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의 구강위생상태와 구취자각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Oral Hygiene Status and Self-perception Halitosi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0, 2020년, pp.227 - 235  

정수진 (건양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구강위생상태와 구취자각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대학생들의 올바른 구강위생관리 습관 및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고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자료 조사는 2019년 9월 23일부터 2019년 12월 6일까지 대전 K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실습을 위해 방문한 참여자 중 23세 이하의 대학생 32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치아부착물 정도는 B등급,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는 '보통', 설태량은 '양호'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취자각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은 설태량과 치아부착물 등급과 학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위생상태와 구취자각은 서로 연관성이 있었으며, 구강위생상태가 구취자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구강건강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흥미롭고, 실천 가능한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과 홍보방안 마련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duce changes in the correct oral hygiene management habits and attitudes of university students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ygiene status and of self-perception halitosi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esent basic data to improve oral health. The data 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습관은 대부분 장기간에 걸쳐 형성되기 때문에 잘못된 습관이 몸에 배기 전에 올바른 습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17], 성인기에 비하여 건강습관이 확고히 형성되지 않아 건강행위에 대한 수정 가능성이 크고, 정착된 건강습관은 삶의 기반이 되기도 하는 시기인 대학생 시기에[18]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강건강관리가 강조되어야 한다[19]. 또한 대학생 시기의 구강보건행태는 유년기부터 청년기까지의 구강관련경험과 통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성인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20],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올바른 구강위생관리 습관 및 태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임상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의 치아부착물 정도와 구강 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 및 설태량을 평가하고 이러한 구강위생환경이 구취자각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조사하여 대학생들의 구강위생상태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위치한 K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치석제거 실습을 위해 방문한 참여자 중 32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와 구취자각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구강위생상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강 내를 직접 검사하여 치아부착물의 정도와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PHP index) 및 설태량을 평가하고, 구강위생상태가 구취자각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조사함으로써 대학생들의 올바른 구강위생관리 습관 및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여 구강건강을 향상시키고 증진시킬 수 있는 임상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부착물은 무엇에 의해 형성되는가? 치아부착물은 구강 내 세균과 음식물 등에 의해 형성되며, 치면세균막 등의 연성부착물과 경성부착물인 치석으로 구분되는데, 연성부착물인 치면세균막은 치아우식증과 치은 및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이며[6], 치석은 치면세균막이 무기질화된 물질로 치주질환의 진행에 있어서 중요하고, 표면의 다공성으로 치면세균막의 저장고 역할을 함으로 구취의 원인이 된다[7].
구강환경관리능력지수는 구취와 어떤 연관이 있는가? 본 연구결과 구강위생상태와 구취자각 간에는 연관성이 있었으며, 구강위생상태가 구취자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향상되고 증진될 수 있도록 대학생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 개발과 적극적인 홍보방안 마련이 이루어진다면 대학생들의 구강건강수준은 더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치아우식증과 치은 및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치아부착물은 구강 내 세균과 음식물 등에 의해 형성되며, 치면세균막 등의 연성부착물과 경성부착물인 치석으로 구분되는데, 연성부착물인 치면세균막은 치아우식증과 치은 및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이며[6], 치석은 치면세균막이 무기질화된 물질로 치주질환의 진행에 있어서 중요하고, 표면의 다공성으로 치면세균막의 저장고 역할을 함으로 구취의 원인이 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 J. Jang, J. A. Jung & E. S. Jeon. (2006). Relation Factors of Oral Health Behavior of Junior College in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6(4), 387-402. 

  2. G. R. Kim, M. Kim & Y. S. Kim. (2010). Undergraduates' oral health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relative to oral health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4(2), 178-186. 

  3. H. S. Park. (2008). Effect of oral hygiene controllability on the subjective oral malod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medicine, 33(2), 147-158. 

