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분자 정공수송층에 용액 공정 도핑법을 적용한 인광 유기전기발광소자
Solution processed doping to the polymer hole transporting layer for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원문보기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Journal of IKEEE, v.24 no.3, 2020년, pp.699 - 705  

성백상 (Department of Creative Convergence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이장원 (Department of Creative Convergence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이승훈 (Department of Creative Convergence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유재민 (Department of Creative Convergence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이재현 (Department of Creative Convergence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  이종희 (Department of Creative Convergence Engineering, Hanbat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기전기발광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용액공정 도핑법이 도입된 고분자 poly[(9,9-dioctylfluorenyl-2,7-diyl)-co-(4,4′-(N-(4-sec-butylphenyl)diphenylamine)] (TFB)기반의 정공수송층을 제안하였다. 정공수송층 소재 TFB 용액 내에 1,4,5,8,9,11-hexaazatriphenylene hexacarbonitrile (HAT-CN)를 3 wt% 도핑을 하여 정공수송층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 시켰다. 이를 통해 HAT-CN이 도핑된 TFB을 이용한 유기전기발광소자에서는 향상된 정공수송층의 전도도를 통해 동일 구동 전압 시 전류 밀도와 휘도가 증가하였고, 점등 개시 전압이 13V에서 9V로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핑법이 적용되지 않은 기준 소자 대비 최대 외부양자효율이 3.6%에서 10.8%로 약 3배 향상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facial way to enhanc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via the solution process doping method based on the poly[(9,9-dioctylfluorenyl-2,7-diyl)-co-(4,4'-(N-(4-sec-butylphenyl) diphenylamine)] (TFB) as a hole transporting layer (HTL) is demonstrated....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에 도시되어 있는 poly[(9,9-dioctylfluorenyl –2,7-diyl)-co-(4,4′-(N-(4-sec-butylphenyl) diphenylamine)](TFB)를 용액공정 OLEDs의 정공수송층으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기존 용액공정 정공수송층이 가지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정공수송층 소재 TFB에 HAT-CN 소재를 용액공정 기반 도핑을 통해 전도도를 개선하였다. TFB의 HOMO 준위보다 낮은 위치에 LUMO 준위를 지닌 HAT-CN을 도핑을 하여, 정공주입층 내부에 정공 생성을 높였고 발광층 내부의 정공 주입을 증가시켜 소자의 구동전압을 4V 가량 앞당겼으며 기준 소자대비 향상된 효율의 용액공정 정공수송층을 이용한 OLEDs 소자를 제작할 수 있었다.
  • 대표적인 고분자 정공수송층 재료인 TFB는 적절한 HOMO 준위를 가지고 있고 유기 용매에 비교적 잘 녹는 특성을 이용해 용액공정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투명 박막을 얻기에 적합하지만, TFB는 기존 정공수송층 소재 PEDOT:PSS 등과 비교시 전도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TFB의 낮은 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용액 공정의 장점인 손쉬운 도핑 방법을 통해 전도도를 향상시켜 OLEDs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제시된 용액 공정 도핑 방법은 정공수송층 TFB 용액에 HAT-CN을 3 wt% 소량 첨가한 후 교반하는 간단한 방식으로 제작하였고, 이후 기준소자와 동일한 방식으로 발광층, 전자수송층 및 상부전극을 순차적으로 증착하여 용액공정 도핑 방법 적용 전후의 소자의 구동 및 성능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액 공정 유기전기발광소자의 장점은? 용액 공정 유기전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는 기존 진공 증착 공정으로 제작하는 OLEDs와 비교하여 재료의 소모가 적으며, 진공 설비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며, 대면적 공정을 적용시키기에 장점이 있다[1-2]. 이 용액 공정 OLEDs는 진공 증착 공정 OLEDs와 마찬가지로 각 유기물들이 전하 수송층, 발광층 등 여러 가지 역할의 층들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는데, 이 용액 공정 OLEDs의 정공수송층 재료로 가장 많이 널리 사용하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는 간단한 공정으로도 쉽게 투명한 박막을 얻을 수 있고 높은 광투과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용액공정 OLEDs의 정공수송층 재료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3].
용액 공정 OLEDs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용액 공정 유기전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는 기존 진공 증착 공정으로 제작하는 OLEDs와 비교하여 재료의 소모가 적으며, 진공 설비로부터 자유롭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소자의 제작이 가능하며, 대면적 공정을 적용시키기에 장점이 있다[1-2]. 이 용액 공정 OLEDs는 진공 증착 공정 OLEDs와 마찬가지로 각 유기물들이 전하 수송층, 발광층 등 여러 가지 역할의 층들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는데, 이 용액 공정 OLEDs의 정공수송층 재료로 가장 많이 널리 사용하는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는 간단한 공정으로도 쉽게 투명한 박막을 얻을 수 있고 높은 광투과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용액공정 OLEDs의 정공수송층 재료로 주로 사용하고 있다[3]. 하지만 PEDOT:PSS의 경우 흡습성이 높고 물에 용해되어 있기에 물에 취약한 OLEDs의 특성상 수분으로 인한 소자의 수명저하로 이어지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기존 용액공정 정공수송층이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분자 정공수송층 소재 TFB에 HAT-CN 소재를 용액공정 기반 도핑을 통해 전도도를 개선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기존 용액공정 정공수송층이 가지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정공수송층 소재 TFB에 HAT-CN 소재를 용액공정 기반 도핑을 통해 전도도를 개선하였다. TFB의 HOMO 준위보다 낮은 위치에 LUMO 준위를 지닌 HAT-CN을 도핑을 하여, 정공주입층 내부에 정공 생성을 높였고 발광층 내부의 정공 주입을 증가시켜 소자의 구동전압을 4V 가량 앞당겼으며 기준 소자대비 향상된 효율의 용액공정 정공수송층을 이용한 OLEDs 소자를 제작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M. Cai, J. Shinar, "High-Efficiency Solution-Processed Small Molecule Electro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Adv. Mater. vol.23, pp.3590-3596, 2011. DOI: 10.1002/adma.201101154 

