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 무력감이 소셜 미디어 속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sumer Powerlessness on Narcissistic Self-expression on Social Media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1 no.3, 2020년, pp.89 - 103  

김미예 (연세대학교 바른ICT연구소) ,  전미나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인이 통제력을 갖고자 하는 것은 기본적인 욕구이다. 따라서 통제력을 상실하는 무력감을 느낄 때, 사람들은 이러한 상태를 벗어나고자 보상행동을 보이게 된다. 현재까지 무력감을 보상하고자 하는 보상행동으로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통한 보상소비행동이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속 보상행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최근 자아 표현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가 자아 확장의 플랫폼이 되면서 심리적 무력감을 소셜 미디어의 자아 표현을 통해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무력감을 느낀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어떠한 보상행동을 보이는지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무력감이 소셜 미디어상에서의 나르시즘적 자아표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는 않지만, 불안감에 의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심리적 무력감을 느낀 경험을 회상하도록 한 실험 집단에서는 불안감을 많이 느낄수록,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사회적 권력이나 권위를 보여줄 수 있는 대상(브랜드 혹은 상황)이 보여지는 사진을 게시함으로써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사회적으로 무력감을 경험하게 될 때, 이로 인해 불안감이 형성되면, 소셜 미디어상에서 자신을 좀 더 나은 이미지, 주목받는 이미지로 보이기 위한 나르시즘적 자아표현과 같은 보상소비가 일어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소셜미디어내에서 나타나는 나르시즘적 자아표현이 다른 사람의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현재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아를 표출함으로써 부정적 감정상태를 해소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지식경영 측면에서 볼 때,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people feel powerless (with losing control), they show compensatory behaviors to get out of this state. The actions to compensate for powerlessness have been studied in the contexts of products or brands, but this study focuses on compensatory behaviors when using social media. Social media,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무력감의 결과가 소셜 미디어 상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무력감을 해소하기 위한 보상소비로서 소셜 미디어상에서의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로서 불안감의 역할을 검증하여 소셜 미디어속에서 무력감과 나르시즘적 자아표현의 메커니즘을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무력감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소셜 미디어에서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을 통한 보상행동을 보여줌으로써 무력감이 상품을 통해서 뿐 아니라 자아를 반영하는 소셜 미디어 소비를 통해서도 해소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기초한 본 연구의 결과는 소셜 미디어를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심리적 측면의 메커니즘에 대한 지식을 축적하여 향후 소셜 미디어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무력감이 불안을 통해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가설 검증을 위해 실험 집단은 무력감의 정도를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었다.
  • 사람들이 느끼는 무력감은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부정적이기 때문에 개인은 이러한 부정적 상태를 회복하기 위한 보상적 방법으로 사회적 권력을 상징하는 제품이나 브랜드를 구매하는 보상소비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무력감의 결과가 소셜 미디어 상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무력감을 해소하기 위한 보상소비로서 소셜 미디어상에서의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 친구들과 파티에 참석하여 즐거운 시간을 보낸 상황을 묘사한 시나리오를 읽게 한 뒤, 파티에서 찍은 다양한 사진들을 스케치로 보여주었다. 여러 사진들 중 어떠한 종류의 사진을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게시할 의향이 있는지 선택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참가자의 인적사항을 기재하도록 한 뒤 설문을 종료하였다.
  • 최근에는 자아 표현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소셜 미디어가 자아 확장의 플랫폼이 되면서 소셜 미디어상에서의 자아 표현을 통해 무력감을 해소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무력감을 느낀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 플랫폼 상에서 어떠한 행동을 통해 부정적 상태를 보상하고자 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구적 의의를 제공하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무력감의 결과로 소셜 미디어상에서의 다양한 행동 중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에 관해서만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이 소셜 미디어 소비행동 중 주요한 사항이지만 그 외에도 타인의 게시물에 대한 반응, 친구 맺기, 유용한 정보공유 행동 등 보상소비로 볼 수 있는 다양한 소비행동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결과변수를 확장해서 살펴보는 연구가 요구된다.
  • 지금까지 무력감으로 인한 보상소비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 혹은 파워를 상징 제품 소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무력감으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보상소비의 일종으로 온라인에서의 나르시즘적 자아 표현을 보인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다양한 보상소비의 형태를 연구했다. 이는 보상소비에서 주요한 선행변수로 연구되어온 무력감과 최근 소셜 미디어 소비에서 주요한 행동으로 연구된 나르시즘적 자아표현을 연결함으로써 소비자 행동의 새로운 측면을 발견하는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안은 무엇인가? 불안은 미래의 어려운 상황이나 위협에 대해 염려하는 불안정한 마음의 상태이다 (Freeman and DiTomaso 2002; Stein and Sareen 2015). 불안은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지양되어야 하는 심리상태로 연구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많은 선행연구에서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은 잘못된 해석, 평가 오류, 비합리적 판단과 비체계적인 정보처리를 하기 쉽다는 것이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Wells 1997; Dhir et al.
무력감은 무엇이라 정의되는가? 무력감(powerlessness)은 자신이 컨트롤 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해 느끼는 감정 또는 자신의 소득/소비 및 타인의 행동에 대한 낮은 통제능력으로 정의된다 (Bunker and Ball 2009; Seeman and budros 1988; Rucker and Galinsky 2008). 무력감은 우리 생활에서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상황 속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피하고 싶은 부정적 심리적 상태이기 때문에 직접 보상이나 간접 보상을 통해 이 상태를 피하고자 하는 동기가 생기게 된다 (Rucker and Galinsky 2008).
보상소비(compensatory consumption) 행동의 예로 무엇이 있는가? 심리적 무력감을 느낀 사람들은 소비를 통해 부정적 심리를 보상받으려고 하는 보상소비(compensatory consumption) 행동을 보인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증명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으로 지위(status)가 낮다고 느끼는 부정적 심리상태가 되면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위를 상징할 수 있는 상품군으로 만년필이나 실크 넥타이 등에 대한 추구 또는 구매욕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Rucker and Glinsky 2008). 무력감은 이러한 절대적 비용이 높은 럭셔리 상품이나 서비스의 소비 및 획득을 통해 보상되기도 하지만 스타벅스 커피와 같은 상대적으로 금액이 낮은 소비나 다른 사람들 도와주는 이타적 소비인 기부 또는 삶의 의미를 찾는 가족과의 식사 등을 통해서도 보상될 수 있다 (Ruck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곽현, 박선주, 정승화, 정예림 (2015). 소셜미디어 연구의 흐름: 경영학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 지식경영연구, 16(2), 29-45. 

