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태도유사성과 집단소속에 따른 대인매력
Effects of Attitude Similarity and Group Membership on Interpersonal Attrac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257 - 266  

석동헌 (대구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대인간의 태도유사성과 비유사성이 대인매력에 미치는 효과가 서로간의 집단소속(내집단/외집단)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태도유사성: 유사/비유사) × 2(집단소속: 내집단/외집단) 피험자간 실험설계를 통해 대인매력에 대한 영향을 검증했다. 연구결과, 태도유사성의 주효과가 유의하여 태도가 비유사한 사람보다 태도가 유사한 사람에 대한 대인매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두 독립변인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는데, 참가자들은 상대방의 태도가 나와 유사할 때 그 사람이 외집단 구성원일 때보다 내집단 구성원일 때 더 큰 매력을 느꼈고, 상대방의 태도가 나와 비유사할 때는 그 사람이 외집단 구성원일 때보다 내집단 구성원일 때 더 큰 반감을 느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에서 팀을 구성할 때 구성원들 간의 태도유사성을 고려하는 것이 조직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함으로써 조직과 실무 현장에 기여할 수 있다. 향후에 본 연구를 팀 수행과 조직 생산성 향상 연구로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ttitude similarity and ingroup/outgroup membership on interpersonal attraction. 2(Attitude similarity: Similar/Dissimilar) × 2(Group membership: Ingroup/Outgroup) between-subject design was used. The results revealed the s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사람들이 자신과 태도가 비슷한 사람을 좋아하고 태도가 상이한 사람을 좋아하지 않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많은 실증 연구를 통해 검증된 바 있다[1-4]. 그런데, 나와 태도가 유사한 사람이 우리 집단(즉, 내집단; ingroup) 구성원인 경우와 다른 집단(즉, 외집단; outgroup) 구성원인 경우에 그들에 대한 매력도에서 차이가 있을까? 역으로, 나와 태도가 매우 상이한 사람이 내집단 구성원인 경우와 외집단 구성원인 경우에 그들에 대해 싫어하는 정도에서 차이가 있을까? 예를 들면, 어떤 대학생이 본인이 지지하는 정당의 집회에서 만난 같은 학교 학생과 다른 학교 학생 중 누구를 더 좋아할 것인가? 또한, 내가 싫어하는 정당의 집회에 참가하고 있는 우리 학교 학생과 다른 학교 학생 중 누구를 더 싫어할 것인가? 본 논문에서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태도유사성과 매력 그리고 태도비유사성과 혐오 간의 일차적인 관계를 입증하는데 주로 집중해 왔고 또 두 가설의 상대적인 설명력의 비교에만 집중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집단소속과 같은 대상자의 특징을 달리 조작하여 이에 의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은 이 태도유사성 및 비유사성과 관련된 가설들을 적용할 때 유의해야할 점이 무엇인지를 알려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한 연구라 판단된다.
  • 사람들이 가진 태도와 그 사람에 대한 매력의 관련성은 태도유사성-매력가설(attitude similarity-attraction hypothesis; [1])과 태도비유사성-혐오 가설(attitude dissimilarity-repulsion hypothesis; [2])을 통해 잘 요약될 수 있는데, 두 가설 모두 사람들이 자신과 유사한 태도를 가진 사람들을 더 좋아하고 유사하지 않은 태도를 가진 사람들을 싫어한다는 주장을 일관되게 해왔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들도 이를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들이 내/외집단소속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내집단 편애가 단순히 내집단 구성원에 대해 매력을 크게 느끼는 것에서 더 나아가 외집단 구성원에 대한 차별을 이끈다는 결과[18]를 함께 검토해 볼 때, 태도가 유사한 구성원일 경우 그가 내집단 구성원이라면 외집단 구성원인 경우보다 더 큰 매력도를 가지게 될 것이라 예상하여 이를 가설 2-1로 설정하였다.
  • 둘째, 나와 태도가 유사한 사람이 내집단 구성원이라면 앞서 언급했던 내집단 편애 현상이 영향을 주어 그 사람이 외집단 구성원인 경우보다 더 좋아할 것이다. 이에 따라 유사한 태도 조건에서는 상대방이 외집단일 때보다 내집단일 때 내집단 편애에 의한 매력도 증가가 가산적으로 작용하여 상대방이 외집단 구성원이라는 정보를 받았을 때보다 더 높은 매력도를 보이게 될 것이라 예상했고 이를 가설 2-1로 설정하였다.
