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학문 분야에서 공감 관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Empathy-Related Research Trends in Social Selfare Stud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544 - 553  

권신정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강민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학문 분야에서 공감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의 학문적 역할을 점검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0년 6월까지 진행된 국내 사회복지학문 분야의 공감 관련 학술논문을 선정하여 범주체계에 따른 '기술적 분석'과 언어 동시출현 빈도를 중심으로 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학문 분야의 공감관련 연구는 2000년 이후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 최근 3년간 수량적으로 대폭 증가하였고 연구분야는 '사회복지일반' 범주에 속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연구내용으로는 공감과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는 관련요인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에 사용된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회복지학문분야에서 공감 관련 연구가 증가함에 따라 연구분야와 연구내용의 확장 및 다양한 연구방법의 시도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academic role of social welfare by analysis the trends of empathic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studies in Korea,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asks to move forward. For this purpose, technical analysi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함에 있어 언어네트워크 분석은 ① 드러나지 않는 주요 의미를 파악하는데 유용하고, ② 언어구조를 공간적으로 표시하고 텍스트 간 관계를 시각화하여 파악할 수 있으며, ③여러 종류의 네트워크 중심성(centrality)분석을 통해 전체 텍스트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이해할 수 있고, ④단어들의 구조적 분석을 파악할 수 있으며, ⑤질적방법과 양적방법의 동시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28]. 따라서 사회복지학문 분야의 공감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적절한 연구방법이라 판단된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 학문분야의 공감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공감과 관련된 사회복지의 학문적 역할을 점검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사회 복지 학문분야에서 진행된 공감 관련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과제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분야 내에서의 공감연구의 키워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에, 공감연구들의 목적과 결과 간의 연결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목적 네트워크와 결과 네트워크의 분석지표를 통합하여 시각화하였다[그림 2].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학문 분야에서 공감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복지의 학문적 역할을 점검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동향에 대한 체계적인 학문적 검토는 학문적 정체성을 수립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작업[6]이며 공감이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 상황에서 사회복지 분야만의 영역을 구축하는 연구토대를 마련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분 분야에서 진행된 공감 관련 연구들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향후 사회복지에 서의 공감이 이론적·실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발전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사회복지분야의 공감에 대한 기본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연결중심성(degree centrality)은 한 노드와 연결된 정도를 보는 개념으로 네트워크 내 행위자(노드)들이 다른 행위자들과 얼마나 많이 연결되어 있는가를 의미한다. 즉, 어떤 키워드가 공감연구와 핵심적 연결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결중심성 분석 결과 질, 청소년, 감정노동, 이용자가 동일한 수치를 보이며 가장 높은 그룹으로 분석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 공감은 어떤 요소인가? 사회복지실천 영역에서 공감(Empathy)은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전문적 관계에서 뿐만 아니라 조직에 속한 사회복지사, 더 나아가 실천현장에서 만나는 모든 관계 내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때문에 사회복지 분야에서 공감에 관한 연구 및 그 결과를 실천에 적용하는 노력이 필요하지만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고 사회 복지 분야의 공감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회복지 분야에서 공감은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사회복지 분야에서 공감(Empathy)은 사회복지사가 원조과정 중 자신의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클라이언트의 느낌과 경험에 몰입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7]. 사회복지사전에 따르면 ‘타인의 정서와 생각을 인지하고 이해하고 경험하며 그것들에 반응하는 행위-the act of perceiving, understanding, experience, and responding emotional states and ideas of another person-이다[8].
Gerdes와 Segal(2009)이 제시한 공감의 사회복지 모델에서 공감구성 3요소는 무엇인가? 한편, 공감의 사회복지 모델을 제시한 Gerdes와 Segal(2009)[12]은 공감의 사회복지 모델을 정서적 반응, 인지적 과정, 지각된 의사결정 등 공감구성 3요소를 제시하고 있다[표 1]. 첫 번째 요소는 정서적 반응 (affective response)이다. 이는 타인의 감정과 행동에 대한 비자발적·생리적 반응을 말한다. 두 번째 요소는 인지적 처리과정(cognitive processing)이다. 이 요소는 자신의 정서적 반응을 해석하거나 타인의 관점을 취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발적 사고과정으로 자기/타인 인식, 정신적 유연성, 정서적 통제를 포괄한다. 세 번째 요소는 의식적 의사결정(conscious decision-making)이다. 의식적 의사결정은 타인의 감정과 행동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 그 반응에 대한 인지적 처리과정 이후에 공감적 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공감의 행동적 차원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eremy Rifkin, The Empathic Civilization, 이경남 역, 공감의 시대, 민음사, 2010. 

