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두 Burkholderia 속 세균에 의한 인산가용화 효과
Phosphate solubilizing effect by two Burkholderia bacteria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8 no.3, 2020년, pp.208 - 213  

오종훈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과) ,  김영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과) ,  윤민호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인산가용화균 Burkholderia contaminans PSB-A와 Burkholderia ambifaria PSB-B의 단일접종 및 동시접종에 따른 인산가용화 능력의 시너지 효과 및 상추생육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산캄슘이 함유된 NBRIP 액체배지에 분리균을 접종하고 해리된 가용인산(soluble phosphorus)함량을 HPLC에 의해 분석하여 인산가용화능을 측정한 결과, 배양 3일차에 동시접종구 166.3 ㎍ mL-1, B. contaminans 143.7 ㎍ mL-1, B. ambifaria 127.1 ㎍ mL-1의 순으로 나타나 두 종의 인산가용화세균간의 동시접종에 의한 시너지효과가 다소 관찰되었다. 배지 내 pH 와 잔류 glucose 함량 변화도 모든 접종구에서 배양 1 - 3일 후 pH 7.0에서 pH 4.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glucose 함량은 초기 10 mg mL-1 에서 4.3 mg mL-1 수준으로 검출되어 인산가용화능과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배양여액의 유기산 분석결과 gluconic acid 약 12.3 mg mL-1 와 malic acid 약 7.9 mg mL-1 수준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결과적으로 두 세균이 분비하는 유기산이 배지의 pH를 감소시키고, 인산 가용화를 유도하는 주요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접종 4주 후 상추 생육차이를 조사한 결과, TCP를 첨가하지 않은 B. contaminans 접종구, B. ambifaria 접종구 와 동시 접종구에 비해 TCA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약 7-9% 수준의 생육증진효과가 보였으나, 단일접종과 동시접종구간에 유의수준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rkholderia contaminans PSB-A and Burkholderia ambifaria PSB-B were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bed to estimate their phosphate solubility. The phosphate-solubilizing abilities of these strain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phosphorus content in a single and co-inoculation medium for 7 days. Th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비료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미생물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길항작용이나 시너지효과를 확인하고,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서 더욱 효율적인 미생물비료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실험에서는 양송이배지로부터 분리한 인산가용화 세균인 Burkholderia contaminans PSB-A 와 Burkholderia ambifaria PSB-B 를 이용하여 배지 배양 및 포트 재배실험을 통해 두 균주간의 인산가용화능에 관한 상호작용과 작물생장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산은 토양 중에 얼마를 차지하고 있는가? 인은 식물체의 생장과 발육에 가장 필수적인 다량영양소 중 하나이다(Illmer P and Schinner F, 1992). 인산은 토양 중에 0.05% (w/w)를 차지하고 있으나, 식물이나 미생물이 이용할 수 있는 인산의 양은 그 중에서도 0.1%에 불과하다(Zou et al, 1992).
토양 중에 제공된 인산은 대부분 무엇과 결합하여 무엇으로 고정화되는가? 1%에 불과하다(Zou et al, 1992). 또한 토양 중에 제공된 인산은 거의 대부분이 Al3+, Fe3+, Ca2+ 등의 양이온과 결합 하여 불용성 상태인 AlPO4, FePO4, Ca5(PO4)3OH 으로 고정화되거나, 또는 유기물과 결합하여 phytin과 같은 불용성 인산 형태로 토양에 존재하여 염류집적 및 농업환경오염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Suh and Kwon, 2008; EI-Yazeid and Abou-Aly. 2011).
근권미생물 중 인산가용화균은 어떠한 물질인가? 이러한 Ca5(PO4)3OH 등과 같은 불용성 인산염을 가용화시키는 근권미생물(rhizosphere microorganism) 중의 하나인 인산가용화균을 이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다(Qureshi et al, 2011; Egamberdieva et al, 2015). 근권에서 식물생육을 촉진하는 미생물인 대표적인 PGPR(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균으로 알려진 인산가용화균은 토양 중에서 chelate 물질로 작용하는 succinic acid, glutamic acid 등의 유기산을 분비하여 토양 내 pH 저하 시킴으로서 고정화 인산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인산과 결합된 Al3+, Fe3+, Ca2+ 이온 등을 해리시켜 토양 내 가용화 인산(soluble phosphorus) 함량을 증진시켜 주며, 또한 Al3+의 독성도 줄여주고, 토양의 양분순화 및 작물의 양분흡수를 도와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이다(Rodríguez and Fraga, 1999; Reyes et al, 2002; Mundra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uja A, Ghosh SB, D'Souza SF. 2007. Isolation of a starch utilizing, phosphate solubilizing fungus on buffered medium and its characterization. Bioresour Technol. 98: 3408-3411. 

