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내 선발과 Saltol QTL 분석을 통한 내염성 증진 사료용 벼 선발
Selection of Salt-Tolerant Silage Rice Through in vitro Screening and Saltol QTL Analysi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5 no.3, 2020년, pp.214 - 221  

조철오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김경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안억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박향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최만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전재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서미숙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진민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  김둘이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작물기초기반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와 같은 염류집적 토양에서 재배가 가능한 사료용 벼 품종 개발을 위해 자포니카 우량품종 목양과 내염성 인디카 품종 IR64-Saltol 교배 계통으로부터 기내 선발 방법과 분자마커 분석을 통해 내염성 증진 계통을 선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목양과 IR64-Saltol 품종에 다양한 농도의 NaCl을 처리하여 신초 길이, 근장 및 생체중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목양은 IR64-Saltol과 비교하여 50 mM NaCl 농도에서 신초 길이, 근장 및 생체중이 심한 생육 저해를 보였다. 2. 목양과 IR64-Saltol 교배 54계통 224개체를 이용하여 기내 선발 방법을 통해 50 mM NaCl 처리 후 목양 대비 신초 길이, 근장 및 생체중이 양호한 5계통(767883, 767885, 767949, 767986, 767989)을 선발하였다. 3. 내염성 관련 양적형질인 Saltol QTL의 유래를 확인하기 위한 분자마커 분석 결과와 표현형 결과를 비교하여 IR64-Saltol에서 유래된 Saltol QTL이 이입된 계통들은 목양 유래 Saltol QTL이 혼재된 계통들과 비교하여 염 스트레스 시 신초 길이, 근장 및 생체중이 양호함을 확인하였고, 따라서 IR64-Saltol 유래 Saltol QTL의 이입이 내염성을 증진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4. 내염성 관련 핵심 유전자인 SKC1 발현은 염 처리 후 목양 대비 선발된 5계통 모두에서 높은 발현양을 보이나 목양 유래 QTL이 혼재된 2계통보다 IR64-Saltol QTL만 전이된 3계통에서 보다 높은 발현양을 보였다. 이러한 SKC1의 발현 양상이 선발된 계통들의 내염성에 관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5. 이상의 결과 기내 선발과 분자마커 분석을 통해 선발한 내염성 계통은 간척지와 같은 불량한 환경에서 작물 재배 및 생산이 가능한 내염성 품종 개발의 육종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alinity is one of the major abiotic stressors that inhibits the growth, yield, and productivity of crop pl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rops with increased salt tolerance for cultivation in saline soils such as is found in reclaimed la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높은 바이오매스 수율을 보이는 자포니카 목양 벼와 내염성 인디카 계통 IR64-Saltol 간 교배로 IR64-Saltol 내 Saltol QTL을 목양으로 전이하여 내염성은 유지하면서 우수한 농업 형질을 보이는 교배 계통을 선발하여 간척지와 같은 불량토양에서 재배 가능한 내염성 자포니카 품종 육성을 위해 기내 선발과 분자마커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간척지와 같은 염류집적 토양에서 재배가 가능한 사료용 벼 품종 개발을 위해 자포니카 우량품종 목 양과 내염성 인디카 품종 IR64-Saltol 교배 계통으로부터 기내 선발 방법과 분자마커 분석을 통해 내염성 증진 계통을 선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bu, N. N., S. G. Krishnan, K. K. Vinod, S. L. Krishnamurthy, V. K. Singh, M. P. Singh, R. Singh, R. K. Ellur, V. Rai, H. Bollinedi, P. K. Bhowmick, A. K. Yadav, M. Nagarajan, N. K. Singh, K. V. Prabhu, and A. K. Singh. 2017. Marker aided incorporation of Saltol, a major QTL associated with seedling stage salt tolerance, into Oryza sativa 'Pusa Basmati 1121'. Front. Plant Sci. 8 : 41. doi:10.3389/fpls.2017.00041. 

  2. Bhowmik, S. K., M. M. Islam, R. M. Emon, S. N. Begum, A. Siddika, and S. Sultana. 2007. Identification of salt tolerant rice cultivars via phenotypic and marker-assisted procedures. Pak. J. Biol. Sci. 10(24) : 4449-4454. 