  2. 김미예, 김정구, 전미나, 한정수, 김영재 (2014). 소비자의 무력감이 파워상징상품 추구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43(2), 329-351. 

  3. 김미예, 옥경영 (2020). 소비자의 지각된 경제력이 브랜드 고정관념, 브랜드 애착을 통해 브랜드 지지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31(2), 83-103. 

  4. 박경자, 유일, 이윤희 (2014).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사용의 부정적 감정과 사용중단의도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5(2), 89-106. 

  5. 윤혜정, 이한별, 이중정 (2017). 사용자의 성격에 따른 정보의 통제와 투사 전략: 인상관리를 위한 소셜미디어의 활용. 지식경영연구, 18(3), 149-164. 

  6. 이성림, 손지연, 하희라, 김민정 (2014).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불안과 식생활 만족: 소비자역량 만족도와 안전식품 구매행동을 중심으로. 소비자문제연구, 45(2), 137-157. 

  7. 차문경, 이희태 (2017). 닫힌 사회, 오직 부모인 나는 왜 불행한가? 사회적 유동성에 대한 지각이 소비자행복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불안의 매개효과와 자아복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28(3), 111-141. 

  8. 한성희 (2014). 쾌락소비 행동 및 쾌락소비 후 감정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자기효능감과 불안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17(2), 225-250. 

  9. Ariely, D., & Norton, M. I. (2009). Conceptual consumption. Annual Review of Psychology, (60), 475-499. 

  10. Barbera, L. D., Paglia, L. F., & Valsavoia, R. (2009). Social network and addiction. Stud Health Technol Inform, (144), 33-36. 

  11. Belk, R. W., Bahn, K. D., & Mayer, R. N. (1982). Developmental recognition of consumption symbolism.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9(1), 4-17. 

  12. Belk, R. W. (1988). Possessions and exte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139-168. 

  13. Bergman, S. M., Fearrington, M. E., Davenport, S. W., & Bergman, J. Z. (2011). Millennials, narcissism, and social networking: What narcissists do on social networking sites and wh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 706-711. 

  14. Bunker, M., & Ball, A. D. (2009). Consequences of customer powerlessness: Secondary control. Journal of Consumer Behavior, 8(5), 268-283. 

  15. Burton, H. W., & Elliott, R. (2005). Compensatory consumption and narrative identity theory.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32), 461-465. 

  16. Caplovitz, D. (1963). The poor pay more. Free Press, New York. 

  17.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227-268. 

  18. Dhir, A., Yossatorn, Y., Kaur, P., & Chen, S. (2018). Online social media fatigue and psychological wellbeing-A study of compulsive use, fear of missing out, fatigue, anxiety and depres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40), 141-152. 

  19. Dickerson, S., & Kemeny, M. (2004). Acute stressors and cortisol responses: A theoretical integration and synthesis of laboratory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30(3), 355-391. 

  20. Dommer, S. L., & Swaminathan, V. (2013). Explaining the endowment effect through ownership: The role of identity, gender, and self-threa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9(5), 1034-1050. 

