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odosphaera xanthii의 새로운 Race 2F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 국내 발병 보고
Occurrence of Powdery Mildew Caused by New Race 2F of Podosphaera xanthii on Cucumber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26 no.3, 2020년, pp.183 - 189  

김영아 (세종대학교 바이오산업자원공학과) ,  정아람 (세종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장민 (세종대학교 바이오산업자원공학과) ,  박창진 (세종대학교 바이오산업자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흰가루병(powdery mildew)은 오이(Cucumis sativus)를 포함하는 박과(Cucurbitaceae) 작물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주요한 병 중 하나이다. 오이 흰가루병의 지속적인 발병과 방제의 어려움 때문에 그 원인 병원균을 밝히고 race를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 발병하는 오이 흰가루병균의 조사를 위하여 경기도 광주(Gwangju), 경기도 이천(Icheon), 전라북도 김제(Gimje), 서울특별시(Seoul), 경상남도 밀양(Miryang) 지역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한 오이 잎을 채집하였다.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특성 조사 결과 분리된 오이 흰가루병균들은 절대 활물기생균인 Podosphaera xanthii로 동정되었다. P. xanthii의 race 규명에 사용되고 있는 멜론(C. melo) 판별 품종을 이용하여 밀양, 이천 서울에서 분리된 MI180427, IC190611, SE180328의 레이스를 각각 조사하였다. 분리균주 MI180427과 IC190611는 국내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발병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race 1으로 규명되었다. 반면, 분리균주 SE180328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보고된 예가 없는 race 2로 판별되었다. SE180328의 정확한 race 판별을 위해서 추가적인 멜론 판별 품종에 접종한 결과, 흰가루병 race 2 중에서 중국 베이징의 주요 race로 알려진 race 2F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race 2F의 국내 발병을 보고하는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오이 흰가루병 저항성 품종 육성에 고려 되어야 할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wdery mildew is a common and serious disease of the Cucurbitaceae including cucumber (Cucumis sativus) in most areas of the world. To identify causal agents of the powdery mildew and their physiological race(s), we collected cucumber leaves displaying typical symptoms of powdery mildew from diffe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분리 균주들의 형태적 분석을 위하여 증식된 흰가루병균의 균사체를 멸균된 팁으로 긁어내어 멸균 증류수 200 μl로 희석하고 광학현미경(Eclipse Ti, Nikon, Tokyo, Japan)에서 관찰하였다.
  •  오이와 멜론은 종자 소독후 멸균된 증류수에서 발아를 유도하였고 다공 플라스틱 포트에 원예용상토 2호(Seoul Bio, Gwangmyeong, Korea)를 넣고 발아된 종자를 포트당 1립씩 심어주었다.
  • 건전잎 혹은 건전잎 절편(1.5×1.5 cm)을 70% 에탄올로 소독하고, 배지(25 mg/ml benzimidazol, 1% phytoagar) (Gafni 등, 2015)가 분주된 페트리디쉬에 치상한 후 재배 농가에서 채집한 흰가루병 감염잎의 절편(0.8×0.8 cm)을 건전잎 혹은 건전잎 절편 위에 올려주고 밀봉하였다.
  • xanthii isolates을 분리 동정하였으며 멜론 판별 식물을 이용하여 race 1와 race 2로 판별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새롭게 발견된 race 2의 경우 추가적인 멜론 판별 기주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race 2F로 결정하였다.
  • 모든 식물은 23℃ 16시간 광조건, 8시간 암조건이 유지되는 식물 생장상 혹은 세종대학교 캠퍼스에 있는 유리온실에서 재배하였다.
  • 오이 흰가루병균의 순수 분리와 효과적인 증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잎 절편(leaf disk)을 이용한 방법(Fanourakis, 1991; Lee 등, 2004)을 일부 변형하여, 감염잎 절편을 건전잎 혹은 건전잎 절편과 접촉시켜 접종을 유도하는 ‘disk-to-disk’ 방법을 사용하였다.
  • 이에 기존의 연구들을(Cosme 등, 2012; McCreight, 2006; Tetteh 등, 2013) 따라서 추가적인 멜론 판별 식물인 ‘Edisto 47’와 ‘PI 414723’을 이용하여 SE180328가 race 2의 변이체인 2S, 2US, 2F, 2SC 중에서 어떤 race인지를 조사하였다(Fig. 5).
  • 접종 후 약 14일에 사진 촬영 후 ImageJ 프로그램(ver. 1.53c,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의 “Color threshold” (https:// imagej.nih.gov/ij/)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으며 감염잎 절편의 크기를 기준으로 건전잎의 흰가루병 병반면적률(%)을 계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오이 흰가루병균 조사를 위하여 경기도 광주(Gwangju), 경기도 이천(Icheon), 전라북도 김제(Gimje), 서울특별시(Seoul), 경상 남도 밀양(Miryang) 지역의 재배농가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한 오이 잎을 채집하였다(Fig. 1A, B).
  •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특성 조사 결과 분리된 오이 흰가루병균들은 절대 활물기생균인 Podosphaera xanthii로 동정되었다. P. xanthii의 race 규명에 사용되고 있는 멜론(C. melo) 판별 품종을 이용하여 밀양, 이천 서울에서 분리된 MI180427, IC190611, SE180328의 레이스를 각각 조사하였다. 분리균주 MI180427과 IC190611는 국내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발병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된 race 1으로 규명되었다.
  • 국내 오이 흰가루병 잎의 채집.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오이 흰가루병균 조사를 위하여 경기도 광주(Gwangju), 경기도 이천(Icheon), 전라북도 김제(Gimje), 서울특별시(Seoul), 경상 남도 밀양(Miryang) 지역의 재배농가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한 오이 잎을 채집하였다(Fig.
  • 오이 흰가루병의 지속적인 발병과 방제의 어려움 때문에 그 원인 병원균을 밝히고 race를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내에서 발병하는 오이 흰가루병균의 조사를 위하여 경기도 광주(Gwangju), 경기도 이천(Icheon), 전라북도 김제(Gimje), 서울특별시(Seoul), 경상남도 밀양(Miryang) 지역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한 오이 잎을 채집 하였다. 형태학적, 분자생물학적 특성 조사 결과 분리된 오이 흰가루병균들은 절대 활물기생균인 Podosphaera xanthii로 동정되었다.

