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우울증 약제비 지원 사업 대상자의 자살생각 예측요인
Predictors of Suicidal Thoughts in the People with Depression Drug Costs Support Project in the One Are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369 - 376  

강문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명숙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  오현주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 지역 보건소에서 우울증 약제비 지원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북도 관내에 거주하고 있으며 18세 이상으로 우울증을 진단받고 정신건강 복지센터에서 사례관리를 받고 있는 156명이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χ2-test, t-test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자살생각률은 25%이었고, 연구 대상자가 항우울제 복용기간이 길어질수록(t=-2.19, p<.05), 지각된 신체 건강(t=3.03, p<.01)과 지각된 정신 건강(t=5.21, p<.001)이 낮을수록, 우울(χ2=41.11, p<.001)할수록 자살생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살생각의 예측요인은 지각된 정신 건강(OR=0.97, p=.018)과 우울(OR=8.44, p<.001)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회귀식은 연구 대상자의 자살생각을 42.4%설명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우울증환자를 위한 지속적인 사정과 융합적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suicidal thoughts in the subjects who received the support for depression drug costs at a local public health center. The subjects were 156 depressed patients aged 18 and over.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t-t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일 지역 우울증 약제비 지원 사업 대상자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충청북도 일 지역 우울 약제비 지원 사업 대상자집단의 특성을 파악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충청북도 일 지역 우울증 약제비 지원 사업 대상자집단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충청북도의 ○○군 보건소에서 우울증 약제비 지원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자살생각 예측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북도 ○○군에 거주하고 있으며 만 18세 이상으로 우울증을 진단 받은 후 ○○군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사례관리 서비스를 ○년 이상 받고 있고 의료급여수급권자 및 중위소득 120%이하, 건강보험료 본인부과액 기준 이하의 소득기준을 가졌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동의한 자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수는 G*power3.
  • 기존 소득기준 없이 주민등록상○○군 거주 우울증 환자에 대한 지원에서 2019년부터 연령 제한 없이 주민등록상 충북도내 거주자로 거주지 제한을 확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의 ○○○보건소에서 약제비 지원을 받고 있는 우울증 환자들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예측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자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자살생각은 단일 문항인 “지난 1년 동안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습니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 및 자살시도의 중요한 위험요인은? 3%는 적어도 하나의 정신장애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우울증은 자살 및 자살시도의 중요한 위험요인으로[4] 우울증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자살 위험성이 13-26배 높고[5] 자살위험 상대비율이 다른 정신질환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3]. 또한 자살로 사망한 경우의 약 60%정도에서 주요우울장애나 다른 기분장애를 경험했던 것으로 보고되었고[6] 자살시도를 1회 한 경우에 평생 동안 주요우울장애를 경험할 위험이 그렇지 않은 일반인보다 6.
2018년 우리나라 자살률은? 2018년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26.6명으로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국가들 가운데 가장 높고, OECD 국가의 평균자살률 12.0명 보다 두 배 이상 높다[1]. 국내 지역별로 살펴보면 충청남도, 강원도, 충청북도가 가장 높은 자살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지난 3년간 (2016~2018) 전국 평균 자살률 25.
정신장애 중 하나인 우울증의 치료에 실패하는 요인은? 선행연구에 의하면 현재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심각한 우울장애를 앓고 있는 국민이 400만을 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적극적인 의학적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은 이들의 10%에 수준에 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또한 우울증 환자의 60%가 치료시작 3주 이내에 치료를 중단하거나[19] 43.5%의 환자가 치료시작 6주 안에 치료를 중단[20] 하는 등 약물치료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는 것이 우울증 치료의 가장 중요한 실패요인으로 보고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40 

  2. Y. M. Jae. (2004). Suicide and psychiatric disorder.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10(1), 3-10. 

  3. S. B. Park, et al. (2018). Association between level of suicide risk, characteristics of suicide atempts, and mental disorders among suicide attempters. BMC public health, 18(1), 477. DOI : 10.1186/s12889-018-5387-8. 

  4. H. J. Jeon. (2012). Epidemiologic studies on de pression and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5(4), 322-328. DOI : 10.5124/jkma.2012.55.4.322 

  5. F. Angst, H. H. Stassen, P. J. Clayton & J Angst. (2002). Mortality of patients with mood dis orders: follow-up over 34-38year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68(2002), 167-181. DOI : 10.1016/s0165-0327(01)00377-9 

  6. H. J. Jeon. (2011). Depression and suicid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4), 370-375. DOI : 10.5124/jkma.2011.54.4.370 

  7. D. S. Hur, et al. (2011). Disease burden and treatment status of domestic depress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Research Report, 1-99. 

