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편적 보육료 지원정책이 여성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미친 영향
The Effects of Universal Child Care Subsidy on Female Labor Supply and Fertility

勞動經濟論集 = Korean journal of labor economics, v.43 no.4, 2020년, pp.143 - 177  

민규량 (한국지식산업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  이철희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이 보육시설공급률에 따라 노동공급과 출산율에 상이한 영향을 미쳤음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육시설공급률이 높을수록 보육료 지원에 의해 보육시설 입소에 유리한 다자녀모의 경력유지 확률이 증가했을 뿐 아니라 첫째 자녀의 출산율이 높아졌고, 국공립 어린이집의 공급률이 높은 경우에는 보육비 지원 이후 둘째 자녀 출산율도 유의하게 높아졌음을 보여준다. 이는 보육료 지원정책의 효과가 출생순위에 따른 보육시설 입소 우선순위, 거주지역 보육시설의 양적, 질적 공급 정도에 따라 달라짐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nvestigates how the provision of full child care subsidy to infants and toddlers differently affected female labor supply and fertility rate depending on the level of supply of child care centers in the place of residence. Our results on labor supply show that the higher the supply rate ...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김숙령.윤다희. 「사회적 지원이 영아기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8권 (2014. 9): 41-62. 

  2. 김우영, 이정만. 「출산장려금의 출산율 제고 효과: 충청지역을 대상으로」. 「노동정책연구」 18권 2호 (2018. 6): 61-98. 

  3. 김정호, 홍석철. 「보육료 지원의 여성 노동공급 및 출산효과 분석」. 「현진권.(편). 「보육정책의 논쟁과 추진과제 : 제3장」 (2013), 한국경제연구원 

  4. 민규량.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이 영유아모의 노동공급에 미친 영향」. 「경제학연구」 67권 3호 (2019.9): 111-163. 

  5. 박창우.송헌재. 「출산장려금 정책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추정」. 「응용경제」 16권 1호 (2014.6): 5-34. 

  6. 서민희.이혜민. 「영유아 교육.교육 재정 증가 추이와 효과: 2004~2014」. 육아정책연구소, 2014. 

  7. 우석진. 「출산율 제고 정책이 한국 여성의 출산, 노동공급, 결혼에 미치는 효과」(2007) 

  8. 우석진.송헌재.김태우. 「보육지원정책의 효과분석 : 거시적 성과 실증분석 및 질 제고 방안 도출을 중심으로」. 국회예산정책처, 2014. 

  9. 유해미 외,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어린이집 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2018. 

  10. 이상협.이철희.홍석철. 「저출산 대책의 효과성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11. 이정원 외,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 조사 보고-」. 보건복지부, 2018. 

  12. 이철희. 「한국의 합계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 혼인과 유배우 출산율 변화의 효과」. 「한국인구학」 35권 1호(2012.12); 117-144. 

  13. 이철희. 「한국의 출산장려정책은 실패했는가?: 2000년~ 2016년 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경제학연구」 66권 3호(2018.9); 5-42. 

  14. 최성은. 「보육료지원과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27권 2호 (2011.5); 85-105. 

  15. 최원석. 「맞벌이 부부.다자녀 가정 자녀, 어린이집 우선 입소」, 「MBN」 (2012.3.23.) 

  16. 최효미.이정원.김진미. 「어린이집.유치원 인프라 격차에 따른 지역 유형화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15. 

  17. 홍석철.정용관.김상신 외. 「2011년도 재정사업 심층평가 보고서-저출산 대응 사업군 심층평가 : 결혼.출산.육아 지원사업 중심으로」. 한국개발연구원, 2012. 

  18. 홍정림. 「보육비 지원 정책의 효과성 분석」. 「한국인구학」 36권 4호(2013.12); 95-118 

  19. Addabbo, Tindara; Caiumi, Antonella; Maccaganan, Anna. "The Allocation of Time within Italian Couples: Exploring its unequal gender distribution and the effect of childcare services." Annals of Economics and Statistics/ANNALES D'ECONOMIE ET DE STATISTIQUE, no.105/106 (June 2012); 209-227. 

  20. Baker, Michael; Gruber, Jonathan; Milligan, Kevin. "Universal Child Care, Maternal Labor Supply, and Family Well-being."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16 (4) (August 2008): 709-745. 

  21. Bauernschuster, Stefan; Hener, Timo; Rainer, Helmut. "Does the Expansion of Public Child Care Increase Birth Rates? Evidence from a Low-fertility country". (Febrary 2013) 

  22. Cohen, Alma; Dehejia, Rajeev; Romanov, Dmitri. "Financial Incentives and Fertility."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95 (1) (March 2013): 1-20. 

  23. Garganta, Santiago, et al. "The Effect of Cash Transfers on Fertility: Evidence from Argentina."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36 (1) (October 2017): 1-24. 

  24. Gauthier, Anne Helene; Hatzius, Jan. "Family Benefits and Fertility: An econometric analysis." Population Studies 51 (3) (June 1997): 295-306. 

  25. Hong, Sok Chul, et al. "Pro-natalist Cash Grants and Fertility: A panel analysis," The Korean Economic Review 32 (2) (December 2016): 331-354. 

  26. Lappegard, Trude. "Family Policies and Fertility in Norway."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Revue Europeenne de Demographie 26 (1) (August 2010): 99-116. 

  27. Lee, Youngwook. "Effects of a Universal Childcare Subsidy on Mothers' Time Allocation."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38 (1) (May 2016): 1-22. 

  28. Luci-Greulich, Angela; Thevenon, Olivier. "The Impact of Family Policies on Fertility Trends in Developed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Revue europeenne de Demographie 29 (4) (July 2013): 387-416. 

  29. Rindfuss, Ronald R., et al. "Child-Care Availability and Fertility in Norwa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36 (4) (December 2010): 725-748. 

  30. Riphahn, Regina T.; Wiynck, Frederik. "Fertility Effects of Child Benefits."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30 (4) (June 2017): 1135-11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