  21. Fiske, S. T., Morling, B., & Stevens, L. E. (1996). Controlling self and others: A theory of anxiety, mental control, and social control.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2), 115-123. 

  22. Foster, J. D., & Campbell, W. K. (2007). Are there such things as "narcissists" in social psychology? a taxometric 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 1321-1332. 

  23. Freeman, A., & DiTomasso, R. A. (2002). Cognitive concepts of anxiety. In D. J. Stein & E. Hollander (Eds.), Textbook of anxiety disorders (pp. 71-7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4. Gao, L. S., Wheeler, S. C., & Shiv, B. (2009). The shaken self: Product choices as a means of restoring self-view confide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6(1), 29-38. 

  25. Harmon-Jones, C., Harmon-Jones, E., & Brandon, S. (2008). Symbolic self completion in academia: Evidence from department web pages and email signature fil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9), 311-316. 

  26.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27. Higgins,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3), 319-340. 

  28. Johnson, C. M., Tariq, A., & Baker, T. L. (2018). From Gucci to green bags: Conspicuous consumption as a signal for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26(4), 339-356. 

  29. Kim, J. M., Jun, M. N., & Kim, C. K. (2018). The effects of culture on consumers' consumption and generation of online reviews.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43), 134-150. 

  30. Kim, S., & Gal, D. (2014). From compensatory consumption to adaptive consumption: The role of self-acceptance in resolving self-defici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41), 526-542. 

  31. Krombholz, K., Merkl, D., & Weippl, E. (2012). Fake identities in social media: A case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Facebook business model. Journal of Service Science Research, 4(2), 175-212. 

  32. Lee, J., & Shrum, L. J. (2012). Conspicuous consumption versus charitable behavior in response to social exclusion: A differential needs explana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9), 1-17. 

  33. Mandel, N., Derek, D. R., Levav, J., & Galinsky, A. D. (2017). The compensatory consumer behavior model: How self-discrepancies drive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7(1), 133-146. 

  34. Mandel, N., Petrova, P. K., & Cialdini, R. B. (2006). Images of success and the preference for luxury brand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6(1), 57-69. 

  35. Morf, C. C., & Rhodewalt, F. (2001). Unraveling the paradoxes of narcissism: A dynamic self-regulatory processing model. Psychological Inquiry, (12), 177-196. 

  36. Oei, T. P., Sawang, S., Goh, Y. W., & Mukhtar, F. (2013). Using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 21 (DASS-21) across cul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8(6), 1018-1029. 

  37. Primack, B. A., Shensa, A., Escobar-Viera, C. G., Barrett, E. L., Sidani, J. E., & Colditz, J. B. (2017). Use of multiple social media platform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 nationally-representative study among U.S. young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9), 1-9. 

  38. Rucker, D. D., Dubois, D., & Galinsky, A. D. (2011). Generous paupers and stingy princes: Power drives consumer spending on self versus other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7(6), 1015-1029. 

  39. Rucker, D. D., & Galinsky, A. D. (2008). Desire to acquire: Powerlessness and compensatory consumpti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5), 257-267. 

  40. Seeman, M., Alice, Z. S., & Budros, A. (1988). Powerlessness, work, and community: A longitudinal study of alienation and alcohol us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9), 185-198. 

  41. Seidman, G. (2013). Self-presentation and belonging on Facebook: How personality influences social media use and motivation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4(3), 402-407. 

  42. Sharma, E., & Alter, A. L. (2012). Financial deprivation prompts consumers to seek scarce good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9(3), 545-560. 

  43. Smeesters, D., & Mandel, N. (2006). Positive and negative media image effects on the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2(4), 576-582. 

  44. Sobol, K., & Darke, P. R. (2014). I'd Like to be that attractive, but at least I'm smart: How exposure to ideal advertising models motivates improved decision-making.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4(4), 533-540. 

  45. Sriwilai, K., & Charoensukmongkol, P. (2016). Face it, Don't Facebook it: Impacts of social media addiction on mindfulness, coping strategies and the conseq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Stress and Health, 32(4), 427-434. 

  46. Stein, M. B., & Sareen, J. (2015).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73), 2059-2068. 

  47. Vannucci, A., Flannery, K., & Ohannessian, C. (2017). Social media use and anxiety in emerging adul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7), 163-166. 

  48. Wells, A. (1997). Cognitive therapy of anxiety disorders: A practice manual and conceptual guide. New York: Wiley. 

  49. West, A., Lewis, J., & Currie, P. (2009). Students' Facebook 'friends': Public and private spheres. Journal of Youth Studies, 12(6), 615-627. 

  50. Wicklund, R. A., & Gollwitzer, P. M. (1982). Symbolic self-comple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1. Yu, E. A., & Kim, H. C. (2020). Is she really happy? A dual-path model of narcissistic self-presentation outcomes for female Facebook user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08, 10632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