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3개 해역 중 동해 퇴적물의 점토광물에 관한 연구는 고환경 변화 측면에서의 일부 연구 외에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강릉-동해 해역에서 상자형 시료채취기를 이용하여 채취한 120개 퇴적물 시료에 대한 점토광물 특성과 분포 상태를 바탕으로 기원지를 추정하였다. 점토광물 함량은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리나이트, 스멕타이트 순으로 풍부하다. 수심 150 m 이하의 대륙붕 퇴적물은 대륙사면 퇴적물에 비하여 녹니석과 카올리나이트 함량은 많고 일라이트 결정도는 좋은데 반하여 일라이트와 스멕타이트 함량과 S/I 지수는 작다. 대륙붕 퇴적물의 경우 강릉 쪽은 녹니석 함량이 많고, 동해 쪽은 카올리나이트 함량이 많은데 이것은 육상 지질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점토광물의 여러 특징은 대륙붕 퇴적물과 대륙사면 퇴적물의 기원지가 다른 것을 시사한다. 대륙붕 퇴적물은 주변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었고, 대륙사면 퇴적물은 해류에 의하여 남쪽으로부터 이동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have rarely been performed for the clay mineralogy of the East Sea sediments except for few studies about paleoenvironmental aspect. This study inferred the provenance of sediments based on the clay miner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for the 120 sediment samples collected by the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0). 본 연구에서는 대보화강암 분포지를 북위 37.75도 이북으로 산정하여 육상 지질에 따른 해양퇴적물 내 점토광물조성을 비교하여 보았다. 북위 37.
  • , 2017), 동해 중부 지역(강릉-동해)의 해양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된 바가 전무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이 지역의 퇴적물 내에 존재하는 점토광물조성과 분포 특징을 알아본 후 이를 바탕으로 퇴적물의 이동 경로를 추정하는 것이다. 동해 연안 퇴적물에서의 점토광물에 관한 연구는 퇴적물의 기원과 이동 경로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해와 남해의 지형적 특징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반도에서 동해는 서해나 남해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서해와 남해는 경사가 완만한 대륙붕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동해는 대륙붕의 발달이 미약하며 해안에서부터 대륙붕, 대륙사면 및 심해분지로 급격한 지형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Chough, 1983; Yun et al., 2015).
동해의 대륙붕 특징은? , 2015). 동해의 대륙붕은 황해와 남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좁고, 경사도는 심하다. 동해 대륙붕의 평균경사도는 0.
카올리나이트와 녹니석 함량으로 에틸렌글리콜 처리된 시료 몇 피크를 구했나? 점토광물의 상대적 함량은 피크의 면적을 이용하여 반정량적으로 계산하였다. 에틸렌글리콜 처리된 시료의 17 Å 피크를 스멕타이트(smectite), 10 Å 피크를 일라이트(illite) 그리고 7 Å 피크를 카올리나이트(kaolinite)+녹니석(chlorite) 함량으로 계산하였다. 각 광물의 고유한 피크 강도 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계산된 피크 면적에 일정한 중량비를 곱하였다(Biscaye, 196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iscaye, P.E., 1965, Mineralogy and sedimentation of recent deep-sea clay in the Antlantic Oceqan and adjacent seas and ocean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n Bulletin, 76, 803-832. 

  2. Cha, H.J., Lee, C.B., Kim, B.S., Choi, M.S., and Ruttenberg K.C., 2005, Early diagenetic redistribution and burial of phosphorus in the sediments of the southwestern East Sea (Japan Sea). Marine Geology, 216, 127-143. 

  3. Chamley, H., 1989, Clay Sedimentology. Springer-Verlag Berlin-Heidelberg-New York, 623p. 

  4. Cho, H.G., Kim, S.O. and Yi, H.I., 2012,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mud deposits.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5, 163-1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H.G., Kim, S.-O., Kwak, K.Y., Choi, H., and Khim, B.-K., 2015,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provenance in the Heuksan mud belt, Yellow Sea. Geo-Marine Letters, 35, 411-419. 

  6. Choi, J.Y. and Kim, S.Y., 1998, Distribution of clay minerals in the korean seas.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 524-5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J.Y., Lim, D.I., Park, C.H., Kim, S.Y., Kang, S.Y., Kang, S. and Jung H.S.. 2010, Characteristics of clay mineral compositions in river sediments around the Yellow Sea and its application to the provenance of the continental shelf mud deposit. Journal of the Geology Society of Korea, 46, 497-509. 

  8. Chough, S.K., 1983, Marine Geology of Korean Seas. Internationa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Boston, 157p. 

  9. Ehrmann, W., 1998, Implications of Late Eocene to Early Miocene clay mineral assemblages in McMurdo sound (Ross Sea, Antarctica) on Paleoclimate and ice dynamic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39, 213-231. 

  10. Esquevin, J., 1969, Influence de la composition chimique des illites sur leur cristallinite. Bull Centre Rech Pau SNPA 3, 147-153. 

  11. Fagel, N., 2007, Chapter four clay minerals, deep circulation and climate. Developments in Marine Geology, 1, 139-184. 

  12. Gingele, F.X., Muller, P.M., Schneider, R.R., 1998, Orbital forcing of freshwater input in the Zaire Fan area - clay mineral evidence from the last 200 kyr.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138, 17-26. 

  13. Hong, G.H., Kim, S.H., Chung, C.S., Kang, D.J., Shin, D.H., Lee, H.J. and Han, S.J., 1997, 210Pb-derived sediment accumulation rates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Sea of Japan). Geo-marine Letters, 17, 126-137. 

  14. Horiuchi, K., Minoura, K., Hoshino, k., Oda, T., Nakamura, T. and Kawai, T., 2000, Paleoenvironmental history of Lake Baikal during the last 23000 year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gy, 157, 95-108. 

