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모니아 누출사고 시 주민대피 및 알림 결정을 위한 피해영향거리 산정식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amage Impact Distance Calculation Formula to Determine Evacuation and Notification of Residents in Case of Ammonia Release Acciden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0, 2020년, pp.308 - 316  

김현섭 (원주지방환경청) ,  전병한 (전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명지 (화학물질안전원) ,  윤정현 (충북대학교 안전공학과) ,  이현승 (전북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웅열 (안산시청) ,  조정아 (원주지방환경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 누출사고 발생 시 지방자치단체에서 신속하게 주민대피 및 알림을 결정할 수 있도록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을 활용한 피해영향거리 산정식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암모니아는 화학물질관리법상 사고대비물질이자 화학물질안전원에서 정한 주민대피 대비물질 16종 중 하나이며, 2014년부터 2019년 기간 동안 화학사고가 58건으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화학물질이다. 연구에서는 미국환경보호국(EPA)에서 지정하고, 유아 및 어린이, 노인 등의 취약집단을 포함하며 일반 인구에 적용 가능한 급성노출기준인 AEGL을 기준으로 암모니아의 노출시간에 따른 피해영향거리 산정식을 도출하였다. AEGL-3 농도기준에 따른 위험지역 구분과 AEGL-2 농도기준에 따른 준위험지역을 구분을 할 수 있는 농도별, 노출시간별 산정식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산정식으로 얻어진 피해영향거리 수치와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의 피해영향거리 수치간의 상대표준편차를 비교한 결과 0~2 % 범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실제 사고 현장 상황을 고려하고 연구에서 도출된 적합한 피해영향거리 산정식을 적용하여 사고 원점 인근의 주민을 소산하거나 실내대피 알림 등의 보호조치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an equation for calculating the damage impact distance using CARIS so that local governments can quickly determine evacuation and notification of residents in the event of an ammonia-release accident. Ammonia is an accident-causing substance and one of 16 substances to...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실제 대응 현장에서는 환경청이나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요원들이 도착하기 전까지 환경오염도 측정이 어렵다는 점 때문에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주민대피를 결정할 근거가 없어 신속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화학사고 발생 시 주민대피를 위한 주민알림을 결정하기 위해서 현장에서 습득할 수 있는 간단한 정보만으로 대피거리를 산정할 수 있도록 화학물질 사고대응정보시스템(Chemical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ystem, CARIS)을 이용하여 주민대피 결정 산정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민대피 대비물질 16종에 해당하며, 최근 5년간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화학사고 원인 물질인 암모니아를 대상으로 누출 시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민대피 및 알림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피해영향거리 산정식을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피해영향거리 산정식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산업안전 보건공단의 ‘누출원 모델링에 관한 기술지침(KOSHA GUIDE, P-92-2012)’의 누출량 산정식을 적용하였으며, 이때의 누출원 면적은 이송 또는 압축설비를 제외한 화학설비의 파손에 의해 취급・저장하는 물질이 AEGL의 노출시간 기준인 10분, 30분, 60분, 4시간, 8시간 동안 모두 누출될 수 있는 면적을 가정한다[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물질의 특징은 무엇인가? 화학사고는 시설의 교체 등 작업 시 작업자의 과실, 시설 결함・노후화, 자연재해, 운송사고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유출・누출되어 발생하는 일체의 상황으로 화학물질관리법상에서 정의하고 있다[1]. 화학물질은 누출 시 확산성을 갖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 및 매체 전이가 발생하고 비가시성으로 인해 오염 확인이 곤란한 특징을 갖고 있다. 또한 화학물질 종류에 따라 유해성, 발암성, 잔류성, 난분해성으로 인해 환경 및 국민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화학사고란 무엇인가? 화학사고는 시설의 교체 등 작업 시 작업자의 과실, 시설 결함・노후화, 자연재해, 운송사고 등으로 인하여 화학물질이 사람이나 환경에 유출・누출되어 발생하는 일체의 상황으로 화학물질관리법상에서 정의하고 있다[1]. 화학물질은 누출 시 확산성을 갖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 및 매체 전이가 발생하고 비가시성으로 인해 오염 확인이 곤란한 특징을 갖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관내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대비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 개정한 법은 무엇인가? 지방자치단체 관내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화학물질로 발생하는 사고에 대비・대응하기 위하여 환경부에서는 2016년 화학물질관리법을 개정하여 화학물질의 관리에 관한 조례 제정 근거를 마련하였다.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화학물질 안전관리 및 화학 사고 대비・대응을 위한 계획 또는 시책의 수립・시행, 화학물질 관리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하고 자문하기 위한 위원회 구성・운영, 화학물질 관련 정보의 제공, 화학물질의 안전관리에 필요한 행정 및 재정 지원, 사업장의 화학물질 배출저감계획 수립・이행의 확인 및 지원 등의 내용을 조례의 주요내용으로 포함하여 제정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Ministry of Evironment, "Chemicals Control Act", 2015. Available From : http://www.law.go.kr (accessed July. 25, 2020) 

  2.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isfortune and the safety supervision basic law", 2004. Available From : http://www.law.go.kr (accessed July. 25, 2020) 

  3.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Local government chemical accident countermeasure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9, pp.138. 

  4.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Local government resident notification in the early stages of a chemical accident·evacuation decision support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18, pp.46. 

  5.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Chemical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vailable From : https://icis.me.go.kr (accessed July. 30, 2020) 

  6.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igh-Pressure Gas Safety Control Act", 1979. Available From : http://www.law.go.kr (accessed July. 25, 2020) 

  7.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Key Info Guide for Accident Preparedness Substances",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2019, pp.253. 

  8.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Technical guidance on the selection of worst-case and alternative leak scenarios",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6, pp.14. 

  9. H. S. Lee, T. H. Lee, K. S. Park, J. K. Kim,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ffects of Chemical Accident Toxicity Using CARIS & ALOHA",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vol. 20, no. 1, pp. 8-15, 2019. 

  10. H. S. Lee, C. H. Shin,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of Nitric acid chemical accident and establishment of preventive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vol. 21, no. 3, pp. 488-496, 2020. 

  11.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Technical guidelines for modeling leak sources",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12, pp.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