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위한 아시아 국가별 물 안보 평가
Water security assessment of Asian countries for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9 suppl., 2020년, pp.719 - 730  

박서연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승호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  이현주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주헌 (중부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가 물 부족, 수질오염, 수재해, 물환경 생태계 파괴 등과 같은 물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존 물 문제에 대한 현실 인식을 기반으로 현재까지의 물 안보 논의를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물 안보에 대한 체계적인 정의를 내리고자 하였다. 또한, 각국의 물 안보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물 안보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여 사회적 형평성, 경제적 효율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수재해 회복 탄력성 등 4개 핵심 분야(core area)에서 물 안보 상황을 평가하였다. 대상으로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28개국을 선정하여 4개 핵심 분야에서 각국의 물 안보를 평가하였고 한국은 일본, 말레이시아와 함께 물 안보 상황이 좋은 상위군에 속하였고 인도, 파키스탄, 필리핀 등은 물 안보 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제시한 물 안보 정의와 평가 프레임워크는 각국의 물 안보 현황 인식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향후 물 안보 향상을 위해 중점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부분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ognizing a complexity of global water challenges, such as water shortage, water pollution, water-related disasters, and degradation of water environments, this study introduces the newly established concept and definition of water security and water security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the rev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물 안보 평가를 위한 세부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지표의 명확성, 독립성, 자료취득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국가 물 안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형평성·경제적 효율성·수재해 회복 탄력성·환경적 지속가능성 등 4개 핵심 분야의 특징을 반영하는 14개의 하위 지표를 선정하였다. 분석의 공간적 범위로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28개 국가를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한국의 물 안보 현황 분석과 더불어 기타 아시아 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물 안보 현재를 확인하고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물 안보 현황 분석을 통하여 물 안보 취약분야를 파악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고려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국가선정은 Worldometers.
  • 이처럼 각 개인, 지역사회, 국가 및 전 세계가 여러 형태의 물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존 물 문제에 대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물 안보 개념의 정립, 물 안보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시함으로써 물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시아 28개 국가의 물 안보 현황을 사회적 형평성, 경제적 효율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수재해 회복 탄력성 등 4개 핵심 분야 기반으로 평가하여 국가별 물 안보 현황,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물 안보 개념의 가치와 평가 프레임워크의 유용성을 검증하고 향후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 그런데 전통적 안보 측면에서 물 안보를 바라본다면 미국의 국가정보위원회(National Intelligence Council)의 시각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여기서는 물 안보와 불안정한 물 안보(Water Insecurity)를 국가안보 문제로 바라보면서 물로 인한 다양한 문제, 즉 물의 무기화, 수질오염 혹은 댐과 같은 시설물 파괴 관련 테러 등을 언급하며 미국이 물 안보의 불안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 농산물 수출을 증대함으로써 물을 협력 매개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물 안보의 불안은 국가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하였다 (NIC, 2012).
  • 이처럼 각 개인, 지역사회, 국가 및 전 세계가 여러 형태의 물 문제에 직면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기존 물 문제에 대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물 안보 개념의 정립, 물 안보 평가 프레임워크를 제시함으로써 물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시아 28개 국가의 물 안보 현황을 사회적 형평성, 경제적 효율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수재해 회복 탄력성 등 4개 핵심 분야 기반으로 평가하여 국가별 물 안보 현황,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네스코 국제수문계획의 2012년 보고서에 정의된 '물 안보'는 무엇인가? 유네스코 국제수문계획은 2012년 보고서에서 물 안보란 한 사회가 수질오염과 물 관련 재해에 대한 안전, 평화와 정치적 안정 속에서 생태계 보전, 인간 생활의 질 개선과 사회경제 발전을 위하여 적절한 양과 질의 물을 확보하고 지속가능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이 정의는 물 관련 유엔기구들의 물 안보 확보를 위한 다양한 유엔기구들의 집합적 노력의 결정체이다(UNESCO, 2012).
물 안보 위협의 대표적인 예로 어떤 경우를 들 수 있는가? 예를 들면, 깨끗한 물 접근성 부족, 위생 시설 및 서비스 낙후, 가뭄, 홍수, 물환경 생태계 파괴 등을 꼽을 수 있다. 전 세계 인구의 80% 정도가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문제로 인해 물 안보 위협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노출되어있는 상황이다.
아시아개발은행이 제안하는 5가지 물 안보 확보 중점분야는 무엇인가? 아시아개발은행은 2013년과 2016년 아시아 수자원 개발 전망보고서를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의 물 안보를 다섯 분야에 걸쳐 평가하고 문제점을 확인하여 향후 개선 방안에 대해 정책 제안을 하고 있다. 다섯 개의 물 안보 확보 중점분야는 첫째, 가정 물 안보 확보로 기본적인 물과 위생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연관이 있고 둘째, 경제 물 안보는 농업, 산업, 에너지 물 안보를 포함하는 전체 경제에 미치는 물 관련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과 사업을 지칭한다. 셋째 분야는 도시 물 안보 확보로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도시화가 초래한 공공서비스 문제 중 물 공급, 수질오염 저감, 홍수와 가뭄 피해 예방과 관리, 도시생태계 회복 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넷째, 환경 물 안보는 하천 건전성 확보, 수문학적 변화 대응과 환경 거버넌스 수립과 운영에 중점을 두고 다섯째, 물 관련 재해 회복 탄력성은 홍수, 가뭄 등 수재해 예방, 대응과 복구 관련 정책, 계획, 재원조달 등에 대한 역량 강화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ADB, 2013;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sian Development Bank (ADB) (2013). "Asian water development outlook 2013." Asian Development Bank, Manila, Philippines. 

