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F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칠보 유약 분말의 구상화 및 적층 제조 공정 적용
Spheroidization of Enamel Powders by Radio Frequency Plasma Treatment and Application to Additive Manufacturing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7 no.5, 2020년, pp.388 - 393  

김기봉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 ,  양동열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 ,  김용진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 ,  최중호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 ,  곽지나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 ,  정우형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분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amel powders used traditionally in Korea are produced by a ball-milling process. Because of their irregular shapes, enamel powders exhibit poor flowability. Therefore, polygonal enamel powders are only used for handmade cloisonné crafts. In order to industrialize or automate the proc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내부에서 플라즈마 전력은 10 kW로 고정하였으며 온도는 대략 10,000K 이상으로 유지된다. 구상화 분말의 제조 수율을 높이기 위해 플라즈마 발생 영역과 분말 공급부의 거리를 11 cm에서 12 cm로 증가시켰다. 분말이 플라즈마를 만나게 되면 빠르게 표면이 녹아 형상이 구형으로 변하며 자유 낙하를 통해 collector에 모이게 된다.
  •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 형상의 상용 칠보 유약 분말에 RF 플라즈마 공정을 적용하여 구형 유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구형 유약 분말의 입도, 형상, 조성, 색 특성, 유동도 등을 불규칙 다각형 유약 분말(상용 분말)과 비교 분석하였다. 레이저를 이용한 적층 제조의 한 종류인 PBF(powder bed fusion) 공정으로 구형 유약 분말을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통해 칠보 공예 제품의 제조에 적층 제조 공정이 적합한 지를 고찰하였다.
  • 그림 4와 같이 45 μm 이하, 45~106 μm, 106~212 μm으로 분급하여 분말의 크기 별로 SEM 이미지를 통하여 유약 분말의 형상 및 크기를 확인하였다.
  • 다만 그림 5 (d) 45μm 이하 용융 시편이 살짝 옅은 색을 띄었기 때문에 정밀한 분석을 위해 분광광도계를 활용하여 파장의 영역을 확인하였다.
  • 구형 유약 분말의 입도, 형상, 조성, 색 특성, 유동도 등을 불규칙 다각형 유약 분말(상용 분말)과 비교 분석하였다. 레이저를 이용한 적층 제조의 한 종류인 PBF(powder bed fusion) 공정으로 구형 유약 분말을 사용하여 간단한 구조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통해 칠보 공예 제품의 제조에 적층 제조 공정이 적합한 지를 고찰하였다.
  • 그러나 상용 칠보 유약 분말은 분쇄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 불규칙한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유동도가 낮다. 본 연구에서는 RF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하여 불규칙한 다각형 형상의 칠보 유약 분말을 구상화하였고, 기존 상용 분말과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106~212 μm 크기의 구형 유약 분말을 이용하여 간단한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함으로써 칠보 공예에 적층 제조 공정이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분말의 유동도를 측정하기 위해 유약을 3가지 입도로 분급하였다. 그림 4와 같이 45 μm 이하, 45~106 μm, 106~212 μm으로 분급하여 분말의 크기 별로 SEM 이미지를 통하여 유약 분말의 형상 및 크기를 확인하였다.
  • 분말의 형상과 입도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IT-300, Jeol, Japan)과 레이저 입도 분석기(LS133 20, Beckman Coulter, USA)의 건식 모듈을 사용하였다. 조성과 색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X-ray 형광분석기(XRF-1800, SHIMADZU, Japan)와 자외/가시선 분광광도계(V-670, JASCO, Japa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실제 PBF 공정 실험은 laser power는 80W, laser scan speed는 60 mm/s에서 진행하였으며, hatch space는 0.2 mm, laser spot size는 50 μm, layer thickness는 70μm로 설정하였다.
  • 유약 분말 구상화 처리는 RF thermal plasma system(PL-35LS, TEKNA, Canada)을 사용하였다. 유약 원료 분말(2000 series 2850, Thompson enamel, USA)은 불규칙 다각형의 빨간색 유약 분말을 사용하였다.
  • 적층공정에 활용될 분말의 최적 입자 크기를 선별하기 위해서 325, 150, 65 mesh(45, 106, 212 μm) 실험용 체(sieve)를 이용하여 분급하였다.
  • 분말의 형상과 입도를 확인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IT-300, Jeol, Japan)과 레이저 입도 분석기(LS133 20, Beckman Coulter, USA)의 건식 모듈을 사용하였다. 조성과 색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X-ray 형광분석기(XRF-1800, SHIMADZU, Japan)와 자외/가시선 분광광도계(V-670, JASCO, Japa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X-ray 형광분석기는 filament에서 나온 전자가 시료에 충돌하여 발생한 특정 형광 X선의 파장을 탐지하여 구성 성분을 분석하는 장비이다.

