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밀기울의 유산균 발효: 향기성분 및 유리아미노산 변화를 통한 제빵 소재로서의 가능성
Fermentation of wheat bran through lactic acid bacteria: Changes in flavor components and free amino acids and potential applications in baking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5, 2020년, pp.524 - 528  

나예림 (SPC식품생명공학연구소) ,  박성훈 (SPC식품생명공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기울을 유산균 종류에 따라 각각 발효물을 제조하고 그에 따른 향기성분을 SPME로 추출하여 GC-MS로 분석하였다. 총 19종류의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알콜류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으며 그 중에서도 1-hexanol이 21.05-29.06 ng/g으로 가장 다량으로 검출되었다. 이 중 유산균의 아미노산 대사에 의해 형성되는 알코올류인 3-methyl-1-butanol, phenethyl alcohol은 발효 후 증가하고, 아미노산 leucine, phenylalanine는 감소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케톤류 또한 발효에 의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주로 유제품 유산균 발효에 의한 것으로 2,3-butanedione를 비롯한 buttery 풍미를 내는 케톤류들이 검출되었다. 이는 밀기울 유산균 발효 산물의 풍미를 증대시켜 식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상승시킬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알데하이드류는 감소하였는데, 알데하이드류는 주로 밀기울이 가지고 있는 이취 물질들으므로 유산균 발효를 통해 밀기울 소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료나 폐기되는 제분 부산물을 유산균 발효를 통해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제과 및 제빵에 발효 밀기울을 응용, 적용함으로써 고 식이섬유 제품 및 풍미가 강화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use of wheat bran in lactic acid bacteria (LAB) fermentation. LAB fermentation of wheat bran and the flavor components and amino acids of fermentation products were analyz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식이섬유 및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으며, Zubaidah 등(2012)은 쌀겨의 유산균 발효를 통한 신바이오틱스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 하였고, Salmenkallio-Marttila 등(2001)과 Katina 등(2012)은 발효를 통해 밀기울의 영양 기능적 효과 증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분부산물로 부가가치가 낮았던 밀기울을 다양한 유산균 발효를 통해 식품소재로서의 이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고, 발효에 따른 이취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풍미의 특성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식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최근 An 등(2014)은 고압균 질처리를 통해 밀기울의 보수력, 팽창력 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인 가공 방법은 설비나 장비의 제약이 따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공법인 발효를 통하여 밀기울의 식품소재로서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산균은 발효를 통해 오랫동안 유제품 및 김치 등 식품에 다양하게 이용되어 온 안전한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균으로서 유해균 억제, 콜레스테롤 저하, 유당 이용률 증대, 항암 효과 등 인체 건강에 다양한 이점이 있다(Gilliland, 199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밀기울이란 무엇인가? 밀기울은 밀의 제분 부산물로써 일반적으로 제분 공정에서 15-20%가 생산되며 과거에는 버려지거나 사료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밀기울에 존재하는 알류론 층에 있는 각종 영양기능성과 질병예방 효과가 알려지면서 천연 식이섬유 소재로 각광 받으며 식품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Vetrimani와 Haridas Rao, 1990). 밀기울의 조성은 40-50%가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과 같은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1% 이하의 수용성 식이섬유도 포함하고 있다(Stevenson 등, 2012).
밀기울의 식품소재로서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또한 Anderson(1985)는 식이섬유는 수분보유력이 뛰어나 식품 제조 시 부피를 증가시켜 포만감을 증대시키고, 장내에서 전분을 비롯한 영양성분의 소화 흡수를 느리게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 시킨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밀기울은 이취, 거친 조직감, 어두운 색상 등으로 인해 식품 제조 시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Galliard와 Gallagher 1988; Zhang와 Moore 1999). 밀기울 품질개선을 위한 여러가지 물리적 연구가 진행 되고 있고 있는데, Hwang 등(1995)은 열처리를 통해 밀기울의 품질개선과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고, Kim 등(1996)은 압출가공 시 스크류 조합과 공정변수 조절에 따른 밀기울 물성 변화에 대해 보고하였다.
식이섬유 섭취 시 어떤 이점이 있는가? 밀기울의 조성은 40-50%가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과 같은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있으며, 1% 이하의 수용성 식이섬유도 포함하고 있다(Stevenson 등, 2012). 또한 Anderson(1985)는 식이섬유는 수분보유력이 뛰어나 식품 제조 시 부피를 증가시켜 포만감을 증대시키고, 장내에서 전분을 비롯한 영양성분의 소화 흡수를 느리게 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저하 시킨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밀기울은 이취, 거친 조직감, 어두운 색상 등으로 인해 식품 제조 시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Galliard와 Gallagher 1988; Zhang와 Moore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EM, Lee JK, Choi Y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in different areas prepared by a high-pressure homogenizer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04-409 (2014) 

