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영상과 민간자동관측시스템 자료를 활용한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공간 분포 특성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Heat and Pollution Islands using Remote Sensing and Private Automated Meteorological Observation System Data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3, 2020년, pp.100 - 119  

황희수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강정은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온도상승으로 인한 폭염 증가와 대기 풍속의 약화가 상호작용하면서 열환경과 미세먼지(PM10)가 문제가 되고 있다. 도시지역 내에서 다른 지역들보다 온도와 대기오염 농도가 높은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 공간데이터로 구축 가능한 미세 자료의 부족 등으로 이를 함께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았다. 최근 위성영상과 민간통신업체의 인프라에서 측정한 빅데이터들이 생산되면서 온도와 대기오염에 대한 세밀한 공간분포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살펴보고 두 현상의 분포 특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Landsat 8 위성영상의 지표면온도와 민간자동관측시스템에서 도출된 대기온도, 미세먼지농도 데이터를 30m*30m 단위로 격자화하여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이 동시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지역들로 취약 주거지역과 공업지역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부산시의 대표적 주거 취약지역으로 알려진 서동, 반송동 등의 주요 정책이주지가 포함되었는데 해당 지역은 소규모 필지에 건축물의 밀도가 상당히 높은 지역으로 통풍, 환기 등에 문제가 많은 주거지역이다. 이러한 지역의 주민 중 상당수는 폭염과 대기오염에 대한 대응 능력이 낮아 관련 정책 수립 시 우선적으로 이 지역들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동시발생지역에 포함된 공업지역들은 콘크리트나아스콘 기반의 불투수면의 비중이 높고, 식생이 부족할 뿐 아니라 교통량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 분석에 대한 신뢰성을 살펴보기 위해 핫스팟분석을 진행한 결과, 99.96% 이상의 지역이 99% 신뢰수준의 핫스팟지역에 해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ring recent years, the heat environment and particulate matter (PM10) have becom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s increases in heat waves due to rising global temperature interact with weakening atmospheric wind speeds. There exist urban heat islands and urban pollution islands with higher temp...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함께 이슈가 되고 있는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위성영상, 민간자동기상관측시스템 자료를 사용하여 검토하고, 두 현상의 공간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도시열섬을 측정하기 위한 자료로 대기온도와 지표면 온도를 모두 사용하여 이들의 공간적 분포도 함께 비교하고자 하며, 도시오염섬은 앞서 언급했듯이 최근 대기오염물질 가운데 가장 크게 주목받고 있는 미세먼지(PM10)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이 함께 나타나는 지역들을 살펴보기 위해 세 변수에 대한 핫스팟분석을 진행하고 99% 신뢰수준의 핫스팟 지역을 중첩하여 살펴보았다. 세 변수 모두 핫스팟에 해당하는 지역은 북구와 영도구를 제외하고 14개 구·군에서 나타났으며, 해당 지역의 면적은 금정구(10.
  • 본 연구는 도시열섬과 함께 새롭게 떠오르는 연구주제인 도시오염섬의 유무와 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러나 연구의 내용중 한계점도 존재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 통신업체(KT)의 인프라에서 측정한 대기온도와 미세먼지(PM10)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민간통신업체가 부산시에 설치·운영하는 자동기상관측지점 234곳에서 한 시간 단위로 수집하는 대기온도와 미세먼지(PM10) 데이터 중 관측기기의 오류, 데이터 송수신 오류, 점검 등의 이유로 연속적인 결측치가 존재하여 대치되지 않는 지점을 제외하고 총 216개소의 기상관측지점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 (2019) 등도 지표면온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열섬을 측정하기 위한 데이터로 대기온도와 지표면온도를 모두 사용하여 이들의 공간적 분포도 함께 비교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기후변화와 함께 이슈가 되고 있는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위성영상, 민간자동기상관측시스템 자료를 사용하여 검토하고, 두 현상의 공간적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도시열섬을 측정하기 위한 자료로 대기온도와 지표면 온도를 모두 사용하여 이들의 공간적 분포도 함께 비교하고자 하며, 도시오염섬은 앞서 언급했듯이 최근 대기오염물질 가운데 가장 크게 주목받고 있는 미세먼지(PM10)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한다.
  • , 2019). 이에 본 연구는 부산시를 대상으로 열환경과 대기환경이 열악한 지역인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지역의 도시열섬 현상을 악화시키는 요인은?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상승은 도시지역의 도시열섬(UHI, Urban Heat Island) 현상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도시화를 이루었고, 전 국토의 16.
도시열섬은 어떤 현상인가? 도시열섬은 주변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기온이 높은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그 모양이 마치 섬과 비슷한 형태를 형성하며 중심 부분의 온도가 집중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한다(Jang and Kim, 1991; Lai and Cheng, 2009). 주변 농촌 지역보다 2℃ 이상 높은 도시지역을 도시열섬으로 정의하는 연구(Kim and Baik, 2005; Fahmy and Sharples, 2009; Kim et al.
도시지역의 도시열섬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따라서 도시지역은 법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고밀의 개발을 추구하여 고층 건축물 위주로 사업들이 진행되었다. 고밀의 고층 건축물에서 배출되는 인공배열은 지역의 대기를 가열하고, 온실가스는 대기에 체류하면서 인공배열과 함께 태양에서 들어온 복사에 너지 중 반사되는 복사에너지를 대기 중에 가두어 지역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등 기온상승과 도시열섬을 유발한다(Kim and Kang, 2018; Lee and Kang,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n, S.M., Kim, S.J. and Lee, H.C. 2016. A study on the urban area microclimate management direc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p.1-105. 