  2. Bras RR, Nahas E. 2012. Synergistic action of both Aspergillus niger and Burkholderia cepacea in co-culture increases phosphate solubilization in growth medium. FEMS 332:84-90. 

  3. Egamberdieva D, Shrivastava S, Varma A. (eds.) 2015.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GPR) and medicinal plants. Soil Biology 42:3-4. 

  4. EI-Yazeid AA, and Abou-Aly HE. 2011. Enhancing growth,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omato plants using phosphate solubilizing microorganisms. Australian J Basic Appl Sci 5:371-379. 

  5. Illmer P, and Schinner F. 1992. Solubilization of inorganic phosphates by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forest soils. Soil 24:389-395. 

  6. Khalimi K, Suprapta DN, Nitta Y. 2012. Effect of Pantoea agglomerans on growth promotion and yield of rice. Agri Sci Res J. 2:240-249. 

  7. Mundra S, Arora R, Stobdan T. 2011. Solubilization of insoluble inorganic phosphates by a novel temperature, pH, and salt tolerant yeast, Rhodotorula sp. PS4, isolated from seabuckthorn rhizosphere, growing in cold desert of Ladakh, India. World J Microbiol Technol 27:2387-2396. 

  8. Park JH, Lee HH, Han CH, Yoo JA, Yoon MH. 2016. Synergistic effect of co-inoculation with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Korean J Soil Sci Fert. 43:401-414. 

  9. Qureshi MA, Shakir MA, Iqbal A, Akhtar N, Khan K. 2011. Co-inoculation of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nd rhizobia for improving growth and yield of mung bean (Vigna radiata L.). J Animal Plant Sci. 21:491-497. 

  10. Reyes I, Bernier L, Antoun H. 2002. Rock phosphate solubilization and colonization of maize rhizosphere by wild and genetically modified strains of Penicillium rugulosum. Microbial Ecology. 44:39-48. 

  11. Rodriguez H, Fraga R. 1999.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nd their role in plant growth promotion. Biotechnol Adv. 17:319-339. 

  12. Sane SA, Mehta SK. 2015 Isolation and evaluation of rock phosphate solubilizing fungi as potential biofertilizer. J Fertil Pestic 6: 2. DOI: 10.4172/2471-2728.1000156 

  13. Suh JS, and Kwon JS. 2008. Characterization of phosphate-solubilizing microorganisms in upland and plastic film house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41:348-353. 

  14. Yu HJ, and Yoon MH. 2019. Phosphate solubilizing effect by two paraburkholderia bacteria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medium. J Mushrooms. 17:64-89. 

  15. Walpola BC, and Yoon MH. 2013. Phosphate solubilizing bacteria: Assessment of their effect on growth promotion and phosphorous uptake of mung bean (Vigna radiata [L.] R. Wilczek). Chilean J Agri Res. 73:275-281. 

  16. Zou K, Binkley D, Doxtader KG. 1992. A new method for estimating gross phosphorus mineralization and mobilization rates in soil. Plant Soil. 147:243-2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