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샤이닝>, 영화음악의 형식적 미학과 공포
, the Formal Aesthetics of Film Music and the Horr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76 - 88  

박병규 (경기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샤이닝>에 쓰인 기존음악 자체는 영화와 어떠한 직접적인 관계도 없기에 영화음악으로서 적합하게 활용됐는지에 대한 물음을 낳는다. 본 논문은 <샤이닝>의 20세기 현대음악들이 영상과의 도상성을 통해 영화음악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공포영화에서 20세기 현대음악 사용을 논하기 위해 공포의 성격과 음악의 형식 간 유사성을 한슬리크의 형식미학을 통해 접근하였다. 음악이 갖는 형식적 특성은 음들의 움직임으로 관찰되는데, 이 움직임은 하이데거가 언급하고 있는 공포의 심경 양태와 유사성을 이루고 있다. <샤이닝> 분석에 있어 음들의 정체된 움직임과 연속성, 악기의 특수주법, 군집한 음들의 불특정한 떨림, 고음역대 여린 세기의 선율, 타악기의 강타, 그리고 중심에서 이탈하는 음들의 진행은 공포영화에 대한 20세기 현대음악의 적소성을 확인시켜 준다. 본 연구가 단순히 20세기 현대음악에서 대변되는 감정들에 기대지 않고, 철저히 음들의 움직임을 포착해낸 것은 영화 <샤이닝> 연구에 큰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pre-existing music itself used in has no direct relation to the film, it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it was properly utilized as film mus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s 20th century modern music effectively fulfills the role of film music through iconicity with imag...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본 연구는 음악의 형식미학 관점에서 접근하여 영화의 ‘공포’가 단순히 20세기 현대음악의 ‘생소함’, ‘모호함’, ‘혐오감’으로 대변되는 감정에 기대는 것이 아니라 철저히 영상과의 도상성(iconicity), 즉 ‘닮음’에 있음을 드러내는 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음악과 감정의 관계를 논하기 위해 한슬리크가 말한 ‘유사성’에 착안하여 특정 감정에 대한 성격과 음악적 형식, 이 둘의 유사성으로 진전시키고자 한다.
  • 이처럼 공포영화에 대한 20세기 현대음악의 적소성을 한슬리크의 형식미학으로부터 끄집어낸 것은 본 연구의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서론에서 밝혔듯이,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현대음악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다루는 것이 아닌, 철저히 영상과의 ‘닮음’을 드러내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 즉 ‘무규정적 언어’인 음악이 시각적으로 판독되는 영상에 고정되었을 때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 보기로 하자.
  • 특히 다음 장에 이어지는 분석에 있어 ‘공포’라는 심경의 성격을 하이데거의 세계 내존재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성격과 음악적 형식간의 유사성을 발견함으로써 본 연구의 목적인 영상과의 도상성을 효과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 형식미학은 음악학자 에두아르트 한슬리크(Eduard Hanslick, 1825∼1904)의 저서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Vom Musikalisch-Schönen, 1854)를 근거로 음악 자체의 내용과 형식을 논할 것이며, 다음 단계로 오직 음들의 형식뿐인 음악이 시각적으로 분명한 영상에 고정되었을 때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살펴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음악에서 기존음악의 사용이란 어떤 작업인가? 영화음악에서 기존음악의 사용은 결국 영상과 유사한 음악적 형식들을 포함하고 있는 음악을 찾는 작업이다. 시간을 거슬러 무성영화 시기에 쓰였던 모음곡집, 『샘 폭스 영화 음악』(Sam Fox Moving Picture Music, 1913)을 살펴보자면 음악적 형식들과 장면 상황의 도상성을 발견할 수 있다.
스탠리 큐브릭의 작품 은 주로 어떤 기존 음악을 활용하였는가? 스탠리 큐브릭(Stanley Kubrick, 1928∼1999) 감독의 주요 작품을 언급하면서 영화기술의 정교함, 인간내면의 극단과 함께 빠뜨릴 수 없는 것은 기존음악의 사용이라 할 수 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1968), <시계태엽 오렌지>(A Clockwork Orange, 1971), <아이즈 와이드 셧>(Eyes Wide Shut, 1999)에 담긴 기존음악들은 클래식음악 목록들로서 대중들에게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 죄르지 리게티(György Ligeti, 1923∼2006), 그리고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Дмитрий Шостакович, 1906 ∼1975)를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에서 각 삽입곡 시작의 음정관계를 배음렬(harmonic series) 구조 속에서 발견하며 음악의 은유적 사용을 논한 연구[1], <시계태엽 오렌지> 플롯에 따른 각 삽입곡의 배치 구조를 열거하며 영화에 사용된 헨리 퍼셀(Henry Purcell, c.
샤이닝의 영화음악들이 작곡가를 달리하고 있음에도 효과적으로 역할을 하고있는 까닭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바퀴소리가 소리의 차이로써 영화사운드를 메꾸는 데 적합하게 쓰이고 있듯이, <샤이닝>의 영화음악들은 기존음악을 통해 음들의 움직임으로써 영상과의 형식적 유사성을 띠는 데 적소성을 갖는다. <샤이닝>에 쓰인 음악들이 각각 작곡가를 달리하고 있음에도 효과적으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이러한 적소성에 기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D. W. Patterson, "Music, Structure and Metaphor in Stanley Kubrick's "2001: A Space Odyssey"," American Music, Vol.22, No.3, pp.444-474, 2004. 