  2. Bae, H.J. 2014.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_{10}$ and $PM_{2.5}$ on mortality in Seoul. Journal or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0(5):346-354. 

  3. Cho, S.H., Kim, H.W., Han Y.J. and Kim W.J. 2016.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s measured in two different functional areas and identification of factors enhancing their concentra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2(1):100-113. 

  4. Crutzen, P.J. 2004. New directions: the growing urban heat and pollution"island" effect-impact on chemistry and climate. Atmospheric Environment 38(21):3539-3540. 

  5. Fahmy, M. and Sharples, S. 2009. On the development of an urban passive thermal comfort system in Cairo, Egypt. Building and Environment 44(9):1907-1916. 

  6. Feizizadeh, B. and Blaschke, T. 2013. Examining urban heat island relations to land use and air pollution: multiple endmember spectral mixture analysis for thermal remote sensing.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6(3):1749-1756. 

  7. Han, J.S., Lee, S.M., Chung, Y.M., Park, M.C. and Kim, S.H. 2019. Research on the reduction of PM and GHG from ground freight transportatio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1-216. 

  8. Hardin, A.W., Liu, Y., Cao, G. and Vanos, J.K. 2018.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nd spatial variability by synoptic weather type in the northeast U.S.. Urban Climate 24:747-762. 

  9. He, G.-X., Yu, C.W.F., Lu, C. and Deng, Q.-H. 2013. The influence of synoptic pattern and atmospheric boundary layer on PM10 and urban heat island.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22(5):796-807. 

  10. Hoffmann, P., Krueger, O. and Schlunzen, K.H. 2012. A statistical model for the urban heat island and its application to a climate change scenario.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2:1238-1248. 

  11. Honjo, T. 2019.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movement and intensity in Tokyo metropolitan area by AMeDAS data.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75(2):84-91. 

  12. Huang, Q., Huang, J., Yang, X., Fang, C. and Liang, Y. 2019. Quantifying the seasonal contribution of coupling urban land use types on urban heat island using land contribution index: a case study in Wuhan, China.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44:666-675. 

  13. Hwang, K.S., Lee, S.A., Kim, H.J. and Kim, J.L. 2015. Analysis of sex, age and seasonal mortality according to diurnal temperature range(DTR).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9(1):30-37. 

  14. Hwang, S.Y., Moon, J.Y. and Kim, J.J. 2019.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fine dust and traffic in Seoul using 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9(4):139-149. 

  15. Jang, A.S. 2014.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on health.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7(9):763-768. 

  16. Jang, Y.K. and Kim, J.W. 1991. A study on the relation of urban heat island and air pollution in Seoul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7(1):49-53. 

  17. Je, M.H. and Jung, S.H. 2018.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nalysis by landuse typ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11):1-12. 

  18. Jo, S.K. and Park, H.Y. 2013.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in the housing complex of the political migration through the'Power Theory'based on the Banyeo 1 district in the city of Busa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2):73-82. 

  19. Khamis, N., Sin, T.C. and Hock, G.C. 2018. Segmentation of residential customer load profile in peninsular Malaysia using jenks natural breaks. 2018 IEE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ower and Energy(PECon). Kuala Lumpur, Malaysia, Malaysia, Dec. 3-4, 2018. pp.128-131. 

  20. Kim, H.S., Jang, E.S., Kim, S.H., Yoo, J.H. and Lee, S.W. 2011. A study on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methods based on ROC-curve using the personality score. Korea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17(2):107-113. 

  21. Kim, J.H. and Yoon, Y.H. 2011.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 by green roof and land cover change in detached housing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0(1):27-47. 

  22. Kim, J.S. and Kang, J.E. 2018. Effects of compact spatial characteristics on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9(1):21-36. 

  23. Kim, J.S. and Kim, H.Y. 2020.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t wave vulnerable areas using landsat 8 data and vulnerability assessm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3(1):1-14. 

  24. Kim, O.J., Kim, S.Y., Kwon, H.Y. and Kim, H. 2017. Data issues suggestion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sample cohort for assessing the long-term health effects of air pollution focusing on mortality.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2(1):89-99. 

  25. Kim, W.S. 2016. Policy options to manage high-pollution on-road diesel vehicles based on excessive emission grades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pp.1-27. 

  26. Kim, Y.H. and Baik, J.J. 2005.Spatial and temporal structure of the urban heat island in Seoul.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4(5):591-605. 

  27. Kim, Y.J., Kang, D.H. and Ahn, K.H. 2011.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island phenomena caused by climate changes in Seoul, and alternative urban design approaches for their improvement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2(3):5-14. 

