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포형 수문모형과 빈도해석을 이용한 강수량별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s a Function of Precipitation Using a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and Frequency Analysis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30 no.3, 2020년, pp.253 - 268  

김민수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정교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이정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민규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 SWAT-K를 사용한 함양률을 산정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유역 내에서 실제로 관측한 수문곡선 자료를 기반으로 기저유출 분리법을 이용하여 함양량 산정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통상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시 10년 빈도 갈수 시 강수량에 평균함양률을 곱하여 실무에 활용하고 있으나, 실제로 함양률은 강수량이 작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평균 함양률을 사용하게 되면 개발가능량이 과다 산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규모를 고려한 함양량으로 함양률을 재산정하여 개발가능량을 산정하였다. 이 방법을 의왕·과천·성남시에 적용한 결과 소유역별 개발가능량은 기존 방법 대비 55.5~77.6%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recharge rates are estimated using SWAT-K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The validity of the estimated recharge rates were evaluated by employing the baseflow separation method based on observed hydrological data. The exploitable groundwater is typically determined as the 10-year...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9)는 강수량 규모를 고려한 함양량 값을 이용하고 10년 최소강수량의 변화를 고려한 개발가능량을 산정 방법을 새롭게 제안하여 의왕 ‧ 과천 ‧ 성남지역의 표준유역에 대해 적용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표준유역 대신 수문학적으로 구분한 14개 소유역에 대해서 분포형 수문모형에 의한 함양률을 산정한 후, 이를 실제관측값을 이용하여 산정한 기저유출량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소유역별로 강수량과 함양량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를 이용하여 실무에서 사용가능한 개발가능량 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함양률은 강수량이 작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평균 함양률을 사용하게 되면 현재 지침에 나와 있는 10년 빈도 갈수시의 함양량 보다 큰 개발 가능량이 산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 규모를 고려한 함양량으로 함양률을 재산정하여 개발가능량을 산정하였다. 이 방법을 의왕 ‧ 과천 ‧ 성남시에 적용한 결과 해당 지역 소유역별 개발가능량은 기존 방법 대비 55.
  • 이때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는 경우 유역의 수문성분을 계산하여 물수지의 적합성을 검토해야 하는데 통상 한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포형 수문모형을 사용한 함양률을 제시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유역 내에서 실제로 관측한 수문곡선 자료를 이용한 기저유출 분리법을 이용하여 함양량 산정의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지하수 개발가능량 산정 시 강수량의 경우는 10년 최소강수량을, 함양률의 경우에는 10년 평균 함양률 값을 사용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양률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함양량을 구해야 하는데, 이는 어떻게 산정되는가? 함양률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지하수 함양량을 구해야 하며, 이는 기저유출 분리법, 지하수위 변동법, 유역수문모델링을 이용한 물수지 분석법 등을 통해 산정된다(ME, 2019). 지하수개발에 따른 지하수영향조사 등 실무에서는 함양률 산정 비용이 부족하여 지하수관리 기본계획,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등 기존 자료를 활용한다.
지하수 보전 측면에서 보면 평균 함양률보다 작은 값인 10년 빈도 갈수 시 함양률을 사용해야 바람직한 이유는 무엇인가? 실무에서는 10년 빈도 갈수 시 강수량에 평균 함양률을 곱하여 개발가능량을 산정하지만, 실제로 함양량은 강수량이 작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10년 빈도 갈수 시 개발가능량이 크게 산정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하수 보전 측면에서 보면 평균 함양률보다 작은 값인 10년 빈도 갈수 시 함양률을 사용해야 바람직하다(Chung et al.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지하수업무수행지침(ME, 2019)에서 어떻게 정의되는가?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지하수업무수행지침(ME, 2019)에서 “수문순환계가 파괴되지 않고 지하수 장해를 일으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대수층으로부터 양수할 수 있는 지하수량”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지하수관리기본계획(MOCT, 2002; MOLIT, 2017)에서는 10년 빈도 갈수 시 강수량에 함양률을 곱한 값으로 정의하였다. 즉, 개발가능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10년 빈도 갈수 시 강수량을 구하는 것과 강수량 대비 지하수 함양량인 함양률을 산정하는 것이 핵심이다(Ch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rnold, J.G., Allen, P.M., Bernhardt, G., 1993, A comprehensive surface-groundwater flow model, Journal of Hydrology, 142(1-4), 47-69. 

  2. Chung, I.M., Kim, N.W., Lee, J., Lee, J.E., 2014, A method of estimating conservative potential amount of groundwa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6), 1797-1806. 

  3. Chung, I.M., Lee, J., Kim, N.W., 2011,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in musimcheon watershed by using an integrated surface water-groundwater model,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4(5), 433-4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I.M., Lee, J., Lee, J.E., Kim, M.S., 2019, Method of estimating exploitable groundwater amount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precipitation and recharge and the variation of 10-year minimum precipit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2(6), 421-4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osking, J.R.M., 1990, L-Moments: analysis and estimation of distributions using linear combinations of order statistics,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B, 52(1), 105-124. 

  6. Kim, N.W., Chung, I.M., Kim, C., Lee, J., Lee., J.E.,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SWAT-K (Korea), In: Arnold, J. et al. (Eds.),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Global Applications, Special Publication No. 4, World Association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Bangkok, Thailand. 

  7. MO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2, Groundwater management basic plan. 

  8.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Basin groundwater investigation at Uiwang, Gwacheon, and Seongnam region. 

  9.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Guidelines of integrated groundwater survey and groundwater map production and management, 174p. 

  10.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Groundwater management basic plan. 

  11. Nathan, R.J., McMahon, T.A., 1990, Evaluation of automated techniques for base flow and recession analyses, Water Resources Research, 26(7), 1465-1473. 

  12.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Williams, J.R., 200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version 2000,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Texas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Temple, Texa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