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용 젤과 젤 용기의 세균증식 원인
Causes of Bacterial Growth in Gels and Gel Containers Used for Ultrasonography 원문보기

방사선기술과학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5, 2020년, pp.359 - 365  

김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방사선학과) ,  조평곤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방사선학과) ,  송도영 (대구파티마병원 진단검사의학과) ,  김수정 (대구보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bacterial growth to prevent infection caused by ultrasound gel and gel containers in contact with patients during ultrasonography. To investigate bacterial contamination during manufacturing or storage, we cultured ultrasound gels originally supplied f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음파 젤은 무독성, 수용성이며 피부 친화적이지만 초음파검사 후 복부의 접촉성 피부염, 복부에 발진이 발생해 가려움을 호소하는 등의 부작용도 있다[11]. 따라서 초음파 검사 시 가장 먼저 환자와 접촉하는 초음파 젤과 젤 용기 등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오염균의 증식에 관한 원인을 알아보고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초음파 검사실을 만들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험의 정확도를 위해 초음파 젤 용기 5개를 세척하지 않고 4주간 재사용하였을 때에 자라는 균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KCDC의 환경소독에 관한 지침[10]에 따라 소독하여 사용 기간이 길어져 균이 증식할 수 있는 요건을 제거한 후 사용 횟수와 동정 균 및 집락 수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13]. 검사 수가 가장 많은 1주 차 검사에서 44개의 집락 수를 보였으며 검사 수가 가장 적은 4주차 검사에서 4개의 집락 수로 가장 적은 집락을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20년 2월부터 3월까지 4주간 검사자의 손에 있는 세균과 초음파 검사용 젤과 젤 용기의 감염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간 약 10만 명의 검진자가 내원하는 대구지역에 위치한 종합건강검진센터에서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험의 정확도를 위해 초음파 젤 용기 5개를 세척하지 않고 4주간 재사용하였을 때에 자라는 균의 양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KCDC의 환경소독에 관한 지침[10]에 따라 소독하여 사용 기간이 길어져 균이 증식할 수 있는 요건을 제거한 후 사용 횟수와 동정 균 및 집락 수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의 전파경로는? 즉 환자가 입원한지 48시간 후에 발생한 감염을 일컬으며 퇴원 후 2주 이내, 수술 후 한 달 이내 발생하는 감염으로 정의된다[3]. 전파경로는 환경, 비말, 공기, 접촉, 환경 혹은 무생물 매개물 등을 통해 이뤄지며[4]. 의료종사자의 손을 통해 전파될 수 있으므로 손 위생과 환경관리가 감염관리의 기본을 이루고 있다[5]. 또한, 의료기기 및 의료기구의 오염으로 세균이 전염될 수 있다[6]. 이러한 바이러스와 세균 감염은 초음파 검사 시 검사자의 손과 환자를 통하여 인체와 접촉이 빈번히 이뤄지는 초음파 검사장비나 탐촉자, 초음파 젤과 젤 용기 등을 통해서도 이뤄질 수 있다.
초음파검사의 역할은? 초음파검사는 다른 영상 검사보다 먼저 시행하여 초음파 검사 결과에 따라 추가 검사의 필요성과 검사항목을 선별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검사이다[7]. 초음파 진단장치는 방사선 피폭이 없어 반복적으로 검사할 수 있고 치료 과정을 알 수 있다.
의료관련 감염이란? 의료관련 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은 의학 기술의 발달로 인한 노령 인구와 면역저하자 수의 증가, 항생제 내성균의 다양한 출현 등 비례하여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2]. 의료관련 감염이란 입원 당시에 없었으며 잠복하지 않던 감염이 입원 중 발생한 것을 말한다. 즉 환자가 입원한지 48시간 후에 발생한 감염을 일컬으며 퇴원 후 2주 이내, 수술 후 한 달 이내 발생하는 감염으로 정의된다[3]. 전파경로는 환경, 비말, 공기, 접촉, 환경 혹은 무생물 매개물 등을 통해 이뤄지며[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oo JH. The recent trend and perspective of infection control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6;21(1):1-8. 

  2. Kim EJ.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4). Hanmimedical Publishing Printing; 2011. 

  3. Lee MK,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2012. 

  4. Korean Soci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Hanmimedical Publishing Printing; 2017. 

  5. Trick WE, Vernon Mo, Hayes RA, Nathan C, Rice TW, Peterson BJ, et al. Impact of ring wearing on hand contamination and comparison of hand hygiene agents in a hospital.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2003;36(11):1383-90. 

  6. Jung SY, Choi JH, Kim EK, Kim SM, Son HJ, Cho NH, el al. Actual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control in Korean healthcare faciliti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14;21(4):392-402. 

  7. Sim HS. Diagnostic ultrasound physics. Hanmimedical Publishing Printing; 2011. 

  8. Sim HS, Kang SH, Kang SS, Kim KK, Kim JG, Park YS, et al. Ultrasonography. Hanmimedical Publishing Printing; 2012. 

  9. Sim HS, Gu JH, Kim KK, Kim YG, Kim HS, Park YH, et al. Ultrasonography Anatomy&Scan Technique. 2009.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2014. http://www.koshic.org/related/%EC%86%8C%EB%8F%85%EB%A9%B8%EA%B7%A0%EC%A7%80%EC%B9%A8_%EC%B5%9C%EC%A2%85.pdf 

  11. Naeil newspaper.Ultrasonic gel, safety management blind spot.2014. http://m.naeil.com//m_news_view.php?id_art123750 

  12. Baron EJ. Specimen collection, transport, and processing: Bacteriology. 11th ed. Jorgensen JH et al. ed. Washington DC: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2015. 

  13. Korean Socity for Laboratory Medicine. Laboratory Medicine(5). E-PUBIC Publishing Printing; 2014. 

  14. Korean Soci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Hanmimedical Publishing Printing; 2017. 

  15. Korean Socity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Hanmimedical Publishing Printing. 2017. 

  16. Hwang SW, Oh YG. Opportunistic infections and intra-infested infections. Busan Social Paper. 1985;21(3):3-5. 

  17. Choi SH, Park HG, Byun SM, Goo DH, Koo DH, Kang HS, et al. A Case of infective endocarditis due to staphylococcus lugdunensis. Infection and Chemotherapy. 2006;38(5):277. 

  18. Lee HJ, Park EJ, Bak MH, Ju HY, Seo JW, Jeon MY. Influencing factors on the performanc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microbiological hand contamination among caregivers at a tertiary hospital. Korean Society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9;26(3):241-50. 

  19. WHO Guidelines on Hand Hygiene in Health Care: First Global Patient Safety Challenge Clean Care Is Safer Care. 2009. https://www.who.int/gpsc/5may/tools/who_guidelines-handhygiene_summary.pdf 

  20. Boyce JM, Pittet D. Guideline for hand hygiene in health-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of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and the hicpac/shea/apic/idsa hand hygiene task forc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2;30(8):3-4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