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각된 대기오염이 부정 정서, 신체증상 및 미래 조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Air Pollution on the Negative Emotion, Physical Symptoms and Future Perspectiv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287 - 298  

김소정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박혜령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  이종선 (강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은 심각한 공중보건 상의 문제로 다양한 신체적 질환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성인 61명을 각각 대기오염 집단(n = 30)과 맑은 공기 집단(n = 31)으로 무선할당하고 처치조건에 따른 정서, 신체증상, 미래 조망에서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지각된 대기오염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참가자들은 할당된 집단에 따라 대기오염이 있는 도시 혹은 맑은 공기의 도시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보며 자신이 그 도시에 살고 있다고 상상하였고, 노출 전후에 정서, 신체증상, 지각된 스트레스, 미래에 대한 시간조망과 활동계획을 보고하였다. 대기오염 집단은 노출 후 우울, 불안, 분노를 비롯한 부정 정서와 신체증상이 상승하였던 반면, 맑은 공기 집단은 실험 전후로 부정 정서와 신체증상의 변화가 유의하지 않거나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측면에서도 대기오염 집단은 처치 후 미래 시간에 대한 조망이 제한되었으며 외부 활동 계획도 감소한 반면, 맑은 공기 집단은 이 같은 변화를 경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r pollution is a severe risk factor in public health. It is not only a cause of a variety of physical disorders but also attributable to mental health problem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n emotions, physical symptoms, future perspectives by perceived air pollution. Sixty-on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대기오염이 정서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인과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각된 대기오염이 미래 조망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와 시간적 조망 및 활동 계획으로 나누어 탐색함으로써, 인지와 동기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해 지각된 대기오염이 정서, 신체증상, 미래 조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 공기오염이 심리적 상태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실내공기 오염물질이 스트레스와 불안, 인지적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한 편[15]에 그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대기오염이 정서와 신체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인과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각된 대기오염이 미래 조망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와 시간적 조망 및 활동 계획으로 나누어 탐색함으로써, 인지와 동기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추가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한다.
  •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대기오염이 다양한 심리적 변인들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 인과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국내 최초로 지각된 대기오염이 미래 시간조망과 활동 계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확인하지 못하였던 인지적, 동기적 측면의 변화에 대해서도 검증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들에서는 본 연구 결과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지각된 대기오염이 정서와 행동, 인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대기오염으로 인한 심리적 비용에 대해 더욱 심도 있게 탐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라는 문구가 앞쪽에 추가되었다. 활동계획목록의 경우, 시작하기 전 자극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키기 위해 어떤 것들이 떠오르는지 동영상 내용에 대해 질문하였다. 자극 회상 후 참가자들은 일주일 간 활동계획에 대해 언급하였고, 연구자는 향후 일주일 동안의 각 활동별 총 횟수와 소요 시간에 대해 질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기오염은 어떤 질환의 원인인가? 초미세먼지, 이산화황 및 오존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은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위험요인이다. 대기오염은 허혈성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IHD), 뇌졸중,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폐암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3년에는 WHO 산하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 의해 1등급 발암물질(Group 1: 인체에 발암성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규정되었다[1]. WHO에 의하면 전 세계적으로 매해 700만 명이 공기오염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이 중 대기오염(outdoor air pollution/ambient air pollution)으로 사망하는 수가 연간 42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다[2].
직경 2.5μm미만의 초미세먼지는 어떻게 우울감을 야기하는가? 5μm미만의 초미세먼지(PM2.5)는 염증과 산화성 스트레스를 야기하여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10], 신체적 활동의 감소 및 사회적 활동의 축소, 일조량의 감소 등의 간접적 경로를 통해 우울감을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1]. 최근까지 시행된 총 14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한 Gu 등[12]의 메타분석에서도 초미세먼지 농도의 증가는 일반인구 내에서의 우울의 위험성과 높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지연효과 및 축적된 지연효과로 이어져 만성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기오염은 부정적 정서를 매개로 하여 행동적 차원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대만 타이페이 시에서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자살률과 어떤 상관관계가 나타났는가? 대기오염이 높은 지역에서는 앞서 언급한 높은 우울 및 불안과의 관련 하에 자살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다[8]. Yang, Tsai와 Huang[17]은 대만 타이페이 시에서 얻어진 1991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를 바탕으로 초여름의 증가된 대기오염의 수준이 자살률을 상승시키는 계절적 효과를 발견하였으며, 이산화황이나 오존과 같은 유해가스는 더욱 장기적인 측면에서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오염으로 인해 감소된 일조량과 야외활동 또한 자살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도 지난 십여 년 간 대기오염과 자살률과의 관련성을 탐색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Y. M. Jo & Y. C. Hong. (2014). The health effects of fine dust and the role of the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l Association, 12(2), 32-26. 