  2. D. J. CODE, "Don Juan in Nadsat: Kubrick's Music for "A Clockwork Orange"," Journal of the Royal Musical Association, Vol.139, No.2, pp.339-386, 2014. 

  3. 박언영, "Music and Narrative in Stanley Kubrick's Eyes Wide Shut," 현대영화연구, 제14권, 제4호, pp.49-81, 2018. 

  4. 질 무엘릭, 박지회 역, 영화음악,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18, 2007. 

  5. https://www.imdb.com/title/tt0081505/, 2020.08.25. 

  6. K. McQuiston, We'll meet again : musical design in the films of Stanley Kubrick, Oxford University Press, pp.65-86, 2013. 

  7. C. L. Gengaro, Listening to Stanley Kubrick, Rowman & Littlefield, pp.179-218, 2014. 

  8. D. Cope, Techniques of the contemporary composer, Schirmer Books, pp.99-103, 1997. 

  9.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177, 2004. 

  10.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78, 2004. 

  11.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92, 2004. 

  12.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184, 2004. 

  13.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178, 2004. 

  14.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46, 2004. 

  15.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41, 2004. 

  16.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45, 2004. 

  17.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48, 2004. 

  18.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64, 2004. 

  19.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84, 2004. 

  20. 엔리코 푸비니, 서인정 역, 음악미학사,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p.286, 2016. 

  21. 엔리코 푸비니, 서인정 역, 음악미학사,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p.282, 2016. 

  22.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51, 2004. 

  23.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실험심리학 용어사전, 시그마프레스, p.236, 2008. 

  24. 에두아르트 한슬리크, 이미경 역, 음악적 아름다움에 대하여, 책세상, p.63, 2004. 

  25. https://imslp.org/wiki/Sam_Fox_Moving_Picture_Music_(Zamecnik%2C_John_Stepan), 2020.08.25. 

  26. https://www.sfsma.org/ARK/22915/george-playing-to-pictures/, 2020.08.25. 

  27. 박문호, 뇌과학의 모든 것, 휴머니스트, p.410,2013. 

  28. D. Bordwell, K. Thompson, 주진숙, 이용관 역,영화 예술 , 지필미디어, pp.415-416, 2011. 

  29. D. Bordwell, K. Thompson, 주진숙, 이용관 역,영화 예술 , 지필미디어, p.415, 2011. 

  30.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p.240-241, 2016. 

  31.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184, 2016. 

  32.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185, 2016. 

  33.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186, 2016. 

  34.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244, 2016. 

  35.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245, 2016. 

  36. 마르틴 하이데거, 전양범 역,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p.246, 2016. 

  37. V. Lobrutto, Stanley Kubrick: A Biography , DaCapo Press, p.453, 1997. 

  38. G. Ligeti, Lontano, fur grosses Orchester ,Schott Music, 1969. 

  39. 박병규, 영화음악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히치콕 영화(1955-1964)의 음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04, 2017. 

  40. B. Bartok, Musik fur Saiteninstrumente,Schlagzeug und Celesta , Boosey & Hawkes,1939. 

  41. K. Penderecki, De natura sonoris no.1 , PWM,1967. 

  42. 이선일,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철학사상 별책,제2권, 제12호, p.6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