  2. Asian Development Bank (ADB) (2016). "Asian water development outlook 2016: Strengthening water security in Asia and the Pacific." Asian Development Bank, Manila, Philippines. 

  3. Aboelnga, H.T., Ribbe, L., Frechen, F.B., and Saghir, J. (2019). "Urban water security: Definition and assessment framework." Resources, Vol. 8, No. 4, p. 178. 

  4. AQUASTAT (2020). United Nations (UN), accessed 2 June 2020, . 

  5. Babel, M., and Shinde, V.R. (2018). "A framework for water security assessment at basin scale." APN Science Bulletin, Vol. 8, No. 1, pp. 27-32. 

  6. Beek, E., and Arriens, W. (2014). Water security: Putting the concept into practice. Global Water Partnership Technical Committee (TEC) Background Papers No. 20. 

  7.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9). United Nations (UN), accessed 27 November 2019, . 

  8. Gain, A.K., Giupponi, C., and Wada, Y. (2016). "Measuring global water security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Vol. 11, No. 12, p. 124015. 

  9. Gain, A.K., Mojtahed, V., Biscaro, C., Balbi, S., and Giupponi, C. (2015). "An integrated approach of flood risk assessment in the eastern part of Dhaka City." Natural Hazards, Vol. 79, No. 3, pp. 1499-1530. 

  10. International Commission On Large Dams (ICOLD) (2019). France, accessed 27 November 2019, . 

  11. INDEX MUNDI (2019). accessed 27 November 2019, . 

  12. Jensen, O., and Wu, H. (2018). "Urban water security indicators: Development and pilot."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Vol. 83, pp. 33-45. 

  13. Jimenez-Cisneros, B. (2015). "Responding to the challenges of water security: The eighth phase of the international hydrological programme." 2014-2021. Hydrological Sciences and Water Security: Past, Present and Future. Proceedings of the 11th Kovacs Colloquium, Paris, France, June 2014, 10-19. 

  14. Joint Monitoring Programme (JMP) (2019). WHO and UNICEF , accessed 27 November 2019, . 

  15. Lautze, J., and Manthrithilake, H. (2012). "Water security: Old concepts, new package, what value?." Natural Resources Forum, Oxford, UK: Blackwell Publishing Ltd, Vol. 36, No.2, pp.76-87. 

  16. Mason, N., and Calow, R. (2012) Water security: From abstract concept to meaningful metrics. An initial overview of options. Overseas Development Institute (ODI) Working Paper 357. London, U.K. 

  17.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 (NIC) (2012) Global water security-intelligence community assessment. Office of the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Washington D.C., U.S. 

  18.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2019). USA, accessed 27 November 2019, . 

  19.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9). accessed 27 November 2019, . 

  20. Our World in Data (2020). University of Oxford, accessed 3 March 2020, . 

  21. RIVERS IN CRISIS (2019). accessed 27 November 2019, . 

  22. Romero-Lankao, P., and Gnatz, D.M. (2016). "Conceptualizing urban water security in an urbanizing world." Current Opinion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Vol. 21, pp. 45-51. 

  23. Shao, D., Yang, F., Xiao, C., and Tan, X. (2012). "Evaluation of water security: An integrated approach applied in Wuhan urban agglomeration, China."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66, No. 1, pp. 79-87. 

  24.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2012). Water security: Responses to local, regional, and global challenges. UNESCO's International Hydrological Programme, Paris, France. 

  25. United Nations-Water (UN-Water) (2012). Managing water under uncertainty and risk.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12, Paris, France, pp. 62-64. 

  26. United Nations-Water (UN-Water) (2018). Nature-based solutions for water. World Water Development Report 2018, Paris, France, pp. 21-36. 

  27. Varis, O., Keskinen, M., and Kummu, M. (2017). "Four dimensions of water security with a case of the indirect role of water in global food security." Water Security, Vol. 1, pp. 36-45. 

  28. Vorosmarty, C.J., McIntyre, P.B., Gessner, M.O., Dudgeon, D., Prusevich, A., Green, P., and Davies, P.M. (2010). "Rivers in crisis: Global water insecurity for humans and biodiversity." Nature, Vol. 467, No. 7315, pp. 555-561. 

  29. World Bank (2020). accessed 3 March 2020, . 

  30. World Economic Forum (WEF) (2015). "Global Risks 2015 (10th Edition)." World Economic Forum, Geneva, Swiss. 

  31. Worldometers.info (2020). USA, accessed 24 February 2020,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