  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Air pollution. [Online] https://www.who.int/health-topics/air-pollution#tabtab_1. [Accessed 30 March, 2020]. 

  3. GBD 2017 Risk Factor Collaborators. (2018).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comparative risk assessment of 84 behavioural,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and metabolic risks or clusters of risk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Lancet, 392(10159), 1923-1994. DOI: 10.1016/S0140-6736(18)32225-6 

  4. B. Brunekreef & S. T. Holgate. (2002). Air pollution and health. Lancet, 360(9341), 1233-1242. DOI : 10.1016/s0140-6736(02)11274-89 

  5. H. L. Yu & C. H. Wang. (2010). Retrospective prediction of intraurban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M2.5 in Taipei. Atmospheric Environment, 44(25), 3053-3065. DOI : 10.1016/j.atmosenv.2010.04.030 

  6. C. Kim et al. (2010). Ambient particulate matter as a risk factor for suicid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7(9), 1100-1107. DOI : 10.1176/appi.ajp.2010.09050706 

  7. M. Buoli et al. (2018). Is there a link between air pollution and mental disorders?. Environment International, 118, 154-168. DOI : 10.1016/j.envint.2018.05.044 

  8. S. Y. Kyeng & S. H. Jung. (2017). Adverse health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60(5), 391-398. DOI : 10.5124/jkma.2017.60.5.391 

  9. M. Szyszkowicz, T. Kousha, M. Kingsbury & I. Colman. (2016). Air pollution and emergency department visits for depression: A multicity case-crossover study. Environmental Health Insights, 10, EHI-S40493, 155-161. DOI : 10.4137/ehi.s40493 

  10. J. Cho et al. (2014). Air pollution as a risk factor for depressive episode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diabetes mellitus, or asthm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57, 45-51. DOI : 10.1016/j.jad.2014.01.002 

  11. R. Wang, Y. Liu, D. Xue, Y. Yao, P. Liu & M. Helbich. (2019). Cross-s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long-term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and depression in China: The mediating effects of sunlight, physical activity, and neighborly reciproci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49, 8-14. DOI : 10.1016/j.jad.2019.02.007 

  12. X. Gu et al. (2019). Association between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and risk of depression and suicid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15(2), 456-467. DOI : 10.1192/bjp.2018.295 

  13. M. C. Power, M. A. Kioumourtzoglou, J. E. Hart, O. I. Okereke, F. Laden & M. G. Weisskopf. (2015). The relation between past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prevalent anxiety: Observational cohort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50, h1111. DOI 10.1136/bmj.h1111 

  14. B. Jacquemin et al. (2007). Annoyance due to air pollution in Europe.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6(4), 809-820. DOI : 10.1093/ije/dym042 

  15. Y. R. Choi & J. J. Yoon. (2008). Effect of the combine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tress and anxiety in occupa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3), 241-248. 

  16. M. Zeider & M. Shechter. (1988). Psychological responses to air pollution: Som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correl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8(3), 191-208. DOI : 10.1016/s0272-4944(88)80009 

  17. A. C. Yang, S. J. Tsai & N. E. Huang. (2011). Decomposing the association of completed suicide with air pollution, weather, and unemployment data at different time scal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29(1-3), 275-281. DOI : 10.1016/j.jad.2010.08.010 

  18. Y. Kim et al. (2015).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suicide in South Korea: A nationwide study. PloS one, 10(2), e0117929. DOI : 10.1371/journal.pone.0117929 