이론/모형

  • 1C). 각 지역별 흰가루병균의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KI170723, GW170710, SE180328, MI180427 및 IC190611의 genomic DNA를 cetyl trimethyl ammonium bromide (CTAB)법(Porebski 등, 1997)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선행 연구(Pirondi 등, 2015)를 따라서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영역을 ITS1 (5′-TCCGTAGGTGAACCTGCGG-3′)과 ITS4 (5′-TCCTCCGCTTATTGATATGC-3′)를 사용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증폭시켰다.
  • 본 연구의 race 판별을 위해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잎 절편을 이용한 방법(Fanourakis, 1991; Lee 등, 2004)을 일부 변형한 ‘disk-to-disk’법을 이용하였다.
  • 1A, B). 채집한 잎에 형성된 흰가루병균의 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이들을 이병성인 조은백다다기오이(FarmHannong, Seoul, Korea)의 떡잎 혹은 본잎에 증식하는 방법(Lee 등, 2004)으로 흰가루병균을 순수 분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ertrand, F. and Pitrat, M. 1989. Screening of a muskmelon germplasm for susceptibility to 5 pathotypes of powdery mildew. Proc. Cucurbitaceae 89: 140-142. 

  2. Cohen, Y., Baider, A., Petrov, L., Sheck, L. and Voloisky, V. 2000. Crossinfectivity of Sphaerotheca fuliginea to watermelon, melon, and cucumber. Acta Hortic. 510: 85-88. 

  3. Cohen, R., Burger, Y. and Katzir, N. 2004. Monitoring physiological races of Podosphaera xanthii (syn.Sphaerotheca fuliginea), the causal agent of powdery mildew in cucurbits: factors affecting race identification and the importance for research and commerce. Phytoparasitica 32: 174-183. 

  4. Cosme, B.-R., Josefina, L.-F., Raul, A.-M., Dolores, M.-R. M., Armando, C.-F. J., Benigno, V-T. J. et al. 2012. Characterization of powdery mildew in cucumber plant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the Culiacan Valley, Sinaloa, Mexico. Afr. J. Agric. Res. 7: 3237-3248. 

  5. Davis, A. R., Levi, A., Tetteh, A., Wehner, T., Russo, V. and Pitrat, M. 2007. Evaluation of watermelon and related species for resistance to race 1W powdery mildew. J. Am. Soc. Hortic. Sci. 132: 790-795. 

  6. Fanourakis, N. E. 1991. Screening procedures for powdery mildew resistance in the cucumber. Acta Hortic. 287: 147-154. 