  15. Hunziker, J.R., Frey, M., Clauer, N., Dallmeyer, R.D., Friedrichsen, H., Flehmig, W., Hochstrasser, K., Roggwiler, P. and Schwander, H., 1986, The evolution of illite to muscovite: mineralogical and isotopic data from the Glarus Alps, Switzerland. Contribution to Mineralogy and Petrology, 92, 157-180. 

  16. Jun, C.P., Kim, C.H., Kim, Y. and Lee, S.J., 2014, Reconstruction of the hupo basin using grain size and mineral analysis.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7, 159-1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01) Tectonic map of Korea, 1:1,000,000. 

  18. Kim, Y., Yi, S., Kim, G.-Y. and Lee, E., 2017, Late Miocene paleoceanography of the Eastern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inferred from the palynofacies and dinoflagellates of U1430 core, IODP Exp. 346.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3, 645-6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olla, V., Kostecki, J.A., Robinson, F., Biscaye, P.E. and Ray, P.K., 1981, Distributions and origins of clay minerals and quartz in surface sediments of the Arabian Sea.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51, 563-569. 

  20. Koo, H.J., Lee, Y.J., Kim, S.-O. and Cho, H.G., 2018, Clay mineral distribution and provenance in surface sediments of Central Yellow Sea Mud. Geosciences Journal, 21, 989-1000. 

  21. Kubler, B., 1964, Les argiles, indicateurs de metamorphisme. Revue Institut Francais du Petrole, 19, 1093-1112 (in French). 

  22. Kwak, K.Y., Choi, H. and Cho, H.G., 2016, Paleo-environmental change during the late Holocene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Korea. Applied Clay Science, 134, 55-61. 

  23. Lee, H.G., Park, W.Y., Koo, H.J., Choi, J.Y., Jang, J.K. and Cho, H.G., 2019, Changes in Provenance and Transport Process of Fine Sediments in Central South Sea Mud.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32, 235-2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S.-J., Kim, C.-H., Jun, C.-P., Lee, S.-J. and Kim, Y.K., 2015,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Marine Sediments Cores from Uleung Basin and Hupo Basin, East S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8, 7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i, J., Hu, B., Wei, H., , Zhao, Z., Zou, L., Bai, F., Dou, Y., Wang, L. and Fang, X., 2014, Provenance variations in the Holocene deposits from the southern Yellow Sea: Clay mineralogy evidence. Continental Shelf Research, 90, 41-51. 

  26. Lim D.I., Xu, Z.K., Choi, J.Y., Li, T. and Kim, S.Y., 2015, Holocene changes in detrital sediment supply to the eastern part of the central Yellow Sea and their forcing mechanism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05, 18-31. 

  27. Liu, J., Tuo, S., Colin, C., Liu, J.T., Huang, C.-Y., Selvaraj, K., Chen, C.-T.A., Zhao, Y., Siringan, F.P., Boulay, S. and Chen, Z., 2008, Detrital fine-grained sediment contribution from Taiwan to the northern SOuth China Sea and its relation to regional ocean circulation. Marine Geology, 255, 149-155. 

  28. Liu, Z., Colin, C., Li, X., Zhao, Y., Tuo, S., Chen, Z., Siringan, F.P., Liu, J.T., Huang, C.-Y., You, C.-F. and Huang, K.-F., 2010, Clay mineral distribution in surface sediments of the northeastern South China Sea and surrounding fluvial drainage basins: source and transport. Marine Geology, 277, 48-60. 

  29. Park, C.-H., Jou, S., Hong, J.-K., Han, S.-J. and Isezaki, N., 1997, Geological interpretations based on magnetic anomalies and seismic data offshore Yangyang-Samchuk, the East Sea of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3, 117-1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M.H., Kim, I.S. and Shin, J.B., 2003, Characteristics of the late quaternary tephra layers in the East/Japan sea and their new occurrences in western Ulleung basin sediments. Marine Geology, 202, 135-142. 

  31. Saukel, C., Stein, R., Vogt, C. and Shevchenko, V.P., 2010, Clay-mineral and grain-size distribution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White Sea (Artic Ocean): indicatiors of sediment sources and transport processes. Geo-Marine Letters, 30, 605-616. 

  32. Son, B.K., Kim, H.J., and Ahn, G.O., 2009, Mineral composition of the sediment of ulleung basin, korea.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22, 115-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Suresh, N., Ghosh, S.K., Kumar, R. and Sangode, S.J., 2004, Clay-mineral distribution patterns in late Neogene fluvial sediments of the Subathu sub-basin, central sector of Himalayan foreland basin: implications for provenance and climate. Sedimentary Geology, 163, 265-278. 

  34.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1999) The Geology of Korea. Sigma Press, 802p (in Korean). 

  35. Weaver, C.E., 1989, Clays, Muds, and Shales, Developments in sedimentology, SEPM 44, Amsterdam, Elsevier, 819p. 

  36. Yang. S., Jung, H.S., Lim, D.I., and Li, C.X., 2003, A review on the provenance discrimination of sediments in the Yellow Sea. Earth-Science Reviews, 63, 93-120. 

  37. Yun, S.-H., Kim, G.-B., Joe, Y.-J., Koh, C.-S. and Kwon, Y.-K., 2015, Origin and evolution of geologic basement in the Korean continental margin of East Sea, based on the analysis of seismic reflection profile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1, 37-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Yun, S.-H., Lee, H.-J., Han, S.-J. and Kim, S.-R., 1996, Quaternary sedimentary processes on the East Korean continental slop (Samchuk-Yangyang).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32, 250-2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