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 생쥐모델의 폐약(肺弱)을 유발하기 위한 Bleomycin의 농도 결정 연구
A Study on Concentration of Bleomycin to Induce Lung Fibrosis in Obese Animal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Haehwa Medicine = 혜화의학회지, v.29 no.1, 2020년, pp.1 - 17  

고영미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장순우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  안택원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use model similar to Taeeum-type by inducing Lung fibrosis with bleomycin, and to determine adequate concentration of bleomycin. Methods :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rmal, obesity induced group, and bleomycin administere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상체질의학은 무엇을 바탕으로 체질을 분류하였는가? 사상체질의학은 1894년 동무 이제마가 창시한 한국 고유의 의학으로1 , 體形氣像, 容貌詞氣, 性質材幹, 病證藥理을 바탕으로 체질을 분류해서 질병의 치료를 달리 한다2. 사람은 태양인·태음인·소양인·소음인 네 개의 체질로 나뉘는데, 그 중 태음인은 肝大肺小라고 하여, 氣液을 呼吸하는 門戶인 肝과 肺의 관계로 설명하였다3.
태음인이 가장 비만해지기 쉬운 이유는? 태음인에서 肺는 呼散之氣의 주체가 되고, 吸聚之氣가 강한 태음인에서 上達而呼散하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매우 중요한 장부이다. 태음인은 본래 체질이 肝大肺小하여 呼散之氣가 부족하고 吸聚之氣가 강해서 가장 비만해지기 쉬운 체질이어서 태음인과 비만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4.
폐섬유화 동물 모델 개발에 대한 선행 연구 중 Tashiro의 연구 내용은? 폐섬유화 동물 모델 개발에 대해 다수의 선행 연구가 있다. Tashiro 등의 리뷰 연구6에서는 Bleomycin이 폐손상을 위해 쓰이는 가장 보편적인 약물이며, DNA를 깨뜨려서 세포사를 유발한다고 하였다. Bleomycin의 적정 농도는 1.25~4U/kg이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im JY, Pham D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s a holistic tailored medicin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09;6:11-9. 

  2. Lee JM. Dongeisusebowon. Seoul: Daesungmoonhwasa. 1997;1:5, 4:1,10,29-32. (Korean) 

  3. Lee JM. Dongeisusebowon. 2nd rev. Seoul: Yeogang. 2003:36,278. (Korean) 

  4. Cho MS, Koh GH, Song IB. A clinical study of the obesity patients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Sasang Constitut Med 1998;10(2):485-511. (Korean) 

  5. Kim YH et al. A Study of the Effect on Obesity in Taeeumin Animal-experimental Model Induced Lung Fibrosis with Bleomycin, J Sasang Constitut Med 2016;28(2):147-162. 

  6. Jun Tashiro, Gustavo A. Rubio, Andrew H. Limper et al. Exploring Animal Models That Resemble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Front. Med. 2017. 4, 118. 

  7. Lee JH, Lee EJ, Koh BH. A study on the schematic organization of the sub-classification system of the Taeeumin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2011:23(1):63-78. 

  8. Lee SG et al. The study on the upgrade of QSCCII(II);the study on the re-validity of QSCCII. J Sasang Constitut Med. 2003;15:39-50. (Korean) 

  9. Pak YS, Kim JS, Lee JH, Lee EJ, Koh BH. Associ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 Impaired Lung Function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Middle-aged Adults in Korea. J Sasang Constitut Med 2013;25(3):180-194. (Korean) 

  10. Lee TG, Kwang MW, Lee SK, Choe BG, Koh BH, Song IB.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J Korean Med. 2006;27(2): 14-22. (Korean) 

  11. Moon SH, Sin SH, Kim HJ, Kim JY. A relationship of the obesity and body composition analysis by Sasang constitution. J Oriental Rehab Med. 2002;12(4):1-10. (Korean) 

  12. Lee JM. Dongeisusebowon. Seoul: Daesungmoonhwasa. 1993:19-24, 137-41. (Korean) 

  13. A Study of the Effect on Obesity in Taeeumin Animal-experimental Model Induced Lung Fibrosis with Bleomycin, J Sasang Constitut Med 2016;28(2):147-162 

  14. Friedman JE, Dohm GL, Leggett-Frazier N, Elton CW, Tapscott EB, Pories WP, et al. Restoration of insulin responsiveness in skeletal muscle of morbidly obese patients after weight loss. Effect on muscle glucose transport and glucose transporter GLUT4. J Clin Invest. 1992;89:701-5. 

  15. Meier U, Gressner AM. Endocrine regulation of energy metabolism: review of pathobiochemical and clinical chemical aspects of leptin, ghrelin, adiponectin, and resistin. Clin Chem. 2004;50:1511-25. 

  16. Arita Y, Kihara S, Ouchi N, Takahashi M, Maeda K, Miyagawa J, Hotta K, Shimomura I, Nakamura T, Miyaoka K, et al. Paradoxical decrease of an adipose-specific protein, adiponectin, in obesity.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9;257(1):79-83. 

  17. Halaas JL, Gajiwala KS, Maffei M, Cohen SL, Chait BT, Rabinowitz D, Lallone RL, Burley SK, Friedman JM. Weight-reducing effects of the plasma protein encoded by the obese gene. Science. 1995;269(5223):543-6. 

  18. Eberle D, Hegarty B, Bossard P, Ferre P, Foufelle F. SREBP transcription factors: master regulators of lipid homeostasis. Biochimie. 2004;86:839-48. 

  19. Rosen ED, Walkey CJ, Puigserver P, Spiegelman BM.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adipogenesis. Genes Dev. 2000;14:1293-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