  19. J. L. Corrigan & A. C. Watson. (2005). Findings from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on the frequency of violent behavior in individuals with psychiatric disorders. Psychiatry Research, 136(2-3), 153-162. DOI : 10.1016/j.psychres.2005.06.0059 

  20. M. Kouchaki & S. D. Desai. (2015). Anxious, threatened, and also unethical: How anxiety makes individuals feel threatened and commit unethical ac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0(2), 360-375. DOI : 10.1037/a0037796 

  21.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22. J. G. Lu, J. J. Lee, F. Gino & A. D. Galinsky. (2018). Polluted morality: Air pollution predicts criminal activity and unethical behavior. Psychological Science, 29(3), 340-355. DOI : 10.1177/0956797617735807 

  23. J. Fang, L. Hu, M. A. Hossin, J. Yang & Y. Shao. (2019). Polluted online reviews: Effect of air pollution on reviewer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23(4), 557-594. DOI : 10.1080/10864415.2019.1655206 

  24. M. Zeider & M. Shechter. (1988). Psychological responses to air pollution: Som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correl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8(3), 191-208. DOI : 10.1016/s0272-4944(88)80009-4 

  25. E. H. Jung & N. K. Song. (2017). The longitudinal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local suicide rate : Focused on the periods of 2007-2015.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4(5), 638-647. DOI : 10.21086/ksles.2017.10.24.5.638 

  26. R. L. Spitzer, K. Kroenke, J. B. W. Williams &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rimary Care Study Group. (1999).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2(18), 1737-1744. DOI : 10.1001/jama.282.18.1737 

  27. J. Y. An, E. R. Seo, K. H. Lim, J. H. Shin & J. B. Kim. (2013).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creening tool for depression(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19(1), 47-56. 

  28. R. L. Spitzer, K. Kroenke, J. B. W. Williams & B. Lowe. (2006). A brief measure for assessing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The GAD-7.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6(10), 1092-1097. DOI : 10.1001/archinte.166.10.1092 

  29. C. D. Spielberger. (1988). Professional manual for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TAXI) (Research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30. K. K. Jeon, D. Y. Han, J. H. Lee & C. D. Spielberger. (1997). Korean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and blood pressur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1), 60-78. 

  31. A. S. Zigmond & R. P. Snaith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67(6), 361-370. DOI : 10.1111/j.1600-0447.1983.tb09716.x 

  32. S. M. Oh, K. J. Min & D. B. Park. (1999).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eous group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2), 289-296. 

  33. S. Cohen, T. Kamarck & R. Mermelstein.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4), 385-396. DOI : 10.2307/2136404 

  34. J. H. Park & Y. S. Seo. (2010). Validation of the Perceived Stress Scale (PSS) on sampl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29(3), 611-629. 

  35. L. L. Carstensen & F. R. Lang. (1996). 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DOI : 10.1037/t31314-000 

  36. K. H. Han & S. L. No. (2016). Subjective well-being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The role of future time perspective. Journal of Social Science, 27(1), 181-197. DOI : 10.16881/jss.2016.01.27.1.181 

  37. B. Forsberg, N. Stjernberg & S. Wall. (1997). People can detect poor air quality well below guideline concentrations: A prevalence study of annoyance reactions and air pollution from traffic.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4(1), 44-48. DOI : 10.1136/oem.54.1.44 

  38. L. Oglesby et al. (2000). Validity of annoyance scores for estimation of long term air pollution exposure in epidemiologic studies: The Swiss Study on Air Pollution and Lung Diseases in Adults (SAPALDIA).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52(1), 75-83. DOI : 10.1093/aje/152.1.75 

  39. S. Cohen, G. W. Evans, D. Stokols & D. S. Krantz. (1986). Behavior, health, and environmental stress. New York, NY: Plenum Press. DOI : 10.1007/978-1-4757-9380-2 

  40. T. Rotko. (2004). Social aspects of air pollution: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in exposure, perceived annoyance and concern about air pollution. Kupio, Finland: University of Helsinki, National Public Health Institute. 

  41. I. D. Williams & I. S. McCrae. (1995). Road traffic nuisance in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169(1-3), 75-82. DOI : 10.1016/0048-9697(95)04635-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