  7. Gafni, A., Calderon, C. E., Harris, R., Buxdorf, K., Dafa-Berger, A., Zeilinger-Reichert, E. et al. 2015. Biological control of the cucurbit powdery mildew pathogen Podosphaera xanthii by means of the epiphytic fungus Pseudozyma aphidis and parasitism as a mode of action. Front. Plant Sci. 6: 132. 

  8. Hong, Y.-J., Hossain, M. R., Kim, H.-T., Park, J.-I. and Nou, I.-S. 2018. Identification of two new races of Podosphaera xanthii causing powdery mildew in melon in South Korea. Plant Pathol. J. 34: 182-190. 

  9. Hosoya, K., Narisawa, K., Pitrat, M. and Ezura, H. 1999. Race identification in powdery mildew (Sphaerotheca fuliginea) on melon (Cucumis melo) in Japan. Plant Breed. 118: 259-262. 

  10. Huang, X. Q., Hsam, S. L. K., Zeller, F. J., Wenzel, G. and Mohler, V. 2000. Molecular mapping of the wheat powdery mildew resistance gene Pm24 and marker validation for molecular breeding. Theor. Appl. Genet. 101: 407-414. 

  11. Jagger, I. C., Whitaker, T. W. and Porter, D. R. 1938. A new biologic form of powdery mildew on muskmelons in the Imperial Valley of California. Plant Dis. Rep. 22: 275-276. 

  12. Kim, H.-T., Park, J.-I., Ishikawa, T., Kuzuya, M., Horii, M., Yashiro, K. et al. 2015.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 to select resistant lines and to differentiate the races related to powdery mildew in melon (Cucumis melo L.). J. Plant Biotechnol. 42: 284-289. (In Korean) 

  13. Kim, H.-T., Park, J.-I. and Nou, I.-S. 2016. Identification of fungal races that cause powdery mildew in melon (Cucumis melo L.) and selection of resistant commercial melon cultivars against the identified races in Korea. J. Plant Biotechnol. 43: 58-65. (In Korean) 

  14. Kuzuya, M., Yashiro, K., Tomita, K. and Ezura, H. 2006. Powdery mildew (Podosphaera xanthii) resistance in melon is categorized into two types based on inhibition of the infection processes. J. Exp. Bot. 57: 2093-2100. 

  15. Lee, J. H., Jang, K. S., Lee, W. J., Choi, Y. H. and Choi, G. J. 2014. Resistance of cucurbits to Podosphaera xanthii race 1.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2: 673-683. (In Korean) 

  16. Lee, Y.-H., Seo, J.-B., Choi, K. J., Park, I.-J. and Yang, W.-M. 2004. Disease resistance test method of cucumber powdery mildew (Sphaerotheca fusca) using a leaf disk assay. Res. Plant Dis. 10: 78-81. (In Korean) 

  17. McCreight, J. D. 2006. Melon-powdery mildew interactions reveal variation in melon cultigens and Podosphaera xanthii races 1 and 2. J. Am. Soc. Hortic. Sci. 131: 59-65. 

  18. Pirondi, A., Vela-Corcia, D., Dondini, L., Brunelli, A., Perez-Garcia, A. and Collina, M. 2015.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the cucurbit powdery mildew fungus Podosphaera xanthii suggests a clonal population structure. Fungal Biol. 119: 791-801. 

  19. Porebski, S., Bailey, L. G. and Baum, B. R. 1997. Modification of a CTAB DNA extraction protocol for plants containing high polysaccharide and polyphenol components. Plant Mol. Biol. Rep. 15: 8-15. 

  20. Pryor, D. E., Whitaker, T. W. and Davis, G. N. 1946. The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resistant cantaloupes. Proc. Am. Soc. Hortic. Sci. 47: 347-356. 

  21. Rabelo, H. O., Santos, L. S., Diniz, G. M. M., Marin, M. V., Braz, L. T. and McCreight, J. D. 2017. Cucurbits powdery mildew race identity and reaction of melon genotypes. Pesq. Agropec. Trop. 47: 440-447. 

  22. Tetteh, A. Y., Wehner, T. C. and Davis, A. R. 2013.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the new race of powdery mildew in watermelon. Crop Sci. 53: 880-887. 

  23. Wang, J., Gong, G., Guo, S., Wang, Q. and Xu, Y. 2006. Identification of physiological races of powdery mildew on cucurbits in Beijing. China Veg. 8: 7-9. 

  24. Zitter, T. A., Hopkins, D. L. and Thomas, C. E. 1996. Powdery mildew. In: Compendium of Cucurbit Diseases, eds. by M. T. McGrath and C. E. Thomas, pp. 28-30.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Press. St. Paul, MN, US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