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효과와 역할
Effects and Roles of Korean Community Dance 원문보기

Trans- = 트랜스-, v.9, 2020년, pp.37 - 66  

박소정 (한국펠든크라이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1세기로 접어들면서 사회와 문화의 흐름은 자기 스스로 경험하고 즐기고 체험을 하는 단지 보고 즐기는 것에서 자신이 직접 경험하고 행위의 주체 자가 되는 문화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2010년부터 활성화되고 있는 커뮤니티 댄스(Community Dance)로 나타났다. 커뮤니티 댄스는 누구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모임의 특성과 연령에 따라 아동 무용, 성인 무용, 노인무용으로 나뉠 수 있어 다양한 연령대로 활동 할 수 있다. 또한 미취학 아동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연령대별로 모임에서 성별, 인종, 종교에 관계없이 건강을 증진하거나 표현의 욕구를 충족하고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든 사람의 행복과 자아 성취를 위한 모든 종류의 춤을 말한다.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자발적으로 즐겁게 참여하는 무용 활동으로 체험을 통한 춤이라는 비언어적 특징이 세대 간의 공감대와 소통을 이루며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커뮤니티 댄스는 평생교육을 통해 사회학습으로의 확장성을 가져오며 전문가들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함께 진행하는 자발적인 공동체 모임이다. 커뮤니티 댄스의 정의는 누구나 개인의 일상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사회적으로 공동체의식을 높여 밝은 사회를 만들며, 개개인에게는 건강증진과 미적 교육의 목표를 이루는 신체활동의 총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창의성의 의미를 자기표현으로서의 몸과 창의성에서 무용체험은 참여자가 참여 과정에서 경험하는 긍정적인 심리체험과 일상에 미친 영향력을 탐색해 행복 관점을 투영하여 커뮤니티 댄스의 효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참여자들은 춤 문화를 향유를 위해 지금까지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지속적인 네트워킹을 하고 있다. 커뮤니티 댄스의 붐이 불기 시작하면서 10년간 다양한 분야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방법론은 미비하여 국내에서 진행한 커뮤니티 댄스 사례를 조사하여 펠든크라이스 기법(Feldenkrais Method)을 제시하여 향 후 국내 커뮤니티 댄스에 필요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아 문화 소외계층과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무용의 신체 기능적 측면의 향상과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교육적 효과와 예술가들의 안무 창작법의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flow of society and culture is emerging as a cultural phenomenon in which one experiences, enjoys, and experiences on one's own. This trend has emerged as community dance, which has been active since 2010. Community dances can be targeted by anyone and can be divided i...

주제어

표/그림 (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외부적으로 사회적 의의와 세부적으로 무용계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커뮤니티 댄스가 갖는 무용학적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국내 커뮤니티 댄스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제2장에서는 연구를 위해 인터넷을 통한 정보 수집과 학술 연구의 문헌연구를 분류하여 커뮤니티 댄스가 갖는 영역별 상황과 무엇이 향상되었는지를 파악하여 무용이 갖는 신체 기능의 향상에 도달하였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커뮤니티 댄스를 통해 무용이 갖는 신체 기능과의 관계성으로 본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 제3장에서는 커뮤니티 댄스를 통해 무용이 갖는 신체 기능과의 관계성으로 본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해외 자료를 통해 커뮤니티 댄스를 통한 신체 기능과 삶의 질을 동시에 향상시킨 사례연구인 펠든크라이스 기법을 활용한 커뮤니티 댄스와 프로그램들을 소개하며 차후 국내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설계 가능성을 밝히며 향후 국내 실정에 맞는 방법론의 도입과 프로그램 설계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 23 이는 펠든크라이스 방법과 현대무용 기법 사이의 시너지 관계를 통해 학생들이 신체적 역량, 개인 기관, 자기 규제 및 자기 반사 과정의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능성을 제시했다. 또한 집단이 체감하는 감수성이 어떻게 무용수들의 상황과의 상호작용과 학습 환경에서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탐색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해외 대표 사례들을 통해 향 후 한국의 커뮤니티 댄스로러 기법의 적용가능성과 나아가 무용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진행형인 커뮤니티 댄스의 흐름을 정리하고 무용예술만의 장점인 신체를 통한 움직임으로 신체기능이 향상과 삶의 질의 관계를 조사하여 대안이 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외부적으로 사회적 의의와 세부적으로 무용계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커뮤니티 댄스가 갖는 무용학적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국내 커뮤니티 댄스의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제2장에서는 연구를 위해 인터넷을 통한 정보 수집과 학술 연구의 문헌연구를 분류하여 커뮤니티 댄스가 갖는 영역별 상황과 무엇이 향상되었는지를 파악하여 무용이 갖는 신체 기능의 향상에 도달하였는지를 조사하고자 한다.
  • 그러나 현재까지 커뮤니티 댄스의 활동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는 신체기능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진행형인 커뮤니티 댄스의 흐름을 정리하고 무용예술만의 장점인 신체를 통한 움직임으로 신체기능이 향상과 삶의 질의 관계를 조사하여 대안이 되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여 외부적으로 사회적 의의와 세부적으로 무용계 내에서의 활동을 통해 커뮤니티 댄스가 갖는 무용학적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자각 능력을 향상 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은 필요성은 불가피한 시점에 왔다. 전인적 인간과 창의적 인간을 육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 현실에서 소매틱(Somatics)을 이용하는 사례 논문들을 살펴보며 커뮤니티댄스에 적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김정은의 현대무용전공자들을 위한 “몸, 나, 너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에서는 현대무용전공자들을 위한 창작 프로그램”을 안나 할프린(Anna Halprin)의 무용치료 교수법을 도입하여자신만의 프로그램을 개발을 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토마스 하나, 부드러운 움직임의 길을 찾아, 토마스 하나의 생명의 몸, 김정명 역, 소피아, 2013. 

