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래온천의 장기적인 수질 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Long-term Water Quality Trend of Dongrae Hot Spring 원문보기

지질공학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30 no.3, 2020년, pp.379 - 397  

전항탁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함세영 (부산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이철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심지층연구단) ,  이종태 ((주)한국중앙온천연구소) ,  이정락 ((주)하나엔지니어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922년부터 2019년까지 동래온천수의 장기적인 온천수 수질 변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Mann-Kendall 분석과 Sen의 기울기에 의해서 동래온천수의 장기적인 수질 특성 변화를 분석하면, 온도, Ca, SiO2, HCO3는 증가 추세를 보이는 반면에 EC, Na, K, Mg, Cl, SO4은 감소 추세를 보이거나 또는 거의 추세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동래온천수의 수질유형은 시간경과에도 변하지 않고 Na-Cl형에 안정적으로 속하고 있다. 2004년, 2009년, 2014년, 2019년의 수질 자료를 이용한 공간 분포도에 의하면, 시기별로 변동을 보이며, 시료 채취 지점에 따라 값의 변화를 보인다. 이는 장기적인 온천수 개발에도 불구하고 동래온천수의 공간적인 수질 특성은 거의 일정하다는 것을 지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Long-term change of water quality in Donrae Hot Spring was characterized using water quality data from 1922 to 2019. According to Mann-Kendall analysis and Sen's slope using long-term water quality data of Dongnae Hot Spring from 1922 to 2019, temperature, Ca, SiO2, and HCO3 show an i...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동래 온천에 대한 수질분석값은 장기적인 수질 변동에 대한 평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22년부터 오랜 기간 동안 축적된 동래온천 수질 자료를 바탕으로 온천수 수질성분의 장지적인 변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1922년부터 2019년까지의 동래온천수 수질의 장기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성분 중에서 Na+ 농도와 Ca+ 농도는 수온과 비교적 높은 상관성(각각 상관계수 0.

가설 설정

  • 또한, 이들을 관입한 맥암류가 나타나며 그 상부는 제4기 충적층으로 피복되어 있다. 맥암류와 충적층 사이에는 부정합이 존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천수란 무엇인가? 온천법 제2조에 의하면, 온천수는 ‘지하로부터 용출되는 25°C 이상의 온수로서 그 성 분이 인체에 해롭지 아니한 것’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온천수 온도는 일반적으로 그 해당 지역의 연평균 기온 보다 5°C 이상 높다(Kim, 2007). 온천수는 기상수, 해수/지층수, 마그마수, 그리고 광물 성분을 포함한다(Ellis and Mahon, 1964; Seyfried and Bischoff, 1981).
온천수나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온천수나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은 그 지역의 지하수와 물ㆍ암석 반응에 따라 지배되며, 수소이온농도, 산화환원 전위, 온도 등과 같은 수리지화학적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Kim and Choi, 1998). 일제강점기 자료(Komada, 1923; Ministry of Interior, 1983)부터 온천법 발효 이후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1992), (주)하나엔지니어링(Hana Engineering, 2003, 2005, 2009, 2014), (주)중앙온천연구소(Korea Jungang Hot Spring Institute, 2019), Lee et al.
동래온천수 SiO2는 수온과 어떤 연관을 보이는가? 62)을 보인다. 한편, SiO2 농도는 29.2~51.7 mg/L를 보이며, 수온과의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천부의 일반지하수는 Ca-HCO3 형을 보이는 반면에(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on, H.T., Moon, H.S., Kim, K.H., Jung, M.C., 1998, Environmental ge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529p. 

  2. Du, J., Liu, C., Fu, B., Ninomiya, Y., Zhang, Y., Wang, C., Wang, H., Sun, Z., 2005, Variations of geothermometry and chemical fluids in the Rehai geothermal field, southwestern China,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42(3-4), 243-261. 

  3. Ellis, A.J., Mahon, W.A.J., 1964, Natural hydrothermal systems and experimental hot-water/rock interaction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28(8), 213-224. 

  4. Han, S.J., Hamm, S.Y., Sung, I.H., Lee, B.D., Cho, B.W., Cho, M.H., 1999,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eothermal water and groundwater in the Dongrae hot-spring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9(3), 207-225. 

  5. Hana Engineering, 2003, 2003 Survey report of hot spring resource in Dongrae district. 

  6. Hana Engineering, 2005, 2005 Survey report of hot spring resource in Dongrae district. 

  7. Hana Engineering, 2009, 2009 Survey report of hot spring resource in Dongrae district. 

  8. Hana Engineering, 2014, 2014 Survey report of hot spring resource in Dongrae district. 

  9. Hem, J.D., 1985, Study and interpretation of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water, U.S. Geological Survey water-supply paper 2254, 263p. 

