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 분리된 담수미세조류 Parachlorella sp.의 지방산 생산성 향상을 위한 배지 조성 연구
Investigation on Media Composition for Cultivation of a Newly Isolated Freshwater Microalga Parachlorella sp. to Enhance Fatty Acid Productivity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48 no.3, 2020년, pp.328 - 336  

박한울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  임경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 ,  민지호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  강성모 (인하대학교 생물산업기술연구소) ,  한찬우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  이창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 ,  정지영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 ,  홍성주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  이철균 (인하대학교 해양과학.생물공학과) ,  김지훈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낙동강 수계에서 신규하게 분리된 미세조류인 Parachlorella sp. 종의 바이오매스 및 지방산 생산성에 대한 배지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미세조류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BG-11, TAP, BBM 배지를 사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성은 TAP 배지에서, 지방산 축적은 BBM 배지에서 가장 잘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지방산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암모니아와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TAP 배지의 조성을 변화하여 BBM 배지처럼 지방산 축적을 유도하며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증가시킨 MTAP 배지를 개발하였다. 전체적인 바이오매스와 지방산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MTAP-1 배지가 적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지방산 생산성은 기존의 TAP 배지 대비 각각 14%, 45% 증가하였다. 생리 활성 효과로 인해 관심도가 높은 오메가-3 지방산의 생산에는 MTAP-4 배지가 가장 적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오메가-3 지방산 생산성이 기존 BBM 배지 대비 각각 18%, 39% 증가하여 목표 중점 생산물질(바이오매스, 총 지방산, 또는 오메가-3 지방산)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규 배지 2종의 조성을 개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rachlorella sp. is an efficient fatty acid producer that can be used in the production of biofuels, feeds, and fertilizers. Microalgae show varying responses to culture conditions, even those within the same species. In this study, growth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a newly isolated Parachlor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세조류 내 지방산 함량도 중요하지만, 바이오매스 자체가 많이 생산되어야 단백질, 탄수화물, 카로테노이드 등 다른 유용 물질의 절대 생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이오매스 생산성이 가장 높았던 TAP 배지의 질소와 인의 비율, 총량 등을 조절하여 TAP 배지의 높은 바이오매스 생산성과 BBM 배지의 높은 지방산 함량, 각각의 장점을 결합할 수 있는 배지 조성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TAP 배지에, 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았던 BBM 배지와 같이 질소와 인의 비율을 조절하고(MTAP-1), 세포 농도와 지방산 합성의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기 위해 MTAP-1 배지의 질소와 인의 총량을 줄인 MTAP-2, MTAP-3을 고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낙동강 수계에서 신규하게 분리된 미세조류인 Parachlorella sp. 종의 바이오매스 및 지방산 생산성에 대한 배지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미세조류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BG-11, TAP, BBM 배지를 사용하여 바이오매스 생산성은 TAP 배지에서, 지방산 축적은 BBM 배지에서 가장 잘 일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지방산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암모니아와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TAP 배지의 조성을 변화하여 BBM 배지처럼 지방산 축적을 유도하며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증가시킨 MTAP 배지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낙동강 수계에서 처음으로 채집, 분리된 Parachlorella sp. 종의 지방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배양기술을 개발을 위해 여러 배양 인자 중, 배지 조성에 따른 지방산 생산성을 연구하였다. 미세조류 배양에 있어 배양 중간에 세포를 수확한 뒤 질소가 결핍된 배지로 새로 교체하는 2단계 배양 방식으로 영양소 결핍 조건을 줄 수 있지만 이는 에너지와 비용이 많이 들어 대량 배양에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대량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회분식 배양(batch cultivation)을 통해 바이오매스와 지방산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ark H, Lee CG. 2016. Theoretical calculations on the feasibility of microalgal biofuels: utilization of marine resources could help realizing the potential of microalgae. Biotechnol. J. 11: 1461-1470. 

  2. Kang Z, Kim BH, Oh HM, Kim HS. 2013. Production of biodiesel and nutrient removal of municipal wastewater using a small scale raceway pond. Microbiol. Biotechnol. Lett. 41: 207-214. 

  3. Kassim MA, Rashid MA, Halim R. 2017. Towards biorefinery production of microalgal biofuels and bioproducts: Production of acetic acid from the fermentation of Chlorella sp. and Tetraselmis suecica hydrolysates. Green Sust. Chem. 7: 152-171. 

  4. Joe MH, Kim DH, Choi DS, Bai S. 2018. Optimization of phototrophic growth and lipid production of a newly isolated microalga, Desmodesmus sp. KAERI-NJ5. Microbiol. Biotechnol. Lett. 46: 377-389. 

  5. Mahdieh M, Shabani S, Amirjani M. 2019. Characterization of the growth, total lipid and fatty acid profiles in microalga, Nannochloropsis oceanica under different nitrogen sources. Microbiol. Biotechnol. Lett. 46: 11-19. 

  6. Park H, Hoh D, Shin DW, Kim ZH, Hong SJ, Lim SM, et al. 2019.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ve isolates of Tetraselmis sp. with rapid growth rates in low temperatures. J. Mar. Biosci. Biotechnol. 11: 23-28. 

  7. Baer S, Heining M, Schwerna P, Buchholz R, Hubner H. 2016. Optimization of spectral light quality for growth and product formation in different microalgae using a continuous photobioreactor. Algal Res. 14: 109-115. 

  8. Shin DW, Bae JH, Cho Y, Ryu YJ, Kim ZH, Lim SM, et al. 2016. Isolation of new microalga, Tetraselmis sp. KCTC12236BP, and biodiesel production using its biomass. J. Mar. Biosci. Biotechnol. 8: 39-44. 