  2. Anderson JW. Health implications of wheat fiber. Am. J. Clin. Nutr. USA 41: 1103-1112 (1985) 

  3. Bate NJ, Riley JCM, Thompson JE, Rothstein SJ.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s in C6-volatile production from the lipoxygenase pathway in an alcohol dehydrogenase mutant of Arabidopsis thaliana. Physiol. Plant 104: 97-104 (1998) 

  4. Benito de Cardenas IL, Ledesma OV, Pesce de Ruiz Holgado AA, Oliver G. Effect of lactate on the growth and production of diacetyl and acetoin by lactobacilli. J. Dairy Sci. 68: 1897-1901 (1985) 

  5. Chammas GI, Saliba R, Corrieu G, Beal C. Characteris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milk "laban." Int. J. Food Microbiol. 110: 52-61(2006) 

  6. Chirinang P, Intarapichet K-O. Amino aci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the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and Pleurotus sajor-caju. Science Asia 35: 326 (2009) 

  7. Eriksson CE, Lundgren B, Vallentin K. Odor detectability of aldehydes and alcohols originating from lipid oxidation. Chem. Senses 2: 3-15 (1976) 

  8. Chen E. C.-H.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ehrlich and biosynthetic pathways to the formation of fusel alcohols, J. Am. Soc. Brew. Chem. 36: 1, 39-43 (1978) 

  9. Galliard T, Gallagher DM. The effects of wheat bran particle size and storage period on bran flavour and baking quality of bran/ flour blends. J. Cereal Sci. 8: 147-154 (1988) 

  10. Gilliland SE. Health and nutritional benefits from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Rev. 7: 175-188 (1990) 

  11. Hsieh RJ. Contribution of lipoxygenase pathway to food flavors. In: Ho C-T, Hartman TG (eds) Lipids in food flavors. ACS., Washington, DC, pp 30-48 (1994) 

  12. Huang CB, Alimova Y, Myers TM, Ebersole JL. Short- and mediumchain fatty acids exhibit antimicrobial activity for oral microorganisms. Arch. Oral. Biol. 56: 650-654 (2011) 

  13. Hwang JK, Kim CT, Cho SJ, Kim CJ. Effects of various thermal treatments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heat br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94-403 (1995) 

  14. Katina K, Juvonen R, Laitila A. Fermented wheat bran as a functional ingredient in baking. Cereal Chem. 89: 126-134 (2012) 

  15. Kim CT, Hwang JK, Cho SJ. Effect of screw configurations and process parameters on characteristics of wheat bran extrud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69-178 (1996) 

  16. Salmenkallio-Marttila M, Katina K, Autio K. Effects of bran fermentation on quality and microstructure of high-fiber wheat bread. Cereal Chem. 78: 429-435 (2001) 

  17. Stevenson L, Phillips F, O'sullivan K, Walton J. Wheat bran: its composition and benefits to health, a European perspective. Int. J. Food Sci. Nutr. 63: 1001-1013 (2012) 

  18. Tavaria FK, Dahl S, Carballo FJ, Malcata FX. Amino acid catabolism and generation of volatiles by lactic acid bacteria. J. Dairy Sci. 85: 2462-2470 (2002) 

  19. Tridjoko W. Murti, Christian Bouillanne, Michele Landon, Michel J. De Smazeaud. Bacterial growth and volatile compounds in yoghurt-type products from soymilk containing Bifidobacterium spp. J. Food Sci. 58: 153-157 (1993) 

  20. Vetrimani R, Haridas Rao P. Studies on stabilization of wheat bran. J. Food Sci. Technol. 27: 332-335 (1990) 

  21. Yvon M, Rijnen L. Cheese flavour formation by amino acid catabolism. Int. Dairy J. 11: 185-201 (2001) 

  22. Zhang D, Moore WR. Wheat bran particle size effects on bread baking performance and quality. J. Sci. Food Agric. 79: 805-809 (1999) 

  23. Zubaidah E, Nurcholis M, Wulan SN, Kusuma A. Comparative study on synbiotic effect of fermented rice bran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casei and newly isolated lactobacillus plantarum B2 in wistar rats. APCBEE Procedia. 2: 170-177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