  2. 김용석, 송진희, 김묘정, 조민영, "한국어판 사회복지사 공감척도의 타당화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4권, 제1호 pp.188-213, 2016. 

  3. 권행운, 사회복지사의 특성과 공감유형,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4. 김용석, 송진희, "대인관계?사회적 공감 척도의 개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제20권, 제3호, pp.127-159, 2018. 

  5. 유찬기, 남기범, "사회과학의 공감연구 동향과 특성," 문화콘텐츠연구, 제13권, pp.75-100, 2018. 

  6. 이보라, 김교성, "사회복지 학문분야에서 개발도상국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지역복지학회, 제65권, pp.31-64, 2018. 

  7. 양옥경, 사회복지실천론, 파주: 나남출판사, 2010. 

  8. R. L. Barker, The Social Work Dictionary, Washington DC: NASW Press, 2008. 

  9. 윤현숙, 김기환, 김성천, 이영분, 이은주, 최현미, 홍금자,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서울: 동인, 2002. 

  10. 이준우, 이화옥, 임원선, 사회복지실천론, 서울: 인간과 복지, 2006. 

  11. 전재일, 이성희,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대구: 형설출판사, 2002. 

  12. K. E. Gerdes and E. A. Segal, "A soccial work model of empathy," Advances in Social Work, Vol.10, pp.114-127, 2009. 

  13. K. E. Gerdes, C. A. Lietz, and E. A. Segal, "The structure of empathy in social work practice,"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1, No.5-8, pp.679-695, 2011. 

  14. S. King and M. J. Holosko,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empathy scale for social wokers,"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Vol.22, No.2, pp.174-185, 2012. 

  15. 유인애,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공감(compassion)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평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6. 정무성, 노승현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 질이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비영리연구, 제5권, 제1호, pp.163-207, 2006. 

  17. 황성준, 이재완,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인식하는 공공복지서비스 질의 수준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2호, pp.257-272, 2015. 

  18. 하경희, 강병철, "대학생의 인권태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사회복지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2호, pp.183-202, 2009. 

  19. 손덕순, "요양보호사의 인권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제48권, pp.299-322, 2010. 

  20. 박지영,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인권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제33권, pp.1-27, 2016. 

  21. 이현지 "요양시설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의 죽음태도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임종보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제52권, pp.31-51, 2015. 

  22. 홍석자, 서상범, "노인요양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환경과 개인적 성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4호, pp.187-216, 2011. 

  23. 감정기, 감미아, 박미희 "사회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제68권, 제2호, pp.185-211, 2016. 

  24. 최재성, 정세정, 조자영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최근 10년간 연구경향 특성," 한국사회복지학회, 제68권, 제1호, pp.73-94, 2016. 

  25. 선미정, 정원미, 장정은, 전종설, "사회복지분야 혼합연구 동향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제70권, 제2호, pp.275-298, 2018. 

  26. R. Popping, "Computer-assisted Text Analysis," Sage Publication, Thousand Oaks, CA, 2000. 

  27. 황성철,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제7권, pp.153-177, 2002. 

  28.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 2012. 

  29.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 서울: 박영사, 2003. 

  30. 손동원, 사회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