  • 이러한 예상은 비유사한 태도가 외집단원보다 내집단원에게 더 강한 혐오효과를 가진다는 Chen과 Kenrick[5]의 기존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위와 같은 근거와 추론에 따라 태도가 비유사한 구성원에 대해 그가 내집단 구성원이라면 외집단 구성원인 경우보다 매력도에서 더 큰 저하를 보이게 될 것이라 예상하여 이를 가설 2-2로 설정하였다.
  • 공화당)을 실험에서 조작해 주었을 때, 80%의 참가자들이 자신과 지지정당이 다른 학생이 해당 장학금에 더 적임자임에도 불구하고 자신과 지지정당이 같은 학생에게 장학금을 추천했다는 결과를 보여주어, 태도유사성은 매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러한 영향은 상대에 대한 추후의 평가, 보상배분 등에도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토대로 태도유사성이 높아질수록 매력이 증가할 것이라는 가설1을 설정하였다.
  • 둘째, 나와 태도가 유사한 사람이 내집단 구성원이라면 앞서 언급했던 내집단 편애 현상이 영향을 주어 그 사람이 외집단 구성원인 경우보다 더 좋아할 것이다. 이에 따라 유사한 태도 조건에서는 상대방이 외집단일 때보다 내집단일 때 내집단 편애에 의한 매력도 증가가 가산적으로 작용하여 상대방이 외집단 구성원이라는 정보를 받았을 때보다 더 높은 매력도를 보이게 될 것이라 예상했고 이를 가설 2-1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도 조정은 무엇인가? 65)과정을 도입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태도 조정이라는 용어는 심리학의 균형 이론과 상호의존성이론을 토대로 Davis와 Rusbult[25] 가 제안한 개념으로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이 더 큰 태도적 조화를 이루기 위해 자신들의 의견을 변화시키는 현상’으로 정의된다[25]. 이 현상은 주로 사회심리학의 친밀한 관계에 대한 연구에 적용되었고[26] 국내외의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지만, 실무 현장에서 새롭게 팀 구성원이 된 사람들에게 태도 조정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세상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조금이라도 더 유사한 태도를 가지도록 유도한다면 조직의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한덕웅과 황소정은 태도유사성이 매력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어떻게 정리하였는가? 한덕웅과 황소정[6]은 태도유사성이 매력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세 가지 이론으로 정리한 바 있다. 첫째, 인지일관성 이론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의 머릿속의 인지들 간의 일관성이 깨지면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일관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자신과 유사한 태도를 가진 사람을 좋아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둘째, 강화 이론(reinforcement theory)에서는 사람들이 자신의 신념, 의견 및 태도가 타당하다고 평가하려는 자기 타당화의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나와 유사한 태도나 의견을 가진 사람의 존재는 나에게 강화 효과를 주기 때문에 유사한 태도를 가진 타인을 좋아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마지막으 로, 기대이론에서는 나와 유사한 태도를 가진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더 나를 좋아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에 유사한 태도를 가진 사람에게 매력을 더 느낀다고 설명한다[6,7].
태도유사성-매력가설과 태도비유사성-혐오가설의 공통점은? 사람들이 가진 태도와 그 사람에 대한 매력의 관련성은 태도유사성-매력가설(attitude similarity-attraction hypothesis; [1])과 태도비유사성-혐오 가설(attitude dissimilarity-repulsion hypothesis; [2])을 통해 잘 요약될 수 있는데, 두 가설 모두 사람들이 자신과 유사한 태도를 가진 사람들을 더 좋아하고 유사하지 않은 태도를 가진 사람들을 싫어한다는 주장을 일관되게 해왔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들도 이를 입증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 가설들이 내/외집단소속에 의해 어떠한 영향을 받게 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 Byrne. (1971). The attraction paradigm. New York: Academic Press. 