  3. Bizimana, J. B., A. Luzi-Kihupi, W. M. Rosemary, and R. K. Singh. 2017.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for salinity tolerance in rice (Oryza sativa L.) using IR29/Hasawi mapping population. Journal of Genetics. 96(40) : 571-582. 

  4. Bonilla, P., J. Dvorak, D. Mackill, K. Deal, and G. Gregorio. 2002. RFLP and SSLP mapping of salinity tolerance genes in chromosome 1 of rice (Oryza sativa L.) using recombinant inbred lines. Philippine Agricultural Scientist. 85(1) : 68-76. 

  5. Byrt, C. S., B. Xu, M. Krishnan, D. J. Lightfoot, A. Athman, A. K. Jacobs, N. Watson-Haigh, D. Plett, R. Munns, M. Tester, and M. Gilliham. 2014. The Na(+) transporter, TaHKT1;5-D, limits shoot Na(+) accumulation in bread wheat. Plant J. 80(3) : 516-526. 

  6. Chen, Z. C., N. Yamaji, T. Horie, J. Che, J. Li, G. An, and J. F. Ma. 2017. A magnesium transporter OsMGT1 plays a critical role in salt tolerance in rice. Plant Physiol. 174(3) : 1837-1849. 

  7. Cramer, G. R., K. Urano, S. Delrot, M. Pezzotti, and K. Shinozaki. 2011. Effects of abiotic stress on plants: A systems biology perspective. BMC Plant Bio. 11 : 163. doi: 10.1186/1471-2229-11-163. 

  8. Davenport, R. J., A. Munoz-Mayor, D. Jha, P. A. Essah, A. Rus, and M. Tester. 2007. The Na+ transporter AtHKT1;1 controls retrieval of Na+ from the xylem in Arabidopsis. Plant Cell Environ. 30(4) : 497-507. 

  9. Hanin, M., C. Ebel, M. Ngom, L. Laplaze, and K. Masmoudi. 2016. New insights on plant salt tolerance mechanisms and their potential use for breeding. Front. Plant Sci. 7 : 1787. doi: 10.3389/fpls.2016.01787. 

  10. Hoang, T. M. L., T. N. Tran, T. K. T. Nguyen, B. Williams, P. Wurm, S. Bellairs, and S. Mundree. 2016. Improvement of salinity stress tolerance in ric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gronomy. 6(4) : 54. doi:10.3390/agronomy6040054. 

  11. Huyen, L. T. N., L. M. Cuc, A. M. Ismail, and L. H. Ham. 2012. Introgression the salinity tolerance QTLs Saltol into AS996, the elite rice variety of Vietnam. Am. J. Plant Sci. 3 : 981-987. 

  12. Lee, S.-H., B.-D. Hong, Y. An, and H.-M. Ro. 2003. Relation between growth condition of six upland-crops and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Korean J. Soil Sci. Fert. 36(2) : 66-71. 

  13. Lee, S. H., H. S. Bae, S. H. Lee, Y. Y. Oh, and J. H. Ryu. 2015. The society of agricultural research on reclaimed lands. pp. 88-103. 

  14. Mahajan, S. and N. Tuteja. 2005. Cold, salinity and drought stresses: An overview. Arch. Biochem. Biophys. 444 (2) : 139-158. 

  15. Moradi, F. and A. M. Ismail. 2007. Responses of photosynthesis,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ROS-Scavenging systems to salt stress during seedling and reproductive stages in rice. Ann. Bot. 99(6) : 1161-1173. 

  16. Mori, I. K. and T. Kinoshita. 1987. Salt tolerance of rice callus clones. Rice Genetics Newsletter. 4 : 112-113. 

  17. Munns, R. and M. Tester. 2008. Mechanisms of salinity tolerance. Annu. Rev. Plant Biol. 59 : 651-681. 

  18. Murashige, T. and F. Skoog.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 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 Plantarum. 15(3) : 473-497. 