  2. L. Duan, Y. Qiu, "Solution processable small molecule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J. Mater. Chem., vol.20, pp.6392-6407, 2010. DOI: 10.1039/b926348a 

  3. H-W. Chang, C-C. W, "Color-stable, ITO-free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enhanced efficiency using solution-processed transparentelectrodes and optical outcoupling layers," Organic Electronics, Vol.15 pp.1028-1034, 2014. DOI: 10.1016/j.orgel.2014.02.017 

  4. H. Choi, K. Kim, "Solution processed WO3 layer for the replacement of PEDOT:PSS layer in organic photovoltaic cells," Organic Electronics, Vol.13, Issue 6, pp.959-968. DOI: 10.1016/j.orgel.2012.01.033 

  5. Y H. Kim, J. Lee, K. Leo, "Achieving High Ef fi ciency and Improved Stability in ITO-Free Transpar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with Conductive Polymer Electrodes," Adv. Funct. Mater. Vol.23, pp.3763-3769, 2013. DOI: 10.1002/adfm.201203449 

  6. S. Murase, Y. Yang, "Solution Processed $MoO_{3}$ Interfacial Layer for Organic Photovoltaics Prepared by a Facile Synthesis Method," Adv. Mater. Vol.24, pp.2459-2462, 2012. DOI: 10.1002/adma.201104771 

  7. M. R. Nagar, J-H. Jou, "Solution Process Feasible Highly Effici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Hybrid Metal Oxide Based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MRS Advances, pp.1-9. DOI: 10.1557/adv.2019.300 

  8. J. J. Park, J. H. Kwon, "Small molecule interlayer for solution processed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rganic Electronics 10, pp.189-193, 2009. DOI: 10.1016/j.orgel.2008.08.014 

  9. L. S. Liao, K. P. Klubek, "Power efficiency improvement in a tandem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ppl. Phys. Lett. 92, 223311, 2008. DOI: 10.1063/1.2938269 

  10. J-H. Lee, J-J. Kim, "A high performance transparent invert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1,4,5,8,9,11-hexaazatriphenylenehexacarbonit rile as an organic buffer layer," J. Mater. Chem., Vol.22, No.15262, 2012, DOI: 10.1039/c2jm32438e 

  11. J. Lee, J-H. LEE, "Efficient Green Phosphorescent OLEDs with Hexaazatrinaphthylene Derivatives as a Hole Injection Layer," Appl. Chem. Eng., Vol.26, No.6, December 2015, 725-729. DOI.org/10.14478/ace.2015.1108 

  12. S. Reineke, K. Leo, "Reduced efficiency rolloff in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by suppression of triplet-triplet annihilation," Appl. Phys. Lett. Vol.91, No.123508 2007. DOI: 1l0.1063/1.2786840 

  13. J. Meyer, T. Riedl, "Highly efficient simplifi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ppl. Phys. Lett. 91, pp.113506 2007. DOI: 10.1063/1.2784176 

  14. G. Rajanm, Ritu Srivastava, O. P. Sinha, "Study of injection and transport properties of metal/organic interface using HAT-CN molecules as hole injection layer," Vacuum 146 (2017) 530-536. DOI.org/10.1016/j.vacuum.2017.07.007 

  15. Y. Xu, Y-Y. Noh, "Doping: A Key Enabler for Organic Transistors," Adv. Mater. 2018, 30, 1801830. DOI: 10.1002/adma.201801830 

  16. M. Schwarze, K. Leo, "Molecular parameters responsible for thermally activated transport in doped organic semiconductors," Nature Materials. 2018, s41563-018-0277-0. DOI.:10.1038/s41563-018-027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