  2. 권오정, 커뮤니티 댄스 참여를 통한 번영,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3. 김미령, 노경희, 생명제한 선고 환우 대상 커뮤니티댄스 기획 사례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23권 2호, 2012. 

  4. 김솔, 지역사회에서 무용의 역할: 국 지역사회무용(community dance)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5. 김은정, 무용콘텐츠에 내재된 소매틱스의 뇌과학적 메커니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6호, 2016. 

  6. 김정은, 현대무용전공 대학생의 무용창작 능력과 일상적 창의성 향상을 위한 '살아 나는 몸.나.너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7. 김재리, 무용의 공공성: 국내 커뮤니티 댄스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기록학회지, 제32집, 2014. 

  8. 김혜민, 김소형, 박진우, 이현수, 지적장애 아동의 대.소근운동능력, 주의집중력 및 또래놀이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커뮤니티 댄스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특수체육학회지 제25권 2호, 2016. 

  9. 박관호, 정책사업 하에 실행된 커뮤니티 댄스 프로젝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울 댄스프로젝트 3355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0. 박대선, 자각수련방식을 응용한 궁중무술의 몸학적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1. 박성혜, 커뮤니티 댄스의 공공성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2. 안재은, 커뮤니티댄스(Community Dance)의 치유(Healing) 생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3. 윤미정, 소매틱차원에서 본 접촉즉흥무용의 의미와 기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4. 이경은, 소매틱 즉흥무용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신체자각, 표현 능력 및 창작 능력의 변화,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5. 이영일, 커뮤니티 댄스의 문화적 사회가치 연구, 우리춤과 과학기술 제25권 2호, 2014. 

  16. 이예술, 빅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무용 경향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7. 이정명, 심신통합적 움직임 교육으로서의 무브먼트 리츄얼(Movement Ritual)에 관한 고찰, 무용역사기록학 제32집, 2014. 

  18. 이지선, 피나 바우쉬의 작품 콘탁트호프를 통해 살펴본 커뮤니티 댄스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고찰, 무용예술학연구 제49권 4호, 2014. 

  19. 이지연, 문화콘텐츠로서 한국 현대춤의 가능성과 발전방안 탐색,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0. 장우정,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교육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커뮤니티댄스의 실천적 의미 탐색,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1. 전지은, 휄든크라이스 기법이 무용전공자들의 골반 균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22. 전예화, 한국 커뮤니티 댄스의 형성과 사회적 기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23. 전형재, 안은미의 춤에 나타나는 수행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4. 정정아, Feldenkrais Method가 현대무용전공자의 신체자각, 표현능력, 무용능력성취에 미치는 효과,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5. 정한별, 오하드 나하린(Ohad Naharin)의 작품에서 나타난 신체적 유대주의 (Muscular Judaism)- lmpacts that Muscular Judaism has on Ohad Naharin's artworks,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26. 최해리, 한국커뮤니티 댄스의 근원, 흐름, 확장, 무용역사기록학 제36권 36호, 2015. 

  27. 한혜리, 동시대 커뮤니티댄스에서 창의성의 의미,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26권 1호, 2015. 

  28. 함수경,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 교육적 의의, 경성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29. 황보주석, 커뮤니티 댄스의 영역별 현황 분석,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0. 황정옥, Community Dance의 형성 배경과 잠재적 복합성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1. 토마스 캠프(Thomas Kampe), 공연예술인가, 공공활동인가? 커뮤니티 댄스를 묻는다, 국제학술심포지움, 2014. 

  32. 토마스 캠프, Moving after Auschwitz: The Feldenkrais Method(R) as a soma-critique, 한국무용기록학회지 제33집, 2014. 

  33. 가가 테크닉과 펠든크라이스 IFF journal https://feldenkraisresearchjournal.org/index.php/journal/issue/view/6 https://feldenkraisresearchjournal.org/index.php/journal/article/view/30 https://www.dance-teacher.com/moshe-feldenkrais-2392321987.html 

  34. 가가홈페이지 https://www.gagapeople.com/en/about-gaga/ 

  35. 네이버 지식백과, 재인용,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EC%BB%A4%EB%AE%A4%EB%8B%88%ED%8B%B0%EB%8C%84%EC%8A%A4&rangeal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