  10. Jeon, H.T., Hamm, S.Y., Cheong, J.Y., Lee, C.W., Lee, J.T., Lim, W.R., 2018, Analysis of long-term water level change of Dongrae hot spring using time series methods,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54(5), 529-5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eong, C.H., Nagao, K., Kim, K.H., Choi, H.K., Sumino, H., Park, S., Park, C., Lee, J.I., Hur, S.D., 2008, Hydrochemistry and noble gas origin of various hot spring waters from the eastern area in South Korea,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3(1), 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endall, M.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Griffin, London, 202p. 

  13. KIG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992, Survey report of hot spring resource in Dongrae district, Busan City, 92-6(No.88), 234p. 

  14. Kim, K.H., 2007, Hot springs of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238p. 

  15. Kim, K.H., Choi, H.J., 1998, A geochemical study on the thermla water groundwater in the hot spring area,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9(1), 2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mada, H., 1923, Suvey of Dongrae hot spring, report of Korea's geological survey, Vol. 2, Geological Institute of Japan. 

  17. Korea Jungang Hot Spring Institute, 2019, Survey report of hot spring resource in Dongrae district, 318p. 

  18. Lee, C.M., Hamm, S.Y., Lee, C., Choi, S.J., Chung, S.Y., 2014,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geothermal water in relation to its geological and geochemical feature,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9(2), 25-37. 

  19. Lee, S.G., Kim, T.K., Lee, J.S., Lee, T.J., Cho, B.W., Koh, H.J., 2008, Geochemical implication of $^{87}Sr/^{86}Sr$ ratio of high-temperature deep groundwater in fractured granitic aquifer, Geochemical Journal, 42(5), 429-441. 

  20. Lee, S.G., Nakamura, T., Kim, T.K., Ohta, T., Kim, H.C., Lee, T.J., 2009, Geochemical significance of $^{14}C$ age from the Dongrae hot spring water,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42(6), 541-5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G., Nakamura, T., Yoon, Y.Y., Lee, T.J., 2016, Geochemical significance of $^{14}C$ , $^3H$ , ${\delta}^{18}O$ , ${\delta}^2H$ and $^{87}Sr/^{86}Sr$ isotope data for the Dongrae and Haeundae hot spring waters, Busan, South Korea, Geosciences Journal, 20(1), 89-99. 

  22. Lim, J.U., Lee, D.Y., Kim, Y.K., Choi, Y.S., Yum, B.W., Lee, J.M., 1992, Report for hot springs in Dongrae area, Busa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34p. 

  23. Lim, J.U., Lee, S.G., Yum, B.W., Kim, H.C., 1996, Investigation of geothermal resources in Korea,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82p. 

  24. Liu, C.M., Song, S.R., Chen, Y.L., Tsao, S., 2011, Characteristics and origins of hot springs in the Tatun Volcano Group in northern Taiwan, Terrestrial, Atmospheric and Oceanic Sciences, 22(5), 475-489. 

  25.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13(3), 163-171. 

  26. Ministry of Interior, 1983, Hot springs of Korea, 722p. 

  27. Nordstrom, D.K., Ball, J.W., Donahoe, R.J., Whittemore, D., 1989, Groundwater chemistry and water-rock interactions at Stripa,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53(8), 1727-1740. 

  28. Papp, D.C., Nitoi, E., 2006, Isotopic composition and origin of mineral and geothermal waters from Tusnad Bai Spa, Harghita Mountains, Romania, Journal of Geochemical Exploration, 89, 314-317. 

  29. Saether, O.M., De Caritat, P., 1997, Geochemical processes, weathering and groundwater recharge in catchments, A.A. Balkema, Rotterdam, Brookfield, 400p. 

  30. Sanada, T., Takamatsu, N., Yoshiike, Y., 2006, 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long-term variations in rare earth element concentrations in acidic hot spring waters from Tamagawa geothermal area, Japan, Geothermics, 35(2), 141-155. 

  31. Sen, P.K., 1968, Estimates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based on Kendall's tau,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3(324), 1379-1389. 

  32. Seyfried, W.E., Bischoff, J.L., 1981, Experimantal seawater-basalt interaction at $300^{\circ}C$ , 500 bars, chemical exchnage, secondary mineral 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transport of heavy metals, Geochimica et Cosmochimica Acta, 45(2), 135-147. 

  33. Son, C.M., Lee, S.M., Kim, Y.K., Kim, S.W., Kim, H.S., 1978,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Dongrae and weolnae sheets (1: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7p. 

  34. Sung, K.Y., Park, M.E., Koh, Y.K., Kim, C.S., 2001, Evolution and origin of the geothermal waters in the Busan Area, Korea: I. Cooling and dilution by groundwater mixing after heated seawater-rock interaction,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4(5), 447-4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Tamanyu, S., 1985, Geothermal heat in Korea. Geological News, 366, 50-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