대상 데이터

  • 구조물은 간단한 격자 모양과 재료연구소의 약자인 ‘KIMS’를 약 1.5 mm 높이로 제작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 형상의 상용 칠보 유약 분말에 RF 플라즈마 공정을 적용하여 구형 유약 분말을 제조하였다. 구형 유약 분말의 입도, 형상, 조성, 색 특성, 유동도 등을 불규칙 다각형 유약 분말(상용 분말)과 비교 분석하였다.
  • 분말을 100~110°C에서 1시간 건조시켰으며 측정 시 회당 25g의 분말을 사용하였다.
  • 적층공정에 활용될 분말의 최적 입자 크기를 선별하기 위해서 325, 150, 65 mesh(45, 106, 212 μm) 실험용 체(sieve)를 이용하여 분급하였다. 유약 분말과의 접촉 및 결합성을 좋게 하기 위해 베이스 기판은 고순도의 알루미나 디스크를 사용하였다. 적층 제조 장비(Mlab cusing, GE Additive, USA)는 laser power는 최대 100W까지 상승 가능하고, 부품 제작 부피가 90 × 90× 80 mm3(x, y, z)이다.
  • 유약 분말 구상화 처리는 RF thermal plasma system(PL-35LS, TEKNA, Canada)을 사용하였다. 유약 원료 분말(2000 series 2850, Thompson enamel, USA)은 불규칙 다각형의 빨간색 유약 분말을 사용하였다. 그림 1은 유약 분말 구상화 처리에 사용된 RF 플라즈마 장비의 공정 모식도이다.
  • 입자 크기, 형상에 따른 유동도 및 파장에 따른 반사도 데이터를 기준으로 3차원 적층제조 공정을 적용할 유약 분말을 106~212 μm 크기의 구형 유약 분말로 선택하였다.
  • 적층 제조 공정에 사용한 소재는 106~212 μm 크기의 구형 빨간색 유약 분말이다.

이론/모형

  • 분말의 구상화 처리 전 후 흐름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MPIF(Metal Powder Industries Federation) Standard 03’ 규격인 Hall flowmeter를 사용하였다[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약 분말의 형상을 불규칙 다각형에서 구형으로 개선해서 유동성을 확보해야 하는 이유는? 칠보 공예의 산업화 및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2차원 인쇄나 3차원 적층 제조 공정을 적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유약 분말의 형상을 불규칙 다각형에서 구형으로 개선하여 유동성을 확보해야한다. 이는 구형 유약 분말이 불규칙 다각형에 비해서 유동성이 좋아 잉크, 페이스트 제조 시 유변학적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PBF(powder bed fusion) 공정의 경우 기판에 분말을 한 층씩 적층하여 레이저 조형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공정에도 구형 분말이 더 적합하다[6-10].
칠보 공예란? 칠보 공예는 금, 은, 동 기판의 재료 위에 유약 분말을 올려놓고 용해시켜 표면을 다양한 색상으로 장식하는 공예 기법으로 일반 금속이나 보석이 가지고 있는 색상의 한계를 넘어 다채로운 색감과 기법으로 여러 가지 표현이 가능한 색채 예술이다[1]. 표면 장식으로 완성된 칠보 공예는 반영구적 보존성을 지니게 된다[1].
유악분말을 사용할 때 알칼리 산화물을 넣는 이유는? 칠보 공예에 사용되는 유약 분말은 유리의 주성분인 SiO2로 되어있으며 SiO2만으로 유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1800°C 이상의 고온이 필요하기 때문에 용융 온도를 낮추기 위해 1족 알칼리 원소인 K, Na계 산화물을 넣어 제작하고 있다[2, 3]. 알칼리 산화물들은 SiO2의 강한 공유결합을 끊어 낮은 온도에서 용융이 가능케 하며 가공이 쉬워진다. 광택을 내며 기판 위에 접착 시킬 수 있게 Pb3O4와 H3BO3가 들어가기도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Y. S. Noh: Beautiful Color Grilled Cloisonne Art, Mijinsa, Seoul (2000) 49. 

  2. W. D. Kingery, H. K. Bowen and D. R. Uhlmann: Introduction to Ceramics, Bwiley, New York (1976) 208. 

  3. J. A. Dean: The Analytical Chemistry Handbook McGraw Hill, Inc., New York (1995) 15. 

  4. Y. H. Kim: Cloisonne Craft that Creates Mysterious Colors, Hollym, Seoul (1982) 38. 

  5. Cloisonne Craft Practi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Seoul (2007) 56. 

  6. J. C. Yun, J. H. Choe, H. N. Lee, K. B. Kim, S. S. Yang, D.-Y. Yang, Y. J. Kim, C. W. Lee and J. H. Yu: J. Korean Powder Metall., 24 (2017) 195. 

  7. S. E. Brika, M. Letenneur, C. A. Dion and V. Brailovski: Additive Manuf., 31 (2020) 100929. 

  8. S. S. Yang, J. N. Gwak, T. S. Lim, Y. J. Kim and J. Y. Yun: Mater. Trans., 54 (2012) 2313. 

  9. R. S. Khmyrov, S. N. Grigoriev, A. A. Okunkova and A. V. Gusarov: Phys. Procedia, 56 (2014) 345. 

  10. P. Mellin, O. Lyckfeldt, P. Harlin, H. Brodin and A. Strondl: Metal Powder Report, 72 (2017) 322. 

  11. L. Achelis and V Uhlenwinkel: Mater. Sci. Eng., 15 (2008) 477. 

  12. C. W. Yang and M. Busse: Adv. Eng. Mater., 6 (2004) 391. 

  13. D. Harbec, F. Gitzhofer and A. Tagnit-Hamou: Powder Technol., 214 (2011) 356. 

  14. C. Tendero, C. Tixier, P. Tristant and J. McTiernam: Int. J. Powder Metal., 26 (1990) 149. 

  15. Z. Karoly and J. Szepvolgi: Chem. Eng. Process., 44 (2005) 221. 

  16. MPIF Standard 03, Determination of Flow Rate of Freeflowing Metal Powders Using the Hall Apparatu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