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과 저수량 증대 측면의 샌드댐 설계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Sand Dam Design for Safety and Increased Water Storage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30 no.3, 2020년, pp.279 - 288  

서동건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서종원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채정욱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성준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윤태섭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정일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샌드댐이란 하천의 횡단에 보 등을 설치하고 확보된 공간에 모래와 같은 투수성 재료와 물을 함께 채운 후, 공극내의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주로 아프리카 케냐를 중심으로 많은 사례가 보고되고 있는 샌드댐에 관해 본 연구에서는 샌드댐의 구조적 안전과 취수량 증대를 위한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샌드댐의 콘크리트 벽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철근을 가시철근으로 연결, 시공의 편리함을 제시했다. 둘째, 지오텍스타일을 이용하여 증발을 45%에서 8%로 감소시킬 수 있었고 수평방향 투수배출량도 크게 줄일 수 있어 취수량은 기존대비 약 2.4배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밖에도 수질개선을 위한 침사지 설계로 여과효율을 높였고, 토양수분장력계를 통한 모니터링 방법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nd dams are formed by installing beams across rivers and filling the secured space with water and a permeable material, such as sand, which stores the water in available pore space. These structures have mainly been reported in Kenya, Africa. This study proposes a sand dam design that improves st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선 전후의 샌드댐에서 지하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를 유지함을 기반으로 취수용량을 계산했기 때문에 퇴적층이 일정 수준 이상 완전 포화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목표 지하수위 근처 퇴적층의 포화도를 측정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취수량을 조절하고 퇴적층의 포화도를 유지하는 것을 검토한다. 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로 토양 수분장력계라고 하는 토양수분장력계를 선택했다.
  • 그러나 시공 과정이나 운영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존재한다. 따라서 지오텍스타일을 통해 개선된 저수 용량이 이론값과 근사한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퇴적층의 포화도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추가했다.
  • 또한, 저장되어 있는 물이 폐쇄된 형태로 보관되어 어느 정도는 손실로부터 자유롭지만 건조지역이기 때문에 증발산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횡방향으로 침투현상이 발생하여 물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샌드댐의 설계방안을 검토하고 구조적 안전과 수리학적 효율을 높이는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 때문에 샌드댐을 건설하는 시공업체들은 공사기간을 산정할 때 지리적 요건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해 요소를 최소화하고 공사기간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벽체 뒤로 흙더미를 인위적으로 채우는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건설 후 추가답사를 통해 실제 저수량을 판단해야 하는 기존의 샌드댐과는 달리 흙의 종류를 선택하여 미리 채워 줌으로써 설계 전부터 대략적인 저수량의 예측이 가능해 진다.
  • 하지만, 물리적 오염 부분에서는 흙입자를 포함한 비균질 혼합물의 여과를 통해 음용수로 사용한다는 결론 외에 특별한 여과장치를 제시하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단 샌드댐에서 여과된 물을 침사지를 통해 다시 정화시키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침사지란, 하천에서 토사함유량이 많은 용수를 취수하는 경우 토립자를 침전시켜 맑은 물을 얻어내기 위한 수처리 시설이다.
  • 현재 아프리카에 지어지는 샌드댐들은 물 부족 문제에 기여하고 있지만 구조적 안전이나 물저장 효율 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점들이 노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설계자료를 바탕으로 구조적 안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홍수도달 이전에 퇴적층을 형성하는 방법도 제시하였다. 샌드댐의 가장 중요한 목표인 저수량 증대방안을 위해 GCL을 이용한 수평배수 억제방안을 검토하였고, 증발량을 저감하기 위한 지오텍스타일설치를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1) 댐 바닥의 두께는 댐체 높이의 ⅔로 정한다.
  • 3) 댐은 반드시 모든 밑면적이 기반암 위에 설치되어야 한다.
  • 5) 기존 유수의 방향을 바꾸지 말아야 한다.
  • 이를 계산하기 위해 Darcy의 법칙을 사용했다. 샌드댐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접근 가능한 기반암이 존재해야 하므로 퇴적층 하부에 기반암이 존재하여 수직투수가 없다는 가정으로 설계하였다.
  • 따라서 우기 때 주변지역에서 지하로 침투되는 물의 양을 가정하고 그 양이 최대한 함양될 수 있음을 감안하였다. 즉, 댐 주변 0.01 km2의 대수층에서 샌드댐으로 자연함양이 진행된다고 가정하고 케냐의 연강수량 900 mm 중에 25%의 함양률을 적용하여 연간 22,500 m3(일평균 60 m3)의 자연함양이 진행되는 것으로 계산하였다. 이 중에서 수평으로 유출되어 손실되는 양을 Darcy 공식에 의해 계산한 3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샌드댐이란? 샌드댐이란 하천의 횡단에 보 등을 설치하고 확보된 공간에 모래와 같은 투수성 재료와 물을 함께 채운 후, 공극 내의 물을 저장하여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주로 아프리카 지역과 같은 건조 지역에서 연간 드물게 발생하는 홍수류를 저류시켜 토립자를 침전시킨 후, 그 속에 저장된 물을 건조 시에 활용하는 시설로 우리나라에는 아직 시공된 바 없다(Chung and Lee, 2019).
샌드댐과 관련한 설계 매뉴얼(Maddrell, 2018)에서 제시된 설계 Golden Rule은? 1) 댐 바닥의 두께는 댐체 높이의 ⅔로 정한다. 2) 댐은 사다리꼴 모양으로 1미터 연직 위 방향으로 올라갈 때마다 0.3 m의 두께 감소를 허용한다. 단, 바닥면의 최소 두께는 1.5 m를 미달해선 안 된다. 3) 댐은 반드시 모든 밑면적이 기반암 위에 설치되어야 한다. 4) 댐의 날개부분은 중앙여수로부터 1 m 멀어질 때마다 0.2 m의 두께 감소가 가능하다. 5) 기존 유수의 방향을 바꾸지 말아야 한다.
샌드댐의 실제 공사기간은? 샌드댐의 실제 공사기간은 약 두 달 내외로 짧게 걸리지만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벽체 뒤에 퇴적층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수년의 기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또한, 저장되어 있는 물이 폐쇄된 형태로 보관되어 어느 정도는 손실로부터 자유롭지만 건조지역이기 때문에 증발산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횡방향으로 침투현상이 발생하여 물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urne, G., 1984, "Trap-dams": artificial subsurface storage of water, Water International, 9(1), 2-9. 