  2. M. E. Rosenbaum. (1986). The repulsion hypothesis: On the nondevelopment of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56-1166. DOI : 10.1037/0022-3514.51.6.1156 

  3. R. Singh, Y. Y. Tay, & K. Sankaran. (2017). Causal role of trust in interpersonal attraction from attitude similarity.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4(5), 717-731. DOI : 10.1177/0265407516656826 

  4. R. Singh, D. T. Wegener, K. Sankaran, N. Bhullar, K. Q. P. Ang, P. J. L. Chia, X. Cheong, & F. Chen. (2017). Attitude similarity and attraction: Validation, positive affect, and trust as sequential mediators. Personal Relationships, 24(1), 203-222. DOI : 10.1111/pere.12178 

  5. F. F. Chen & D. T. Kenrick. (2002). Repulsion or attraction?: Group membership and assumed attitude similar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3(1), 111-125. DOI : 10.1037/0022-3514.83.1.111 

  6. D. W. Hahn & S. J. Hwang. (1999). Test of similarity-attraction in group performance situ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3(1), 255-275. 

  7. R. M. Montoya & R. S. Horton. (2013). A meta-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processes underlying the similarity-attraction effec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0, 64-94. DOI : 10.1177/0265407512452989 

  8. D. Byrne. (1961). Interpersonal attraction and attitude similarity.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62, 713-715. DOI : 10.1037/h0044721 

  9. D. Byrne, G. L. Clore & G. Smeaton. (1986). The attraction hypothesis: Do similar attitudes affect anyth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67-1170. DOI : 10.1037/0022-3514.51.6.1167 

  10. C. B. Goldberg. (2005). Relational demography and similarity-attraction in interview assessments and subsequent offer decisions: Are we missing something?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0, 597-624. DOI : 10.1177/1059601104267661 

  11. J. L. Howard & G. R. Ferris. (1996). The employment interview context: Social and situational influences on interviewer decis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6, 112-136. DOI : 10.1111/j.1559-1816.1996.tb01841.x 

  12. P. L. Roth, J. B. Thatcher, P. Bobko, K. D. Matthews, J. E. Ellingson & C. B. Goldberg. (2020). Political affiliation and employment screening decisions: The role of similarity and identification process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5(5), 472-486. DOI : 10.1037/apl0000422 

  13. D. Byrne & D. Nelson. (1965). Attraction as a linear function of proportion of positive reinforce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6), 659-663. DOI : 10.1037/h0022073 

  14. S. Iyengar & S. J. Westwood. (2015). Fear and loathing across party lines: New evidence on group polarizat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9, 690-707. DOI : 10.1111/ajps.12152 

  15. D. Balliet, J. Wu, C. K. W. De Dreu. (2014). Ingroup favoritism in cooperatio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40(6), 1556-1581. DOI : 10.1037/a0037737 

  16. H. Tajfel. (1982).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relations.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H. Tajfel & J. C. Turner. (1986).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ur. In S. Worchel & W. G. Austin (Eds.),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2nd ed., pp. 7-24). Chicago: Nelson-Hall. 

  18. A. G. Greenwald & T. F. Pettigrew. (2014). With malice toward none and charity for some: Ingroup favoritism enables discrimination. American Psychologist, 69(7), 669-684. DOI : 10.1037/a0036056 

  19. M. Diehl. (1988). Social identity and minimal groups: The effects of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attitudinal similarity on intergroup discrimination.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27, 289-300. DOI : 10.1111/j.2044-8309.1988.tb00833.x 

  20. E. V. Hobman & P. Bordia. (2006). The role of team identification in the dissimilarity-conflict relationship. Group Processes & Intergroup Relations, 9(4), 483-507. DOI : 10.1177/1368430206067559 

  21. M. J. Sun. (2015). Effects of attitude similarity, group membership and mortality salience on interpersonal attraction. Master's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22. S. J. Hwang. (1996). Effects of attitude similarity, task demand and self-categorization on attraction in task performance condition. Master's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3. J. Y. Nho & D. H. Seok. (2018). Effects of group cohesion, perception of co-worker effort and work condition on social loafing and social compensation. Locality and Globality: Korean Journal of Social Science, 42(1), 127-151. DOI : 10.33071/ssricb.42.1.201804.127 

  24. P. D. Krivonos, D. Byrne & G. W. Friedrich. (1976). The effect of attitude similarity on task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6(4), 307-313. DOI : 10.1111/j.1559-1816.1976.tb02406.x 

  25. J. L. Davis & C. E. Rusbult. (2001). Attitude alignment in close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1), 65-84. DOI : 10.1037/0022-3514.81.1.65 

  26. C. A. Reid, J. L. Davis & J. D. Green. (2013). The power of change: Interpersonal attraction as a function of attitude similarity and attitude alignment.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53(6), 700-719. DOI : 10.1080/00224545.2013.824404 

  27. P. Farmanesh, A. Vehbi, P. Zargar, A. Sousan, & F. Bhatti. (2020). Is there alway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divers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 does diversity fatigue imply a suppressing effect? South East European Journal of Economics & Business, 15(1), 14-26. DOI : 10.2478/jeb-2020-0002 

  28. B. Hirsch, E. J. Jahn, & T. Zwick. (2020). Birds, Birds, Birds: Co-worker similarity, workplace diversity and job switches.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58(3), 690-718. DOI : 10.1111/bjir.12509 

  29. J. M. Marques, V. Y. Yzerbyt & J. P. Leyens. (1988). The "Black sheep effect": Extremity of judgments towards ingroup members as a function of group identification.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8(1), 1-16. DOI : 10.1002/ejsp.3420180102 

  30. I. R. Pinto, J. M. Marques, J. M. Levine & D. Abrams. (2010). Membership status and subjective group dynamics: Who triggers the black sheep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9(1), 107-119. DOI : 10.1037/a00181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