  28. Kim, Y.K. 2017. An analysis of traffic flows and land-use on urban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24(2):67-81. 

  29. Kwon, Y.M., Byun, J.H. and Kang, N.W. 2019. A study on the alternative selection of eco-friendly modification techniques for small diesel truc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7(2):135-147. 

  30. Kyunghyang Shinmun. 2018. Port city Busan air pollution is more serious than Seoul an d Daegu.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08272055015(Accessed July 2020). 

  31. Lai, L.-W. and Cheng, W.-L. 2009. Air quality influenced by urban heat island coupled with synoptic weather pattern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07:2724-2733. 

  32. Lee, C.Y., Kim, S.M. and Choi, Y.S. 2019. Application of hot spot analysis for interpreting soil heavy-metal concentration data in abandoned min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2(2):24-35. 

  33. Lee, J.H., Ryu, J.E., Choi, Y.Y., Chung, H.I., Jeon, S.W., Lim, J.H. and Choi, H.S. 2019. Spatial estimation of forest species diversity index by applying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 based on 1st forest health management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2(4):1-14. 

  34. Lee, K.I., Ryu, J.E., Jeon, S.W., Jung, H.C. and Kang, J.Y. 2017. Analysis of the effect of heat island o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in Seoul using LANDSAT image.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5_3):821-834. 

  35. Lee, S.H. and Kang, J.E. 2019. Risk assessment of heavy snowfall considering climate change: focusing on damage to roads and buildings. Journal or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9(2):57-68. 

  36. Lee, S.H., Kang, J.E., Park, C.S., Yoon, D.K. and Yoon, S.Y. 2020. Multi-risk assessment of heat waves under intensifying climate change using Bayesian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Disaster Risk Reduction 50:101704. 

  37. Li, H., Meier, F., Lee, X., Chakraborty, T., Liu, J., Schaap, M. and Sodoudi, S. 2018. Interaction between urban heat island and urban pollution island during summer in Berli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36:818-828. 

  38. Li, H., Zhou, Y., Wang, X., Zhou, X., Zhang, H. and Sodoudi, S. 2019. Quantifying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nd its physical mechanism using WRF/UCM.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50:3110-3119. 

  39. Miles, V. and Esau, I. 2017. Season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s(UHIs) in northern west siberian cities. Remote Sensing 9(10):989. 

  40. Myeong, S.J. 2009. A study on strategies to mitigate urban heat island effects as par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pp.1-32. 

  41. Nam Goung, S.J., Choi, K.Y., Hong, H.J., Yoon, D.K., Kim, Y.S., Park, S.H., Kim, Y.K. and Lee, C.M. 2019. Study on th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a spatial analysis model appropriate for selecting the radon priority management target area. J Environ Health Sci 45(1):82-96. 

  42. Park, C.Y., Lee, D.K., Sung, S.Y., Park, J.H. and Jeong, S.G. 2016. Analyzing the diurnal and spatial variation of surfac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distribution - focused on 30 c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1(1):125-136. 

  43. Plocoste, T., Jacoby-Koaly, S., Molinie, J. and Petit, R.H. 2014. Evidence of the effect of an urban heat island on air quality near a landfill. Urban Climate 10:745-757. 

  44. Ryu, Y.H., Baik, J.J. and Lee, S.H. 2013. Effects of anthropogenic heat on ozone air quality in a megacity. Atmospheric Environment 80:20-30. 

  45. Shirani-bidabadi, N., Nasrabadi, T., Faryadi, S., Larijani A. and Shadman Roodposhti, M. 2019. Evalu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the intensity of urban heat island using remote sensing, Case study of Isfahan city in Iran.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45:686-692. 

  46. Steeneveld, G.-J., Klompmaker, J.O., Groen, R.J.A. and Holtslag, A.A.M. 2018. An urban climate assessment and management tool for combined heat and air quality judgements at neighbourhood scales.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132:204-217. 

  47. Suh, M.S., Hong, S.K. and Kang, J.H. 2009. Characteristics of seasonal mean diurnal temperature range and their causes over South Korea. Atmosphere 19(2):155-168. 

  48. Swamy, G., Shiva Nagendra, S.M. and Schlink, U. 2017. Urban heat island(UHI) influence on secondary pollutant formation in a tropical humid environment.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67(10):1080-1091. 

  49. Taha, H. 2017. Characterization of urban heat and exacerbation: development of a heat island index for California. Climate 5(3):59. 

  50. Woo, K.S., Kim, D.E. and Chae, S.M. 2019. High temperature-related mortality in Korea: a meta-analysis of the empirical evidence.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9(2):10-36. 

  51. Yi, C.Y., Kim, K.R., An, S.M. and Choi, Y.J. 2014. Impact of the local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heat island to suburban areas on the night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1): 35-49. 

  52. Yim, J.S. and Lee, G.H. 2017. Estimating urban temperature by combining remote sensing data and terrain based spatial interpola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7(2):75-88. 

  53. Yoshikado, H. and Tsuchida, M. 1996. High levels of winter air pollu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urban heat island along the shore of Tokyo bay.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5(10):1804-18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