  2. Chung, I.M., Lee, J., 2019, Preliminary hydrological design for sand dam installation at the valley of Seosang-ri, Chunche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9(6), 725-7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Den Hoedt, G., 1990, Geotextiles, geomembranes and related products, CRC Press, 450p. 

  4. Ertsen, M., Hut, R., 2009, Two waterfalls do not hear each other. Sand-storage dams, scie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Kenya,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Parts A/B/C, 34(1-2), 14-22. 

  5. Guo, J., Han, J., Wang, F., Zhang, X., Han, J., 2016, Quantifying water removal rate of a wicking geotextile under controlled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29(1). 

  6. Guo, J., Han, J., Zhang, X., Li, Z., 2019, Evaluation of moisture reduction in aggregate base by wicking geotextile using soil column tests, Geotextiles and Geomembranes, 47(3), 306-314. 

  7. Hazen, A., 1904, On sedimentation, Transaction of ASCE, 53(980), 45-88. 

  8. Jeon, H., Hong, S., 2004, Development of PVA as geosynthetics,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5(1), 20-30. 

  9. Kim, D.H., Yang, H.J., Kim, K.Y., Yun, T.S., 2015,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evaporation and drainage in wettable and water-repellent sands, Sustainability, 7(5), 5648-5663. 

  10. Maddrell, S., 2018, Sand dams: a practical & technical manual, Excellent Development, 158p.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Criteria of design of pump laboratory facility, KDS 61 45 00. 

  12. Quinn, R., Rushton, K., Parker, A., 2019, An examination of the hydrological system of a sand dam during the dry season leading to water balances, Journal of Hydrology X, 4, 100035. 

  13. Stokes, G.G., 1851, On the effect of internal friction of fluids on the motion of pendulums, Transactions of the Cambridge Philosophical Society, 9, part ii: 8-106, p.52. 

  14. Villani, L., Castelli, G., Hagos, E.Y., Bresci, E., 2018, Water productivity analysis of sand dams irrigation farming in northern Ethiopia, Journal of Agriculture and Environ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112(1), 139-160. 

  15. Yifru, B., Kim, M.G., Chang, S., Lee, J., Chung, I.M., 2018, Numerical modeling of the effect of sand dam on groundwater flow,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8(4), 529-5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