  4. I. J. Chang. (2018). Association between factors related with mastication ability,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5. S. K. Song. (2015). A Study of Between Health Student and Non-health Student Compare Oral Health Behavior and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9(2), 219-226. DOI : 10.21184/jkeia.2015.06.9.2.219 

  6. B. Y. Won et al. (2016). Oral Prophlaxis, Seoul : Cheong-gu Cultural History. 

  7. S. J. Jung & M. R. Lee. (2016). A Study on Halitosis by Oral Care Behavior and the Oral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1), 629-637. DOI : 10.5762/KAIS.2016.17.1.629 

  8. B. K. Cho, H. K. Kwon, K. S. Kim, Y. N. Kim & D. J. Caplan. (2001). A two-year longitudinal study of dental caries in permanent first molars of Korean elementary schoolchildren. Journal of public health dentistry, 61(2), 120-122. DOI : 10.1111/j.1752-7325.2001.tb03376.x 

  9. H. E. Shin, M. J. Cho, E. J. Park, Y. H. Choi & K. B. Song. (2019). Association between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and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an investigation of influential factors of the PHP index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3(1), 21-25. DOI : 10.11149/jkaoh.2019.43.1.21 

  10. M. A. Jung, E. S. Lee. (2008). A study on the intraoral factor related to oral malod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8(1), 119-131. 

  11. S. C. Shin & K. S. Lee. (1999). Anepidemiological study on malodor status in Korean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3(4), 343-359. 

  12. A. I. Spielman, P. Bivona & B. R. Rifkin. (1996). Halitosis: A common oral problem. New York state dental journal, 62(10), 36-42. 

  13. M. R. Lee, S. J. Jung & M. G. Ji. (2017). Self-Perception Halitosis of Firefighters and the Halitosis-Relevant Fused Facto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37-46. DOI : 10.22156/CS4SMB.2017.7.3.037 

  14. G. S. Han. (2013). Self-perceived oral malodor symptoms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adult i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3(3), 475-480. DOI : 10.13065/jksdh.2013.13.3.475 

  15. M. J. Cho et al. (2010). Dental Prophylaxis. Seoul : Komoonsa Publishing. 

  16. F. Romano, E. Pigella, N. Guzzi & M Aimetti. (2010). Patient' Self-Assessment of oral Malodour and Its Relationship with organoleptic Scores and Oral Cond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al Hygiene, 8(1), 41-47. DOI : 10.1111/j.1601- 5037.2009.00368 

  17. I. S. Park & H. J. Youn. (2013). Influential Factors for the Oral Health practi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and Non-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7), 243-253. DOI : 10.14400/JDPM.2013.11.7.243 

  18. M. S. Park. (2011). The Effect of Oral Health Behavior by Oral Health Belief of Student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1(2), 107-119. 

  19. N. I. Cho, S. Y. Park, H. S. Lee & H. W. Oh.(2013).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nursing home employees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7(1), 16-24. DOI : 10.11149/jkaoh.2013.37.1.16 

  20. G. C. Jeong, H. S. Lee & S. N. Kim. (2003). A Study on the Dental Services Utilization by Application of the Andersen Model in Students of Some Korean Univers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27(3), 357-373. DOI : 10.15207/JKCS.2017.8.3.071 

  21. S. B. Lee & J. H. Lee. (2018). Comparison of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among the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oral health educationed.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 8(4), 711-720. DOI : 10.35873/ajmahs.2018.8.4.065 

  22. S. B. Lee & J. H. Lee. (2019).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Maj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 9(6), 509-516. DOI : 10.35873/ajmahs.2019.9.6.049 

  23. S. A. Lim. (2019). Convergence Study on Correlation about Oral Health Belief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Perception Factor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9), 201-209. DOI : https://doi.org/10.22156/CS4SMB 

  24. S. U. Yoon & E. S. Lee. (2017). Convergence research on tooth brushing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and foreign students in Some area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3), 71-78. DOI : 10.15207/JKCS.2017.8.3.071 

  25. M. S. Yoon & H. J. Youn. (2008). A Study on Subjective Symptoms of a Oral Malodor in Korean Adults.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8(3), 123-129. 

  26. H. J. Kwon, J. W. Park, M. S. Yoon, S. K.Chung & M. D. Han. (2008). Dental hygiene and dental educat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halitosis in Korean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2(2), 231-242. 

  27. P. A Ratcliff & P. W. Johnson. (1999). There lationship between oral malodor,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Journal of Periodontology, 70(5), 485-489. DOI : 10.1902/jop.1999.70.5.485 

  28. H. Miyazaki, S. Sakao & Y. Katoh. (1995). Correlation between volatile sulphur compounds and certain oral health measurements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periodontology, 66(8), 679-684. DOI : 10.1902/jop.1995.66.8.679 

  29. G. Delanghe, J. Ghyselen, D. Van Steenberghe & L. Feenstra. (1997). Multidisciplinary breathodour clinic. The Lancet, 350(9072), 187. DOI : 10.1016/S0140-6736(05)62354-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