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자원시설물의 유지관리 체계 선진화를 위한 입법 및 정책과제
Legislative and policy issues related to the advancement of the maintenance system of water resource faciliti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9 suppl., 2020년, pp.773 - 784  

이기하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건설방재공학과) ,  연민호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 건설방재공학과) ,  이대업 (경북대학교 재난대응전략연구소) ,  김성원 (경북대학교 재난대응전략연구소) ,  김진수 (국회입법조사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시설물의 노후화 정도와 관리현황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수자원시설물의 유지관리 체계 선진화를 위한 입법 및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수자원시설물의 노후화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운영하는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시설물별, 종별, 시도별, 등급별로 구축된 안전등급 자료를 이용하여 위험시설물 비율과 고령화율을 산정하여 수자원시설물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자원시설 관련 지침 및 매뉴얼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1) 수자원시설물 범위의 재조정 및 지침·매뉴얼의 보완, 2) 재해여건 변화를 고려한 유지관리 체계의 구축, 3) 시설물통합정보시스템의 개선 및 표준연계서비스 활성화, 4) 시설물의 자산관리체계 구축의 네 가지 입법 및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legislative and policy issues related to advancing the maintenance system of water resource facilities were presented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degree of aging and management status of water resource facilities. Data from the comprehensive 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 ope...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은 시설물의 적절한 성능확보 및 안전조치를 취하여 재해 및 재난을 사전에 예방하고, 시설물의 효용성을 증진시켜 유지관리를 체계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안전점검·진단 편과 성능평가 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안전점검·진단 편은 총 15개의 시설물, 성능평가 편은 총 11개의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의 점검유형별(정기·긴급안전점검, 정밀안전점검·진단, 성능평가) 대상 시설, 실시 시기 및 범위, 중대한 결함에 대한 정의, 시설물 점검사항, 조사항목 및 현장조사 요령, 재료시험 항목 및 수량, 상태평가와 안전성능평가 기준 및 방법, 안전성 평가 및 안전성능 평가 기준 및 방법, 내구성능 평가 기준 및 방법, 사용성능 평가 기준 및 방법, 종합평가 기준 및 방법, 보수·보강 방법 등을 제시하고 있다.
  • 수자원시설물의 노후화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운영하는 시설물정보관리종합시스템의 시설물별 정보를 조사하였다. 수자원시설물은 1995년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현재까지 25년간 약 3배 증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대상 수자원시설물의 노후화 정도와 관리 현황 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수자원시설물의 유지관리 체계 선진화를 위한 입법 및 정책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수자원시설물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로 제시한 사항은? 시설물별, 종별, 시도별, 등급별로 구축된 안전등급 자료를 이용하여 위험시설물 비율과 고령화율을 산정하여 수자원시설물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자원시설 관련 지침 및 매뉴얼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1) 수자원시설물 범위의 재조정 및 지침·매뉴얼의 보완, 2) 재해여건 변화를 고려한 유지관리 체계의 구축, 3) 시설물통합정보시스템의 개선 및 표준연계서비스 활성화, 4) 시설물의 자산관리체계 구축의 네 가지 입법 및 정책과제를 제시하였다.
시설물통합정보관리체계 구축한 이유는? 시설물안전법 제55조, 같은 법 시행령 제35조 및 시행규칙 제33조에서는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시설물통합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운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현재 시설물통합정보관리체계는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 운영하는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FMS에서는 국가 주요 시설물의 준공연도, 안전 점검 및 유지관리 실적, 시설물 관련 기업 및 기술 정보 등의 다양한 자료가 수집・관리되고 있다.
시설물통합정보관리시스템에서는 수자원시설물의 안정급에 대한 정보가 어떤 식으로 제공되고 있나? FMS 상에는 수자원시설물의 안전등급에 대한 정보가 시설물안전법 시행령에 따라 A(우수), B(양호), C(보통), D(미흡), E(불량) 5단계로 구분되어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D 등급은 주요부재에 결함이 발생하여 긴급한 보수・보강이 필요하며 사용제한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는 상태, E 등급은 주요부재에 발생한 심각한 결함으로 인하여 시설의 안전에 위험이 있어 즉각 사용을 금지하고 보강 또는 개축을 하여야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Facility Management System (FMS) (2019). Facility management system: Database of type 1.2 water resource facilities in Korea, accessed 30 May 2019, . 

  2. Hyundai Research Institute (HRI) (2013). Weekly economic review. Vol. 536. No. 13-19. 

  3. Jung, I.W., and Choi, H.S. (2019). "The present and future of water resource facility safety management." Water for future, Vol. 52, No. 2, pp. 20-23. 

  4. Jung, T.G., Lee, C.K., and Park, T.K. (202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facility maintenance system for management and budget planning in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14, No. 4, pp. 295-302. 

  5. Kim, S.W., and Ahn, K.H. (2009). "A study on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safety and maintenanc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3, No. 4, pp. 101-106. 

  6. Korea Infrastructure Safety Corporation. (KISTEC) (2008). Dam maintenance manual. 

  7. Lee, S.K., Yu, J.H., and An, H.K. (2012). "Improvement of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in design and construction phases for efficient facility manage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8, No. 5, pp. 33-42. 

  8.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MOCT) (2005). River facility maintenance manual. 

  9.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7). Waterworks maintenance manual.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5). Final report on research service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frastructure maintenance.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OLIT) (2018). Detailed guidelines for safety and maintenance of facilities. 

  12.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Detailed guidelines for safety inspection and precision safety diagnosis. 

  13.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19). Final report on research service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frastructure management. 

  14.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2018). 100 years of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