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술관의 소셜플랫폼 역할과 관람객 체험
A Study on the Role of Art Museums and Experience of Museum Visitors Based on Social Platform 원문보기

Trans- = 트랜스-, v.9, 2020년, pp.67 - 92  

구보경 (서울디지털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초록

소셜플랫폼과 기술의 발전 덕분에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이 일상화 되면서 자신의 감정, 생각, 경험 등을 인터넷에 표현하는 것은 지극히 일반적인 일상이 되었다. 특히 SNS는 자신을 쉽게 표현하는 동시에 다른 이용자들과 교류할 수 있는 대표적 플랫폼이다. 개인의 소소한 일상부터 무엇을 하고 어떤 경험을 했는지 SNS로 소통하는 방식이 보편화되었다. 이에 따라 미술관은 관람객들의 참여와 관심을 끌어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관람객들을 끌어들여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콘텐츠 기반의 프로그램 및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신기술의 발전과 이를 수용한 미술관 환경의 변화와 함께 단순한 감상에 그치지 않고 일상의 소통방식이 미술관 관람에서도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탐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SNS을 비롯한 모바일 기반 소통이 미술관 관람의 질적 다양성을 제공하고, 의미있는 미술관 경험으로 완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험의 플랫폼으로서 미술관, 더 나아가 기술수용에 따른 문화예술기관의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velopment of social platforms and digital technology has promoted the age of the communication in our society. As online communication has become commonplace, expressing feelings, thoughts and experiences on the Internet has become an everyday routine. Among them, SNS is one of the representat...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논문은 기술도입과 SNS확산이 가져온 예술적 환경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및 현황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술도입이 예술창작과 감상, 그리고 이를 연결시키는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기술기반의 전시사례, 대표적 SNS활동으로 간주될 수 있는 셀피 활동이 미술관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미술관 사진찍기를 통해 드러나는 미술관 관람방식의 변화, 이를 수용한 미술관 운영 및 미술관 경험의 문제를 최근 개최된 전시를 통해 살펴보고, 이에 부응하는 학습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볼 수 있는 방안도 제안해보고자 한다.
  •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은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SNS로 소통하는 방식이 보편화되면서 수시로 타인에게 자신의 일상을 공개하는 트렌드와 소비행위가 미술관 환경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미술관이 문화향유와 예술적 체험의 확산을 위해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기술발전에 따른 전반적 예술환경의 변화와 함께, 예술을 담고 있는 미술관의 새로운 기능과 관람객의 체험학습의 변화를 살펴보며 이를 통해 SNS세대라 할 수 있는 청소년들의 미술관 관람을 위한 SNS활용 및 미술관 학습환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기술도입과 SNS확산이 가져온 예술적 환경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및 현황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술도입이 예술창작과 감상, 그리고 이를 연결시키는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 본 논문은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수용을 통한 예술체험의 방식의 변화와 함께, 다양한 경험과 체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미술관의 색다른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SNS를 비롯한 모바일 소통이 미술관 관람의 질적 다양성을 제공하며, 색다른 참여와 경험을 통해 관람객들은 의미있는 미술관 경험을 할 수 있다.
  • 본 논문은 이러한 기술의 발전이 예술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전통적 예술창작과 감상방식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기술과 예술환경이 결합된 새로운 소통 공간이라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미술관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소극적 감상활동에서 적극적 참여와 특별한 경험을 누릴 수 있는 경험의 장소로서 미술관의 역할에 대하여 문헌 및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변화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이러한 기술의 발전이 예술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바탕으로 전통적 예술창작과 감상방식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기술과 예술환경이 결합된 새로운 소통 공간이라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의 미술관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한다. 소극적 감상활동에서 적극적 참여와 특별한 경험을 누릴 수 있는 경험의 장소로서 미술관의 역할에 대하여 문헌 및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변화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기존 문헌 및 관련 연구들이 주로 기술 도입 미술관 실태조사 및 현황1, 국내외 미술관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 신기술 적용 사례연구2, 또는 스마트 기술 도입 모델 및 신기술 소개3 중심으로 이루어졌기에 최근의 신기술을 수용한 미술관의 관람객 체험의 문제를 전체적으로 다루는데 다소 제한되었다고 할 수 있다.
  • 7 청소년들의 소셜미디어 및 디지털 기기활용의 활용은 문화참여 활동의 과정에서 가치가 생산되는 노동과 오락의 지속적 상호작용8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콘텐츠를 생산하며 동시에 여가활동을 누리는 즉 생산자이자 소비자의 역할을 동시에 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청소년들의 일상생활에서 깊숙이 자리잡은 소설미디어가 문화 활동, 여가문화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기에, 미술관에서도 소셜미디어 활용범위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 및 실제 관련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여 청소년들의 미술관 관람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기존 어느 세대 보다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세대인 청소년들은 그들의 일상 대부분을 SNS에 올려 공유하고 과시하는 것을 즐긴다.
  • 기존 문헌 및 관련 연구들이 주로 기술 도입 미술관 실태조사 및 현황1, 국내외 미술관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 신기술 적용 사례연구2, 또는 스마트 기술 도입 모델 및 신기술 소개3 중심으로 이루어졌기에 최근의 신기술을 수용한 미술관의 관람객 체험의 문제를 전체적으로 다루는데 다소 제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본 논문은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SNS로 소통하는 방식이 보편화되면서 수시로 타인에게 자신의 일상을 공개하는 트렌드와 소비행위가 미술관 환경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미술관이 문화향유와 예술적 체험의 확산을 위해 어떠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한다. 기술발전에 따른 전반적 예술환경의 변화와 함께, 예술을 담고 있는 미술관의 새로운 기능과 관람객의 체험학습의 변화를 살펴보며 이를 통해 SNS세대라 할 수 있는 청소년들의 미술관 관람을 위한 SNS활용 및 미술관 학습환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 기술발전에 따른 전반적 예술환경의 변화와 함께, 예술을 담고 있는 미술관의 새로운 기능과 관람객의 체험학습의 변화를 살펴보며 이를 통해 SNS세대라 할 수 있는 청소년들의 미술관 관람을 위한 SNS활용 및 미술관 학습환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기술도입과 SNS확산이 가져온 예술적 환경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및 현황 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기술도입이 예술창작과 감상, 그리고 이를 연결시키는 미술관의 역할과 기능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볼 것이다. 기술기반의 전시사례, 대표적 SNS활동으로 간주될 수 있는 셀피 활동이 미술관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미술관 사진찍기를 통해 드러나는 미술관 관람방식의 변화, 이를 수용한 미술관 운영 및 미술관 경험의 문제를 최근 개최된 전시를 통해 살펴보고, 이에 부응하는 학습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볼 수 있는 방안도 제안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이종임, 디지털 문화와 세대적 정체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2. Hooper-Greenhill, E.(2000a), Museums and the Interpretation of Visual Culture, Routledge, 2000. 

