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7 no.2, 2020년, pp.80 - 87
이동건 (신세계요양병원)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se of an alternative input device on the patient's work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who cannot use computers. Design: Case Series Description. Methods: The participant was one adult cerebral ...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김경양. 중도. 중복 장애학생 및 성인을 위한 사용자 맞춤 AAC 화상 키보드 개발 및 적용.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019;20(5):917-925.
김석일, 장문석.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평가도구의 설계. 보조공학저널 2010;4(2):17-34.
박찬웅. CAI 지도방법에 따른 정신지체아의 컴퓨터 키보드 입력기술 습득 효과. 특수교육학회지 1997;18(3):195-212.
신용흠, 이근민. 중증 뇌성마비인을 위한 하이테크 컴퓨터접근.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08;105-108.
정동훈. 컴퓨터 접근성 평가 프로그램 (CAP) 을 통한 화상 키보드 사용 중재가 뇌성마비학생의 쓰기 속도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2016;9:143-159.
정동훈. 천지인 방식 대체 키보드를 사용한 뇌성마비 아동의 문자입력 속도 및 정확도 비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2011;50(2):63-82.
Beukelman D, Mirenda P.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anagement of severe communication disorders in children and adults. Baltimore: Paul H. Brooks publishing Co; 2005.
Brodwin MG, Cardoso E, Star T. Computer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ho have disabilities: computer adaptation and modifications. J Rehabil 2004;70(3):28-33.
Carpenter L, Baker GA, Tyldesley B. The use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s an outcome of a pain management program. Can J Occup Ther 2001;68(1):16-22.
Christiansen C, Baum CM, Bass-Haugen J, et al. Occupational therapy: Performance, participation, and well-being. 3Eds. Slack Incorporated; 2005.
Cook AM. Hussey SM. Assistive technologies: Principle and practice. 2nd ed. St. Louis, MO: Mosby; 2002.
Cup EH, Scholte op Reimer WJ, Thijssen MC,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in stroke patients. Clin Rehabil 2003;17(4):402-9.
Hanna SE, Rosenbaum PL, Bartlett DJ, et al. Stability and decline in gross motor function among children and youth with cerebral palsy aged 2 to 21 years. Dev Med Child Neurol 2009;51(4):295-302.
Lee CY, Kim EJ, Noh DH, et al. A surve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satisfaction in assistive technology of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ies. J Korean Soc Comm Occup Ther 2013;3(1):21-31.
Park JE, Park ES, Kim HH. A study of acoustic characteristics of vowels in preschool cerebral palsy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Comm Sci Disord 2004;9(2):116-128.
Rosenbaum P, Paneth N, Leviton A, et al. A repor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7;49(6):480.
Szanton SL, Thorpe RJ, Boyd C, et al. Community aging in place, advancing better living for elders: a bio-behavioral-environmental intervention to improve func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sabled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2011;59(12):2314-20.
Wressle E, Eeg-Olofsson AM, Marcusson J, et al. Improved client participation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using a client-centred goal formulation structure. J Rehabil Med 2002;34(1):5-1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