  9. Hong SJ, Park YS, Han MA, Kim ZH, Cho BK, Lee H, et al. 2017. Enhanced production of fatty acids in three strains of microalgae using a combination of nitrogen starvation and chemical inhibitors of carbohydrate synthesis. Biotechnol. Bioprocess Eng. 22: 60-67. 

  10. Recht L, Zarka A, Boussiba S. 2012. Patterns of carbohydrate and fatty acid changes under nitrogen starvation in the microalgae Haematococcus pluvialis and Nannochloropsis sp. App. Microbiol. Biotechnol. 94: 1495-1503. 

  11. Kim DK, Hong SJ, Bae JH, Yim N, Jin E, Lee CG. 2011. Transcriptomic analysis of Haematococcus lacustris during astaxanthin accumulation under high irradiance and nutrient starvation. Biotechnol. Bioprocess Eng. 16: 698. 

  12. Park S, Lee Y, Jin E. 2013. Comparison of the responses of two Dunaliella strains, Dunaliella salina CCAP 19/18 and Dunaliella bardawil to light intensity with special emphasis on carotenogenesis. Algae 28: 203-211. 

  13. Lamers PP, Janssen M, De Vos RC, Bino RJ, Wijffels RH. 2012. Carotenoid and fatty acid metabolism in nitrogen-starved Dunaliella salina, a unicellular green microalga. J. Biotechnol. 162: 21-27. 

  14. Li X, Pribyl P, Bisova K, Kawano S, Cepak V, Zachleder V, Cizkova M, et al. 2013. The microalga Parachlorella kessleri--A novel highly efficient lipid producer. Biotechnol. Bioeng. 110: 97-107. 

  15. Heo J, Cho DH, Ramanan R, Oh HM, Kim HS. 2015. PhotoBiobox: A tablet sized, low-cost, high throughput photobioreactor for microalgal screening and culture optimization for growth, lipid content and $CO_2$ sequestration. Biochem. Eng. J. 103: 193-197. 

  16. Lee SH, Ahn CY, Jo BH, Lee SA, Park JY, An KG, et al. 2013. Increased microalgae growth and nutrient removal using balanced N: P ratio in wastewater. J. Microbiol. Biotechnol. 23: 92-98. 

  17. Karapinar Kapdan I, Aslan S. 2008. Application of the Stover-Kincannon kinetic model to nitrogen removal by Chlorella vulgaris in a continuously operated immobilized photobioreactor system. J. Chem. Technol. Biot. 83: 998-1005. 

  18. Mandalam RK, Palsson B. 1998. Elemental balancing of biomass and medium composition enhances growth capacity in high-density Chlorella vulgaris cultures. Biotechnol. Bioeng. 59: 605-611. 

  19. Zhu S, Huang W, Xu J, Wang Z, Xu J, Yuan Z. 2014. Metabolic changes of starch and lipid triggered by nitrogen starvation in the microalga Chlorella zofingiensis. Bioresour. Technol. 152: 292-298. 

  20. Lee HS, Kim ZH, Park H, Lee CG. 2016. Specific light uptake rates can enhance astaxanthin productivity in Haematococcus lacustris. Bioprocess Biosyst. Eng. 39: 815-823. 

  21. Sanz-Luque E, Chamizo-Ampudia A, Llamas A, Galvan A, Fernandez E. 2015. Understanding nitrate assimilation and its regulation in microalgae. Front. Plant Sci. 6: 899. 

  22. Chalima A, Oliver L, Fernandez de Castro L, Karnaouri A, Dietrich T, Topakas E. 2017. Utilization of volatile fatty acids from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high added value compounds. Fermentation 3: 54. 

  23. Bourre J. 2005. Where to find omega-3 fatty acids and how feeding animals with diet enriched in omega-3 fatty acids to increase nutritional value of derived products for human: what is actually useful. J. Nutr. Health. Aging 9: 232-242. 

  24. Simopoulos AP. 2003. Importance of the ratio of omega-6/omega-3 essential fatty acids: evolutionary aspects. pp. 1-22. Omega-6/omega-3 essential fatty acid ratio: The scientific evidence. Karger Publishers, City. 

  25. Ponnampalam E, Mann N, Sinclair A. 2006. Effect of feeding systems on omega-3 fatty acids,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trans fatty acids in Australian beef cuts: potential impact on humnan health. Asia Pac. J. Clin. Nutr. 15: 21-29. 

  26. Sayanova O, Mimouni V, Ulmann L, Morant-Manceau A, Pasquet V, Schoefs B, et al. 2017. Modulation of lipid biosynthesis by stress in diatoms. Philos. Trans. R. Soc. B. Biol. Sci. 372: 20160407. 

  27. Pereira SL, Leonard AE, Mukerji P. 2003. Recent advances in the study of fatty acid desaturases from animals and lower eukaryotes. Prostaglandins Leukot. Essent. Fatty Acids 68: 97-106. 

  28. Sasaki M, Takagi A, Ota S, Kawano S, Sasaki D, Asayama M. 2020. Coproduction of lipids and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from the novel green alga Parachlorella sp. BX1. 5 depending on cultivation conditions. Biotechnol. Rept. 25: e00392. 

  29. Taleb A, Legrand J, Takache H, Taha S, Pruvost J. 2018. Investigation of lipid production by nitrogen-starved Parachlorella kessleri under continuous illumination and day/night cycles for biodiesel application. J. Appl. Phycol. 30: 761-7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