  19. Noori, S. A. S. and T. McNeilly. 2000. Assessment of variability in salt tolerance based on seedling growth in Triticum durum Desf. Genet. Res. Crop Evol. 47 : 285-291. 

  20. Rahman, A., K. Nahar, J. Al Mahmud, M. Hasanuzzaman, M. S. Hossain, and M. Fujita. 2017. Salt stress tolerance in rice: Emerging role of exogenous phytoprotectants. Advances in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Tech, Rijeka, Croatia. pp. 139-174. 

  21. Reddy, I. N. B. L., B. K. Kim, I. S. Yoon, K. H. Kim, and T. R. Kwon. 2017. Salt tolerance in rice: Focus on mechanisms and approaches. Rice Science. 24(3) : 123-144. 

  22. Ren, Z. H., J. P. Gao, L. G. Li, X. L. Cai, W. Huang, D. Y. Chao, M. Z. Zhu, Z. Y. Wang, S. Luan, and H. X. Lin. 2005. A rice quantitative trait locus for salt tolerance encodes a sodium transporter. Nat. Genet. 37(10) : 1141-1146. 

  23. Telem, R. S., S. H. Wani, N. B. Singh, R. Sadhukhan, and N. Mandal. 2016.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 for abiotic stress tolerance in crop plants. Advances in Plant Breeding Strategies: Agronomic, Abiotic and Biotic Stress Traits. Springer, Cham. pp. 327-343. doi:10.1007/978-3-319-22518-0_9. 

  24. Thomson, M. J. and A. M. Ismail. 2016. Development of salt tolerant IR64 near isogenic lines through marker-assisted breeding. J. Crop Sci. Biotec. 19(5) : 373-381. 

  25. Thomson, M. J., M. de Ocampo, J. Egdane, M. A. Rahman, A. G. Sajise, D. L. Adorada, E. Tumimbang-Raiz, E. Blumwald, Z. I. Seraj, R. K. Singh, G. B. Gregorio, and A. M. Ismail. 2010. Characterizing the Saltol quantitative trait locus for salinity tolerance in rice. Rice 3 : 148-160. 

  26. Vinod, K., S. G. Krishnan, N. N. Babu, M. Nagarajan, and A. Singh. 2013. Improving salt tolerance in rice: Looking beyond the conventional. Salt Stress in Plant: Signalling, Omics and Adaptations. Springer. New York. pp. 219-260. 

  27. Vu, H. T. T., D. D. Le, A. M. Ismail, and H. H. Le. 2012. Marker-assisted backcrossing (MABC) for improved salinity tolerance in rice (Oryza sativa L.) to cope with climate change in Vietnam. Aust. J. Crop Sci. 6(12) : 1649-1654. 

  28. Walia, H., C. Wilson, A. M. Ismail, P. Condamine, and T. J. Close. 2007. Genome-wide transcriptional analysis of salinity stressed japonica and indica rice genotypes during panicle initiation stage. Plant Mol. Biol. 63 : 609-623. 

  29. Welch, J. R., J. R. Vincent, M. Auffhammer, P. F. Moya, A. Dobermann, and D. Dawe. 2010. Rice yields in tropical/ subtropical Asia exhibit large but opposing sensitivities to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s. Proc. Natl. Acad. Sci. U. S. A. 107(33) : 14562-14567. 

  30. Xie, J. H., F. J. Zapata-Arias, M. Shen, and R. Afza. 2000. Salinity tolerant performance and genetic diversity of four rice varieties. Euphytica. 116 : 105-110. doi:10.1023/A: 1004041900101. 

  31. Zhang, G.-Y., Y. Guo, S.-L. Chen, and S.-Y. Chen. 1995. RFLP tagging of a salt tolerance gene in rice. Plant Sci. 110 : 227-234. 

  32. Zhang, Y., J. Fang, X. Wu, and L. Dong. 2018. $Na^+/K^+$ balance and transport regulatory mechanisms in weedy and cultivated rice (Oryza sativa L.) under salt stress. BMC Plant Biol. 18 : 375. doi:10.1186/s12870-018-158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