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라이신(QPM) 주요 계통과 교잡계의 생육특성 및 아미노산 조성 변이
Growth Characteristics and Variation in Amino Acids Composition of Quality Protein Maize Lin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5 no.3, 2020년, pp.222 - 230  

배환희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손범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고영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박혜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이기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하준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김미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김선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  백성범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부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non-QPM인 KS140, QPM인 CML 계통 및 교잡계의 생육 특성과 단백질, 지방산 등 일반성분,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국내 적응 QPM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1. 출사일수는 CML 계통이 78~90일, CML 교잡계가 81~87일 이었고 평균 출사일 수는 KS140, CML 계통 및 교잡계 모두 85일 이었다. CML계통 중 CML191이 간장과 착수고 모두 155 cm, 72 cm로 가장 낮았고, CML529의 간장이 242 cm, CML164의 착수고가 139 cm로 가장 높았다. 과피색은 KS140이 노란색, CML 계통은 흰색과 노란색이었고, 교잡계는 CML 계통이 흰색인 경우에는 노란과 흰색의 중간색을 나타내었다. 2. CML 계통의 단백질 함량은 9.1~12.1% 범위로 CML153이 가장 적었고 CML191이 가장 많았다. CML 교잡계의 단백질 함량은 9.1~11.1% 범위로 KS140/CML170이 가장 적었고, KS140/CML188이 가장 많았다. 3. 지방산의 조성비는 KS140, CML 계통과 교잡계 모두 C18:2 (linoleic acid)가 가장 높았고 C18:1 (oleic acid), C16:0 (palmitic acid), C18:0 (stearic acid), C18:3 (linolenic acid) 순이었다. CML 계통의 평균 포화지방산 비율은 21.4%였으며 불포화지방산 조성비는 78.6%로 KS140 보다 포화지방산 조성비가 다소 높았다. 4. 아미노산 조성비 중 KS140, CML 계통 및 교잡계에서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lysine의 조성비는 non-QPM인 KS140이 2.51%, QPM인 CML 계통 평균이 4.83%였으며 CML155가 6.92%로 가장 높았다. CML 교잡계 평균은 3.46%였고 KS140/CML164와 KS140/CML170의 lysine 조성비는 각각 4.18%과 4.99%로 교배하기 전의 QPM계통인 CML164, CML170보다 높았다. 5. 아미노산 조성에 따라 시험 계통들은 크게 두 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CML 계통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CML155, 180, 181, 191을 포함하는 Group은 lysine을 비롯하여 histidine, glycine, threonine, serine의 조성비가 높았고, CML153, 157, 164, 170, 177을 포함하는 Group은 아미노산 조성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ize grain quality can be improved by raising lysine content, which is an essential amino acid present in insufficient quantities in normal maize. Maize varieties with such modifications are known as quality protein maize (QPM). To date, no Korean maize cultivars contain high amounts of lysine. To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6) 아직까지 QPM 품종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QPM 계통의 국내 적응성 검토 및 국내 기본식물과 교배를 통해 얻어진 교잡계들의 생육특성과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를 검토하여 국내에 적응성이 높은 QPM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non-QPM인 KS140, QPM인 CML 계통 및 교잡계의 생육 특성과 단백질, 지방산 등 일반성분,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국내 적응 QPM 신품종 육성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abu, R. and B. M. Prasanna. 2013. Molecular breeding for quality protein maize (QPM). Genomics of plant genetic resources,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Dordrecht. pp 489-505. 

  2. Choi, B. H. and K. R. Park. 1977. Effect of "opaque-2" corn on the weight of white rats. Korean J. Crop Sci. 22(1) : 16-19. 

  3. Graham, G. G., J. Lembcke, and E. Morales. 1990. Quality protein maize as the sole source of dietary protein and fat for rapidly growing young children. Pediatrics 85 : 85-91. 

  4. Freitas, I. R. A., F. Gananca, T. M. Santos, M. A. A. Carvalho, M. Motto, and M. C. Vieira. 2005. Evaluation of maize germplasm based on zein polymorphism from the archipelago of Madeira. Maydica 50(2) : 105-112. 

  5. Gunaratna, N. S., H. De Groote, P. Nestel, K. V. Pixley, and G. P. McCabe. 2010. A meta-analysis of community-level studies on quality protein maize. Food Policy 35 : 202-210. 

  6. Huang, S., W. R. Adams, Q. Zhou, K. P. Malloy, D. A. voyles, J. Anthony, A. L. Kriz, and M. H. Luethy. 2004. Improving nutritional quality of maize proteins by expressing sense and antisense zein genes. J. Agric. Food Chem 52 : 1958-1964. 

  7. Kim, S. L., B. Y. Son, T. W. Jung, H. G. Moon, and J. R. Son. 2006. Characterization on fatty acids and amino acids of quality protein maize lines. Korean J. Crop Sci. 51(5) : 458-465. 

  8. Kim, S. L., M. J. Kim, G. H. Jung, Y. Y. Lee, B. Y. Son, J. T. Kim, J. S. Lee, H. H. Bae, Y. S. Go, S. G. Kim, and S. B. Back. 2018.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ytosterols in maize kernel and cob. Korean J. Crop Sci. 63(2) : 131-139. 

  9. Leite, G. C., A. L. Neto, J. A. Vettore, P. Yunes, and P. Arruda. 1999. The prolamins of sorghum, coix and millets P.R. Shewry, R. Casey (Eds.), Seed protei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Dordrecht. pp, 141-157. 

  10. MAFRA. 2018.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p. 588, p. 311. 

  11. Pang, Z., J. Chong, S. Li, and J. Xia, 2020. MetaboAnalystR 3.0: Toward an Optimized Workflow for Global Metabolomics. Metabolites 10(5) : 186. 

  12. Prasanna, B. M., S. K. Vasal, B. Kassahun, and N. N. Singh. 2001. Quality protein maize. Current. Sci. 81 : 1308-1319. 

  13. Shewry, P. R. 2007. Improving the prote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cereal grain. J. Cereal Sci. 46 : 239-250. 

  14. Sofi, P. A., A. Shafiq, A. Wani, G. Rather, and H. Shabir. 2009. Review article: Quality protein maize: Genetic manipulation for the nutritional fortification of maize. J. Plant Breed. Crop Sci. 1(6) : 244-253. 

  15. Son, B. Y., J. T. Kim, J. S. Lee, S. B. Back, S. L. Kim, J. H. Ku, J. J. Hang, S. M. Cha, and Y. U. Kwon. 2012. Chemical composition of seed from inbred lines and hybrids of maize recently developed in Korea. Korean J. Crop Sci. 57(2) : 188-194. 

  16. Vasal, S. K. 2001. Quality protein maize development: An exciting experience. In Integrated approaches to higher maize productivity in the new millennium, Proceedings of the seventh eastern and southern Africa regional maize conference, Nairobi, Kenya, 11th- 15th February 2001 : pp. 3-6. 

  17. Vivek, B. S., A. F. Krivanek, N. Palacios-Rojas, S. Twumasi-Afriyie, and A. O. Diallo. 2008. Breeding quality protein maize (QPM): Protocols for developing QPM cultivars. CIMM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