.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02;33(7):1073-108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213-6 

  28. Woo JP. The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7. 391 p. 

  29. Suh HI, Shin NN. The effects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optimism on conflict coping styles. Korean Journal Child Studies. 2016;37(5):65-82. https://doi.org/10.5723/kjcs.2016.37.5.65 

  30. Shin HS, Lee SJ. The effects of microsystem and self-knowledge variables on happiness perceived by adolescent. Korea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2012;16(4):105-13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