  8. A. T. Beck, M. Kovacs & A. Weissman,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 

  9. A. A. M. Hubers, et al. (2018). Suicidal ideation and subsequent completed suicide in both psychiatric and non-psychiatric populations a meta-analysis. 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 27(2), 186-198. DOI : 10.1017/S2045796016001049 

  10. M. Y. Lee & Y. S. Kim. (2014).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8(2), 209-220. DOI : 10.12811/kshsm.2014.8.2.209 

  11. R. Coentre, M. C. Talina, C. Gois & M. L. Figueira (2017).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behavior after first-episode pschosis: A compre hensive systematic review.Psychiatry Reserch, 253, 240-248. DOI : 10.1016/j.psychres.2017.04.010 

  12. S. Y. Seo, H. S. Kim & Y. T. Kim. (2013).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or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Community Health Nursing, 24 (2), 245-254. DOI : 10.12799/jkachn.2013.24.2.245 

  13. M. Y. Kim, S. J. Ha & S. S. J (2015). Factors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Depressive Disorder, or Bipolar Disorder. Journal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4(4), 217-225. DOI : 10.12934/jkpmhn.2015.24.4.217 

  14. H. N. Kim, J. W. Kim, H. J. Kang, S. Y. Kim, J. Y. Lee, J. M. Kim, et al. (2019).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of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Korean Neuro psychiatric Association, 58(3), 202-208. DOI : 10.4306/jknpa.2019.58.3.202 

  15. S. Awata, et. al. (2005). Factors as 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an elderly urban Japanese population: A community-based, cross-sectional study.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59(3), 327-336. DOI : 10.1111/j.1440-1819.2005.01378 

  16. S. K. Moon & E. S. Sohn.(2013). Factors Affecting the Suicide Ideation and Attempted Suicide of the Elderly at Risk for Depression Focused on Chung cheong nam-do Crisisonomy, 9(11), 133-154. 

  17. C. S. Oh. (2012). The Effects of the Elderly's Subjective Health Perceptions and Quality of Life on Their Depression and Suicide Ide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 (2), 179-191. 

  18. J. L. Rowe, Y. Conwell, H. C. Schulberg, & M. L. Bruce. (2006).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in Older Adults Using Home Healthcare Servic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 (9), 758-766. DOI :10.1097/01.JGP.0000218324.78202.25 

  19. K. H. Lee. (2000). Current trends in the phar macological treatment of depression. Dongguk I iterature collection, 19, 273-291. 

  20. K. U. Lee, W. Kim, K. J. Min, Y. C. Shin, S. E. Chung & W. M. Bahk. (2006). The Rate and Risk Factors of Early Discontinuation of Antidepressant Treatment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17(6), 550-556. 

  21. J, H. Shin, et al. (2013).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2. J Korean Neuropsychiatr.Assoc, 52(3), 115-121. 

  22.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9734 

  23. J. H. Ahn, et al. (2012).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related to mental illness in Korea and research on suicide with depress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Research Report, 1-486. 

  24. R. J. Valuck, H. D. Orton & A. M. Libby. (2009). Antidepressant discontinuation and risk of suicide attempt: a retrospective, nested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70(8), 1069. 

  25. J. S. Ahn, et al. (2016). Difference of Somatic Symptoms between Anxiety Disorder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Their Domainal Association with Suicidal Idealization, Plan and Attempts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4 (2), 174-183. 

  26. H. G. Jeon, J. M. Sim & K. C. Lee. (2015). An Empirical Analysis of Effects of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of Korean Adults: Emphasis on 2008-2012 KNHANES Datase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 (7), 264-281. 

  27. J. H SM & H. A. Lee. (2011). A Study on Influence of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Elderly Suicide Ideation: Using Parameter Effect of Depressio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4, 361-385. DOI : 10.21194/kjgsw..54.201112.361 

  28. R. Choi, H. J. Moon & B. D. Hwang. (2010). The Influence of Chronic Disease on the Stress Cognition, Depression Experience and Suicide Thoughts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4(2), 73-84. 

  29. H. J, Kim. (2019). Conjunctiv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in Korean Elderly : Panel Data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391-397. DOI : 10.15207/JKCS.2019.10.7.391 

  30. M. C. Perez, J. R. Fernandez & M. Gili (2013). Prevalence and factors associated to mental disorders in primary care attenders aged 75 and older. Actas Esp Psiquiatr, 41(4), 218-226. 

  31. R. Goodwin & M. Olfson. (2002). Self-perception of poor health and suicidal ideation in medical patients. Psychological medicine, 32(7), 1293-1299. DOI : 10.1017/S0033291702006323 

  32. A. Tsegay, A. Damte & A. Kiros. (2020). Determinants of suicidal ideation among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visiting psychiatry outpatient unit in Mekelle town, psychiatric clinics, Tigray, Northern Ethiopia: a case-control study. Annals of general psychiatry, 19(1), 1-12. DOI : 10.1186/s12991-020-00270-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