  3. Johan. Huizinga. (1938). Homo ludens. 김윤수(역). 호모루덴스, 까치.(원처출판 1993). 

  4. Kotler, N. & Kotler, P. Museum strategy and marketing: Designing mission,building audience, generating revenue and resources. SanFrancisco, CA:Jossey-Bass, 1998. 

  5. Paul. C, Digital Art, NY:Thames & Hudson, 2003. 

  6. Stewart, E.P. & Allen-Greil, D. (Eds.). Conversations with Visitors. Cambridge, MA: MuseumsEtc, 2012. 

  7. 구보경, 디지털 기술 활용과 뮤지엄 체험 연구, 미술교육논총, 31(1), 2017, pp.61-80. 

  8. 김유정, 페이스북에서의 자기과시적인 자기표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6(4), 2015, pp.503-512. 

  9. 김현곤, 문화부문의 소셜미디어 활용 선진사례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10. 박조원, 미술관 관람 동기와 지각된 체험의 질이 관람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6(4), 2016, pp.123-131. 

  11. 배상률, 청소년문화활성화를 위한 소셜미디어 활용연구.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12. 백수희, 김규정, 놀이적 맥락에서 본 인터랙티브 설치 예술의 특성, 디지털디자인학연구, 9(1), 2009, pp.1-10. 

  13. 신상기, 욕망의 시각화: 셀프카메라(셀카)의 나르시시즘,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2014, pp. 533-541. 

  14. 안서연, 김정현, 셀프카메라(Self-Camera)행위가 20대 여성들의 외모 존중감, 자기 노출 욕구, 외모개선 욕구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3(2), 2016, pp.87-123. 

  15. 양연경, 뮤지엄 에듀테인먼트 스마트 콘텐츠 모델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17, 2014, pp.233-233. 

  16. 유원준, 뉴미디어 환경에서의 예술과 놀이, 미술세계, 2014, pp.80-84. 

  17. 이보아, 모바일 기술과 융합을 통한 박물관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연구, 인문콘텐츠, 7, 2006, pp.23-50. 

  18. 전범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문화예술 체험방식의 변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0. 

  19. 정혜연, 현대미술관내 인터렉티브 공간의 역할과 조건 : 아동관객의 교육적 경험을 위한 모색, 미술과 교육, 14(3), 2013, pp.59-79. 

  20. 홍인국, 디지털 전시기술의 적용과 박물관의 새로운 모색, 박물관학보, 32, 2017, pp.47-67. 

  21. 조선일보."찍혀야 뜬다....'사진금지' 봉인푸는 미술관박물관, 2016.09.12. 

  22. Hooper-Greenhill, E.(2000b), Changing Values in the Art Museum: rethinking communication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6(1): 9-28. 

  23. Pine II, B.J. & Gilmore, J.H.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1998, pp.96-105. 

  24. Simon, N. The participatory museum. Museum 2.0, 2010. 

  25. http://www.savinamuseum.com/kor/exview.action?exdgbOF&exfgb&startdt&cpage1&exidx125&searchFlag&searchValu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